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

박휴용 (지은이)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1,200원
22,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800원 -10% 840원 14,280원 >

책 이미지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3721161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1-03-10

책 소개

기술중심 및 정보통신 사회로의 전환이 어떻게 지식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학생들의 경험과 학습이 어떻게 변하게 될 것인가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학교 지식의 성격과 학습 환경의 기술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교육의 미래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제1부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머니즘: 지식, 기술, 그리고 포스트휴먼>

제1장 기술중심 사회와 포스트휴먼적 지식: 10개의 질문들

1. 포스트휴먼적 지식이란 무엇인가? •21

2. 지식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25

3. 지식인이란 어떤 존재인가? •30

4. 지식은 구분될 수 있는가? •33

5. 지식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37

6. 지식의 미래는 어떠한가? •40

7. 지식과 기술의 관계: 테크놀로지의 효과 •44

8. 포스트휴먼 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49

9. 포스트휴먼적 학습자란 누구인가? •50

10. 포스트휴먼 시대의 학교 교육은 어떻게 될 것인가? •54

제2장 미래의 기술적 변화와 학교 지식의 성격

1. 미래 사회의 변화와 지식의 성격: 지식에서 정보로 •59

2. 지식의 물질성: 신물질주의적 관점 •63

3. 지식과 존재의 불가분리성: 포스트현상학적 설명 •66

4. 지식의 다양식성: 객체지향존재론의 관점 •69

제3장 기술 중심 교육의 개념적 틀: 기술, 인간, 교육의 혼융

1. 인본주의적 기술관에서 포스트휴먼적 기술관으로 •75

2. 인간, 기술, 교육의 공존 관계 •78

3. 포스트휴먼적 평가의 미래 •82
1) 포스트휴먼적 평가의 개념적 기반 •82
2) 포스트휴먼적 평가로의 변화: 디지털 기반 평가 •86
3) 포스트휴먼적 평가의 실행 전략 •92

<제2부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학습의 이해>

제4장 포스트휴머니즘의 3가지 이론적 관점

1. 신물질주의: 일원론에 기반 기술 - 인간의 혼성화 •101

2. 객체지향존재론: 수평적 존재론과 포스트휴먼적 학습자 •108

3. 포스트현상학: 인간, 기술, 학습의 혼융 •114

제5장 포스트휴먼 학습의 등장

1. 포스트휴먼 학습자란 누구인가? •124
1)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변화 •125
2) 포스트휴먼적 존재와 학습 •128
3) 포스트휴먼적 학습과 지식/정보 생태계의 변화 •134

2. 포스트휴먼적 학습이론이란 무엇인가? •136
1) 인본주의적 학습이론에서 포스트휴먼적 학습이론으로 •136
2) 포스트휴먼 - 행동주의의 등장 •139
3) 인지주의에서 연결주의로 •144
4) 구성주의에서 관계주의로 •148

<제3부 정보화 사회와 인공지능의 등장>

제6장 인공지능의 개념과 기술적 현황: 기계번역기의 등장

1. 인공지능 번역의 발달 과정 •159

2. 기계번역의 타당성과 인간 번역의 효용성 사이의 딜레마 •163

3. 인간 번역 및 외국어 능력의 역할에 대한 일고 •169

제7장 빅데이터 시대의 융합지식의 성격과 양상

1. 정보의 팽창과 빅데이터의 등장 •173

2. 빅데이터와 데이터 마이닝 •178
1) 텍스트 마이닝이란? •178
2) 데이터 마이닝이란? •181
3) 데이터 기반 영상 분석 •184

3. 데이터 기반 학습 관리의 실제 •192
1) 데이터 기반 학습 관리시스템의 기본 개념 •192
2) 데이터 기반 학습 분석시스템의 요소와 구조 •193
3)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활용 •195
4) 빅데이터에 기반한 학습 분석 •198

제8장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1. 학교교육에 있어서 AI 기술의 적용 •202
2. 학교 밖에서의 AI 기술의 적용 •204
3. AI 기반 교육의 장점 •206
4. 인공지능 시대의 학습의 미래: 바이오로이드적 학습의 등장 •208

<제4부 포스트휴먼 사회에서의 학교교육과정의 변화>

제9장 학교지식 인식론의 전환

1. 전통적 지식 구분의 타당성 •215

2. 20세기 인식론의 한계와 그 해체적 접근 •220
1) 본질주의적 인식론의 오류 •220
2) 구조주의적 인식론의 재검토 •223
3) 경험주의적 인식론의 한계 •225

