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63471141
· 출판일 : 2018-08-31
목차
▣ 목차
1. 인조 15년 1월 19일
이조참판 정온의, 최명길이 나라를 팔아 넘겼다는 내용의 차자
2. 인조 15년 1월 20일
김수현 등이 ‘신하’란 글자에 대해 진달하니, 영의정에게 하문하다
3. 인조 15년 1월 20일
오랑캐가 답서를 보내어, 화친을 배격한 신하를 보내라고 하다
4. 인조 15년 1월 21일
화친을 배격한 신하를 묶어 보내기 어렵다는 내용의 국서
5. 인조 15년 1월 22일
김수현 등이 결전의 글을 보낼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6. 인조 15년 1월 22일
김류·이성구·최명길이 입대하여, 신하를 묶어 보내는 것에 대해 아뢰다
7. 인조 15년 1월 22일
강도가 함락되는 전후 사정
8. 인조 15년 1월 23일
채유후, 이명웅, 황일호 등이 세자의 출성에 대해 아뢰다
9. 인조 15년 1월 23일
화친을 배척한 신하를 내보내겠다는 국서
10. 인조 15년 1월 23일
시강원 설서 유계의 적극 싸울 것을 청한 상소문
11. 인조 15년 1월 26일
화친을 배척한 신하를 오랑캐에게 보낼 것을 청하다
12. 인조 15년 1월 26일
대신 및 최명길이 청대하자, 성을 나가기로 결정하다
13. 인조 15년 1월 27일
황제의 약속을 확인하려는 국서
14. 인조 15년 1월 28일
삼공이 청대하여, 세자의 출성 여부와 결박해 보낼 신하의 수를 아뢰다
15. 인조 15년 1월 28일
용골대가 ‘한’의 글과 ‘상’의 용포 착용 문제를 전하다
16. 인조 15년 1월 29일
윤집과 오달제가 하직 인사를 하다
17. 인조 15년 1월 30일
이조참판 정온의 차자
18. 인조 15년 1월 30일
삼전도에서 삼배구고두례를 행하고서, 창경궁으로 나아가다
19. 인조 15년 2월 1일
용골대·마부대 두 장수가 고려옥인을 가져오다
20. 인조 15년 2월 2일
철군하는 청나라의 ‘한’을 전송하다
21. 인조 15년 2월 2일
제도의 군사를 파하다
22. 인조 15년 2월 8일
철군하면서 왕세자, 빈궁, 봉림대군과 부인을 데려가자 전송하다
23. 인조 15년 2월 9일
대신들과 최명길을 인견하여, 명나라와의 문제를 논의하다
24. 인조 15년 2월 13일
도승지 이경석이 일반 백성의 속환을 대신해 주길 청하자 윤허하다
25. 인조 15년 2월 18일
회은군 이덕인을 사은 부사로 삼아, 포로가 된 종실을 쇄환하도록 하다
26. 인조 15년 2월 19일
중앙과 지방의 군사와 백성에게 교유한 글
27. 인조 15년 2월 28일
청에 빼앗긴 교서와 신주의 개조 문제에 대해, 최명길이 아뢰다
28. 인조 15년 2월 28일
비국이 모든 문서에, 숭덕의 연호 쓰기를 청하다
29. 인조 15년 3월 20일
가도 공략 문제와 청과 일본의 통신 문제를 의논하다
30. 인조 15년 4월 4일
이조판서 최명길이, 신하들이 벼슬하지 않으려는 것에 대해 아뢰다
31. 인조 15년 4월 21일
포로를 속환하는 문제에 대한 최명길의 차자
32. 인조 15년 5월 15일
최명길의, ‘상’이 국가를 지키었다는 내용과 문제를 다룬 차자
33. 인조 15년 6월 1일
북경에서 돌아온, 동지사 김육과 서장관 이만영을 소견하다
34. 인조 15년 7월 4일
사은사에게 청나라의 실정과 삼학사 등의 일을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