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광기의 역사 제1

광기의 역사 제1

미셸 푸코 (지은이), 탁양현 (옮긴이)
e퍼플
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광기의 역사 제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광기의 역사 제1 
· 분류 : eBook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699925
· 출판일 : 2021-07-02

목차

▣ 목차



◈ 광기(狂氣)의 역사(歷史) 제1권
Histoire de la Folie Age

? 광기(狂氣)의 역사(歷史) 서문(序文)
1. 광기(狂氣)라는 타자성(他者性)
2. 영원(永遠)한 진리(眞理)라는 편의(便宜)를 포기(抛棄)할 수 있어야 한다
3. 광기(狂氣)를 구분(區分)할 수 있어야 한다
4. 광기(狂氣)와 이성(理性)
5. 고대(古代) 그리스 로고스의 심층(深層)
6. 유럽문화(文化)의 한계(限界)
7. 고전주의(古典主義) 시대(時代)의 광기(狂氣)
8. 현대(現代)의 광기(狂氣)

제1장. 광인(狂人)들의 항해(航海)
1. 중세(中世) 말엽(末葉), 나병(癩病)이 사라진 유럽
2. 프랑스 나환자(癩患者) 수용소(收容所)
3. 텅 비게 된 나환자(癩患者) 수용소(收容所)
4. 나환자(癩患者) 수용(收容)에 대(對)한 온갖 칙령(勅令)들
5. 파리 나환자(癩患者) 수용소(收容所)
6. 영국(英國)과 스코틀랜드 나환자(癩患者) 수용소(收容所)
7. 나병(癩病)의 이상(異常)한 소멸(消滅)
8. 나환자(癩患者)라는 어떤 이미지
9. 나환자(癩患者)의 역할(役割)을 대신(代身)하는 자(者)들
10. 바보들의 선박(船舶)
11. 경계선(境界線)을 방황(彷徨)하는 광인(狂人)들
12. 독일(獨逸)의 광인(狂人)들
13. 실종(失踪)을 통(通)한 추방(追放)
14. 광인(狂人)의 항해(航海)가 갖는 이상(異常)한 함의(含意)
15. 격리(隔離)와 소외(疏外)로서 광인(狂人)의 항해(航海)
16. 불확실성(不確實性)에로 추방(追放)된 광인(狂人)들
17. 신화(神話) 속 동일(同一)한 주제(主題)의 되풀이, 트리스탄 이졸데
18. 온전(穩全)한 사람의 악마적(惡魔的) 기질(氣質)
19. 유럽문명(文明)의 거대(巨大)한 불안(不安)
20. 일반적(一般的)인 비판(批判)의 대상(對象)이 된 광기(狂氣)
21. 재구성(再構成)된 광인(狂人) 이미지
22. 지식인(知識人)의 문학(文學)에 등장(登場)한 광기(狂氣)
23. 죽음의 이미지를 그린 각(各) 작품(作品)들
24. 죽음의 내재화(內在化) 혹(或)은 죽음의 무화(無化)
25. 여전히 문제(問題)가 되는 존재(存在)의 무(無)
26. 언어(言語)와 이미지 사이의 통일성(統一性) 해체(解體)
27. 환상(幻想)으로서 르네상스 시대(時代)의 광기(狂氣)
28. 고딕 시대(時代) 말기(末期)의 광기(狂氣)
29. 상상(想像)의 대상(對象)으로서 광기(狂氣)
30. 유혹(誘惑)으로서 상상(想像)된 광기(狂氣)
31. 어두운 동물성(動物性)으로서 광기(狂氣)
32. 인간(人間)을 매혹(魅惑)하는 지식(知識)으로서 광기(狂氣)
33. 금지(禁止)된 지식(知識)으로서 광기(狂氣)
34. 반기독교도(反基督敎徒)의 악마적(惡魔的) 승리(勝利)로서 광기(狂氣)
35. 동물적(動物的) 본성(本性)으로서 광기(狂氣)
36. 중세(中世)에는 광기(狂氣)를 악(惡)으로 분류(分類)했다
37. 인간적(人間的) 약점(弱點)으로서 광기(狂氣)
38. 무질서(無秩序)하고 쓸모없는 학문(學問)에 대(對)한 처벌(處罰)로서 광기(狂氣)
39. 인간(人間)의 내부(內部)에 잠재(潛在)된 광기(狂氣)
40. 국가(國家)라는 형태(形態)의 광기(狂氣)
41. 인간(人間)의 외부(外部)에 있는 광기(狂氣)는 없다
42. 자기집착(自己執着)으로서 광기(狂氣)
43. 거짓된 악(惡)으로서 광기(狂氣)
44. 도덕적(道德的) 풍자(諷刺)로서 광기(狂氣)
45. 진부(陳腐)한 일상(日常)으로서 광기(狂氣)
46. 공허(空虛)한 가정(假定)에 의(依)한?광기(狂氣)
47. 측정(測定)할 수?없는 광기(狂氣)
48. 광기(狂氣)가 진실(眞實)에 가까운 이유(理由)
49. 필사적(必死的)인 정열(情熱)의 광기(狂氣)
50. 치료(治療)의 밖에?있는 질병(疾病)으로서 광기(狂氣)
51. 광기(狂氣)는 매듭을 형성(形成)하고 주변(周邊)을 구성(構成)한다
52. 실수(失手)의 영역(領域) 속에 있는 광기(狂氣)
53. 광기(狂氣) 속에서 광기(狂氣)를 통(通)해 드러나는 진리(眞理)
54. 순수(純粹)하고 총체적(總體的)인 착오(錯誤)로서 광기(狂氣)
55. 병원(病院)을 통(通)해서 보존(保存)되고 유지(維持)되는 광기(狂氣)
56. 병원(病院)에 감금(監禁)된 광기(狂氣)
57. 반어적(反語的)인 기호(記號)로서 광기(狂氣)

