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67640262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13-06-29
책 소개
목차
서문 3
제1부 시.공간 압축 속의 농촌변화
제1장 국가정책과 시.공간 압축 17
1. 1980~90년대 농정과 임실농촌의 변화|소순열 17
1) 농정기조의 변화 17
2) 농민후계자 육성 20
3) 복합영농개발 21
4) 농촌공업단지의 조성 21
5) 농산물 수입자유화 22
6) 농가부채 경감 및 종합대책 23
2. 근대적 시.공간의 형성과 농촌사회의 변화|이성호 24
1) 1980년대 농촌사회의 공간적 변화 25
(1) 생활공간의 확장과 압축 25
(2) 마을 공간의 개방과 국가 개입 31
2) 개인기록의 계량화(計量化) 가능성의 탐색―시.공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34
(1) 시간 및 공간 변수의 지표화를 위한 논의 35
(2) 변수의 구성 37
3. 1980년대 생활과 생활권역의 변화|김규남 38
1) 압축적 도시화 속의 농촌변화 38
2) 마을 내부에서의 삶의 변화 39
3) 사회 활동의 변화와 활동 공간의 확대 42
4) 여가 생활과 관광 44
5) 노년기의 불안감과 병원 출입 46
6) 맺음말 47
제2장 농촌개발과 농촌사회조직 51
1. 개발 이후의 개발|김희숙 51
1) 1980년대 이후 농업.농촌 일반 51
2) 농업의 곤경: 농업생산수익의 저하와 농가부채문제 52
3) 복합영농과 농어촌후계자 육성 54
4) 새마을운동의 지속과 변화 56
2. 농가사업과 생활환경|문만용 59
1) 개관 59
2) 농업 61
3) 도정공장 63
4) 기타 농가 사업 65
5) 생활환경 66
6) 보건의료 68
7) 맺음말 71
3. 촌락사회의 조직들|안승택 71
1) 행정조직 71
2) 대동조직 73
3) 생산조직 75
4) 상조조직 78
제3장 가족, 친척, 언어생활의 변화 81
1. 가족, 친척, 그리고 조상숭배|이정덕 81
1) 부모와 형제 81
2) 아내, 자녀, 며느리, 손자손녀 84
3) 부계 친척 88
4) 외가 친척 91
5) 처가 친척 93
6) 장례, 산소, 제사 96
7) 宗親會와 墓祀 100
2. 언어생활의 변화|김규남 106
1) 들어가기 106
2) 저자가 남긴 기록물과 그 특성 107
3) 언어적 배경과 사회적 성장 108
4) 위신 표기의 변이와 변화 112
5) 나오기 118
3. 물(物)로서의 일기|김민영 119
1) 일기장의 외관 120
2) 일기장의 구성 121
3) 필기구의 사용 123
(1) 돈과 관련된 경우 123
(2) 건강과 관련된 경우 124
(3) 금주와 관련된 경우 124
(4) 자식과 관련된 경우 125
(5) 기타 125
4) 기록 방식의 변화 126
5) 기타 127
제2부 창평일기Ⅱ(1981년~1986년)
-1981년
131
-1982년
190
-1983년
262
-1984년
326
-1985년
387
-1986년
432
찾아보기 485
저자소개
책속에서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가 가장 빠르게 경제성장할 때(1820~1870) 영국은 연평균 2% 미국은 4.2%를 성장하였지만, 20세기 후반 한국, 대만, 중국은 30년 이상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였다. 세계사에 이렇게 빠른 속도로 성장해본 적이 없다. 역사, 가치관, 경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구화가 근대화로 간주되어 많은 국가들이 서구를 모방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갈수록 서구의 근대화 경험은 보편성이 없는 서구의 독특한 역사, 정치,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마틴 자크는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는 날??(2009, 부키)에서 중국이 2027년 GDP에서 미국을 추월할 것이며, 중국의 역사적 경험, 문화, 제도가 서구와 달라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는 중국의 가치관과 제도를 중심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매년 10% 성장하는 국가에서의 개인경험과 2% 성장하는 국가에서의 개인경험은 크게 다르다. 10%씩 성장하는 경우 가족구조, 사회체제, 인간관계도 급속하게 변한다. 또한 각 국가가 세계질서에서 처한 위치나, 서구의 가치와 동아시아의 가치가 크게 다른 만큼 이러한 차이도 경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우리 연구팀은 압축적 근대화의 이러한 경험이 문명권 사이(예: 유럽과 동아시아), 국가 사이(예: 영국, 프랑스, 폴란드, 일본, 한국, 중국, 베트남), 지역 사이(예: 전라권, 경상권 / 농촌, 도시)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그 당시의 일상을 생생하게 기록한 개인기록(일기 등)을 통하여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서구가 주도하는 ‘글로벌 스탠다드’가 사회제도, 관계, 생활에까지 압축되어 관철될 것인지, 동아시아 각국의 독특한 역사, 제도, 가치가 압축적 경험의 중심이 되어 ‘독자적 문화’를 유지하며 발전할 것인지, 또는 이들이 교배되어 압축적 혼종현상으로 나타날 것인지, 혼종현상이 나타나면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인지, 그리고 앞으로 동아시아가 주도하는 세계가 어느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가를 전망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연구는 서구 중심주의적 근대관념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가치와 경험이 중요하게 반영되는 보다 보편적인 근대와 미래를 탐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