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372172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08-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5
서장 - 근대농업사의 새로운 전환 13
1부 구조와 전개
제1장 / 지주 · 소작관계의 지역구조와 전개
1. 지주 · 소작관계의 두 가지 문제 35
2. 지주적 토지소유의 유형과 특징 37
3. 지주 · 소작관계의 전개 43
4. 지주제의 지대유형과 정체국면 53
제2장 / 일본인 지주경영의 전개와 소작경영
1. 일본인 지주의 양면성 60
2. 지주경영의 전개 63
3. 소작경영의 존재형태 81
4. 일본인 지주와 조선인 소작농 91
제3장 / 일제하 일본인 지주의 일 존재형태
1. 법인지주 「부민협회」 98
2. 모토야마 히코이치(本山彦一)와 「부민협회」의 설립 100
3. 「부민협회」의 설립목적과 사업 105
4. 「부민협회」와 조선농장경영 112
5. 공익 지주와 사익 지주 123
2부 변화와 성격
제4장 / 농업기술체계의 변화와 성격
1. 전북 쌀은 ‘천하의 총아’ 129
2. 농업기술체계의 변화 132
3. 농업기술체계의 성격 152
4. 근대적 수익성과 재래적 생태성 161
제5장 / 일본인 농업이민과 불이농촌
1. 한 일본인의 개인기록 168
2. 일본인의 조선농업이민과 불이농촌의 건설 171
3. 야마가타촌 이주와 공동경영 177
4. 저리자금 상환과 암거배수법의 도입 187
5. 일본인 커뮤니티와 조선인 194
6. 일본인 이민농촌의 개방과 폐쇄 198
제6장 / 농촌인구의 유출구조
1. 농촌인구 유출 문제 208
2. 전북 농촌의 구조적 특징 210
3. 농촌인구의 유출과 지주적 토지소유 215
4. 공업화와 지주적 토지소유 222
제7장 / 농민운동의 성격변화
1. 농민운동의 주류적 경향 225
2. 농민운동의 발생기반과 추이 229
3. 농민운동의 성격 변화와 특징 235
4. 농민운동의 의의와 한계 246
5. 농민운동과 전향적 궁핍화 251
3부 해체와 고착
제8장 / 농지개혁과 지주제의 해체
1. 토지개혁의 시대 261
2. 농지개혁의 배경과 실시 262
3. 미군정의 토지정책 271
4. 한국정부의 농지개혁 275
5. 농지개혁의 결과 283
6. 농지개혁과 전북의 낙후 293
제9장 / 전주의 경제구조와 변화
1. 조선시대 대도읍, 전주 301
2. 전주의 경제적 특성 303
3. 전주경제의 구조와 변화 308
4. 공업도시로의 좌절 321
5. 전주의 소비도시화 330
제10장 / 전북경제의 전개와 고착화
1. 전북의 유위전환(有爲轉換) 338
2. 일제 강점기 전북 경제의 전개 342
3. 경제개발과 전북 경제의 전개 357
4. 전북의 낙후성 고착화 372
종장 - 지주제 · 기술과 지역 376
표 및 그림, 사진 일람 385
참고문헌 391
찾아보기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