제2장. 대감금(大監禁)?
1. 고전주의(古典主義) 시대(時代)에 표현(表現)까지도 금지(禁止)된 광기(狂氣)
2. 17세기(世紀) 동안에 많은 수(數)의 수용소(收容所)가 생겨났다
3. 빈민(貧民), 실업자(失業者), 죄수(罪囚), 광인(狂人)
4. 유사(類似) 권력기관(權力機關)으로서 병원(病院)이나 수용소(收容所)
5. 프랑스 대혁명(大革命)과 귀족정치(貴族政治)
6. 오삐딸 제네랄(hopital general)
7. 교회(敎會) 소속(所屬)의 광기(狂氣) 수용기관(受容機關)
8. 고전주의(古典主義) 시대(時代) 보편적(普遍的) 현상(現狀)으로서 광기(狂氣)
9. 광기(狂氣)의 격리(隔離)와 수용(收容)
10. 광기(狂氣)의 소외(疏外)와 감금(監禁)
11. 노동(勞動)할 수 없다면 광기(狂氣)로 분류(分類)된다
12. 무질서(無秩序)로서 광기(狂氣)의 원천(源泉)인 실업(失業)과 구걸(求乞)과 게으름
13. 광인(狂人)으로서 가난(家難)한 학자(學者)들과 극빈자(極貧者)들
14. 광인(狂人)으로서 실업자(失業者)
15. 추방(追放)에서 감금(監禁)의 대상(對象)이 된 광기(狂氣)
16. 경제적(經濟的) 위기(危機)의 해결책(解決策)으로서 광기(狂氣)의 감금(監禁)
17. 방탕(放蕩)의 자유(自由)로서 광기(狂氣)
18. 광기(狂氣)로서 실업자(失業者), 이성(理性)으로서 노동자(勞動者)
19. 가능(可能)한 저임금(低賃金)으로 성실(誠實)히 노동(勞動)하는 이성(理性)
20. 만악(萬惡)의 근원(根源)인 게으름으로서 광기(狂氣)
21. 고전주의(古典主義) 시대(時代) 감금(監禁)의 이중적(二重的) 역할(役割)
22. 광기(狂氣)의 치유책(治癒策)으로서 노동(勞動)이라는 징벌(懲罰)
23. 광기(狂氣)의 치유(治癒)로서 노동(勞動)
24. 빈곤(貧困)이라는 부조리(不條理)한 오만(傲慢)
25. 빈곤(貧困), 유랑(流浪), 실업(失業)을 대체(代替)하는 광기(狂氣)
26. 노동(勞動)이라는 신성(神聖)한 권력(權力)으로부터 분리(分離)된 광기(狂氣)
27. 인간(人間)의 자격(資格)이 없는 도덕적(道德的) 결핍자(缺乏者)로서 광인(狂人)
28. 국가적(國家的) 제도(制度)에 의(依)해 감금(監禁)된 광기(狂氣)
29. 부르주아들에 의(依)해 감금(監禁)된 광기(狂氣)
30. 광기(狂氣)에 대(對)한 압제적(壓制的)인 통합(統合)의 결과(結果)로서 감금(監禁)

저자소개

미셸 푸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6년 프랑스 푸아티에에서 태어났다.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박사학위 논문인 《광기의 역사》로 학자 인생을 시작했으며, 《말과 사물》이 대대적으로 성공하면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주류 지식인 집단에 잘 스며들지 못했던 탓에 프랑스를 떠나 스웨덴, 튀니지 등을 전전했다. 1968년 5월 이후 파리로 돌아와 뱅센실험대학 설립에 참여하고 1970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취임했다. 이후 죽을 때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강의하며 저술 활동을 벌이는 한편, 튀니지의 반독재 투쟁과 프랑스의 68혁명 등을 목도한 뒤부터는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이어 나가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광기의 역사》, 《말과 사물》, 《감시와 처벌》, 《성의 역사》 연작 등이 있고, 사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발간되어 세계적으로 다시 한번 주목받으면서 새로운 사유들을 자극하고 있다.
펼치기
탁양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卓良炫은 원광대학교 재학시절 詩作과 國樂에 심취했고 이후 시와 소설을 습작하면서 東西와 古今의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공부를 시작했다. 석사과정에는 「莊子의 예술정신」을 주제로 논문연구를 했으며 박사과정에는 ‘魏晉玄學’과 ‘철학적 상담·치유’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시집으로 "나보다 못난 나를 위해"와 "사랑"이 있고 논문으로 「老子에서 ‘玄’字 의미 연구」, 「莊子의 感性的 사유방식」, 「莊子의 悲劇美學的 사유방식」 등이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에 있으며 광주광역시에서 조촐한 ‘인문학글방’을 꾸리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