3. 탈인본주의적 인식론의 대안: 비대표성이론 •230

4. 소결: 인본주의적 경험(사회문화이론)에서 포스트휴먼적 경험(사회물질이론)으로 •235

제10장 포스트휴먼 교육과정의 미래

1. 포스트휴먼 교육과정의 기본 원리 •239
1) 지식과 방법의 물질성 •240
2) 사물의 역량 인식 •244
3) 얽혀있음의 교육과정 •247
4) 정서기반교육 •250

2. 포스트휴먼적 교육과정의 형태와 성격 •254
1) 스펙트럼 교육과정 •254
2) 횡단적 교육과정 •258
3) 교육과정 너머의 접근 •261

제11장 포스트휴먼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

1. 리터러시 이론의 발달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등장 •268
1) 리터러시의 지형도 •268
2)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등장 •271

2.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 •276
1)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양식성: 디지털 리터러시 •276
2)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 관점: 탈인본주의 리터러시 •278
3)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방향성: 비판적 리터러시 •280
4)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성격: 혼성적 리터러시 •282

3.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 •284
1) 신물질주의 •284
2) 행위자망이론 •286
3) 비대표성이론 •289
4) 포스트현상학 •292

4.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관심 •295
1) 리터러시의 정서성 •295
2) 리터러시 담론의 물질성 •298
3) 가상적 정체성 •300

5.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302
1) 범주 확장 교육 •303
2)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의 확장 •305
3) 정리하며 •307

<제5부 미래의 기술적 변화와 학습의 혁명>

제12장 사이버 세계의 확장과 학습의 혁명

1. 시뮬라크라: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란 없다. •315

2. 가상현실: 뉴노멀 •318

3. 경험적 학습과 메타 학습 •322
1) 경험적 학습: 인본주의 학습이론 •322
2) 메타 학습: 탈인본주의 학습이론 •324

4. 메타 - 세계: 손에 잡히는 것만이 현실이 아니다. •327

5. 메타 - 학습의 제약들 •329

제13장 메타-세계 기술들의 교육적 적용

1. 증강현실 기술의 교육적 적용 •334
1) 증강현실 기술과 학습 •334
2) 증강현실 기술의 교육적 활용 사례 •336

2. 생활 기록을 활용한 학습 •343
1) 생활 기록의 개념과 목적 •343
2) 생활 기록의 원리 •344
3) 생활 기록의 활용성 •346

3. 거울세계에서의 학습 •349

제14장 기술기반 학습의 이해와 실천

1. 기술 향상적 학습의 이해 •354

2. 사이버 학습 •357

3. 네트워크 학습 •361
1) 네트워크 학습의 이해 •361
2) 네트워크 학습의 성격: 공간성, 가상성, 연결성 •363

4. 뉴미디어적 학습 •366
1) 뉴미디어적 학습이란? •366
2) 뉴미디어 학습의 원리: 포스트현상학과 피드포워드 •368
3) 뉴미디어 학습의 전략들 •370

5. 모빌리티 학습 •373

6. 영상기반 학습 •377
1) 영상기반 학습의 기본 원리 •377
2) 영상기반 학습의 대표: Google의 YouTube •380

7. 기술기반 수업의 사례 •383
1) 초등 수학 A •384
2) 초등 수학 B •384
3) 중학 영어 •388
4) 중학 과학 •389
5) 중학 국사 •390
6) 중학 기술·가정 •391
7) 교과융합 및 창체활동 협력적 수업 •392
8) 초등 정보 교과 •393
9) 초등 실과 A •394
10) 초등 실과 B •396

나가는 말 •399
참고문헌 •410
찾아보기 •445

저자소개

박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 AI융합교육연구소장과 SSK 디지털기반교수학습연구(DiTeL) 연구책임자를 맡고 있다. 국무총리산하 국정평가 자문위원, 다문화교육학회 부회장 및 여러 학회 이사, 전북대학교 사범대 부학장을 역임했고, 행안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자문위원, 학술진흥재단 전문평가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융합지식과 융합교육과정』(2018),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의 미래』(2019), 『포스트휴먼 교수학습론』(2021), 『인공지능기반 교육의 원리와 실제』(2023) 등이 있다. 네 저서는 각각 2019, 2020, 2022년 세종우수학술도서와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에 선정된 바 있다. KCI, SCI, SSCI, SCOPUS 등에 1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질적연구방법론, AI 융합교육 관련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372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