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64841738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9-2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
이 책의 핵심
제1장 지금, 왜 도덕적 기업을 말하는가?
끝을 알 수 없는 긴 경제불황
일본의 급성장 저력을 파헤치다
기술력이 있는 근면한 민중의 힘
근대화의 기반을 살피는 일
일본을 바꾼 석문심학의 창시자
내가 하는 일의 의미를 모른다면
근면, 검약, 정직에 관하여
지속적인 경제 발전의 기반, 도덕력
제2장 도덕 없이는 시장도 없다: 이시다 바이간과 애덤 스미스
찰나의 머니 게임을 경계하라
시장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시장 참가 자격, 도덕성에 관하여
제멋대로 하는 행동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
상인에게 왜 도덕성이 필요한가?
인간 본성과 경제활
공공을 위하는 행위의 결과
제3장 상업은 정직에서 시작된다
이익을 추구하면 천한 것인가
지금, 상인의 길을 묻다
상업에도 공감이 필요하다
판매 이익의 근거는 예의다
바이간이 꿰뚫어본 시장 원리
이중 이익을 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반드시 정직한 사람이 번성한다
제4장 검약은 개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소비와 검약, 어느 쪽이 맞을까?
소비를 위해 검약이 필요하다
사치란 무엇일까
세상을 위한 절약
검약으로 인간관계도 좋아진다
돈을 잘 쓰는 것도 검약이다
무작정 적게 쓰는 게 절약이 아니다
사욕에 기반을 둔 검약은 소용없다
검약 사상과 미의식의 관계
제5장 일과 인생의 의미
학문과 종교는 마음을 닦는 도구다
종교 활용법
내가 하는 일의 의미를 안다는 것
도덕을 실천하는 자가 성인이다
일에 열중하게 만드는 힘
자신이 처한 상황을 직시하라
내가 처한 상황에서의 노력
제6장 위기 때 빛나는 자기경영
천재지변이 닥쳐도 일상생활을 지속하라
남을 도와야 살아나는 경제
모두의 문제를 내 것으로 받아들여라
일상적 검약의 지혜
결국, 사람중심 경영이 살아남는다
소비 욕망은 어떻게 생겨날까
환경을 탓하기 전, 자세를 돌아보라
제7장 살아남는 기업이 되기 위하여
에도 시대의 피터 드러커
사욕은 인간의 본성이 아니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은 기업의 의무다
공동체에 주목하라
가족주의가 재조명받는 이유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시민성을 생각하다
위치와 역할이 인생을 빛나게 한다
맺음말
주요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바이간은 상인으로 일한 경험 덕분에 ‘상업’, ‘경제’, ‘경영’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상인을 그만두고 전업 사상가가 된 후로는 상업, 경제, 경영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 온 힘을 쏟았다. 그 설명은 당시의 많은 학자들처럼 특정 사상의 틀에 얽매이거나 종교적인 구원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었다. 바이간은 엄연한 경제학자이자 경영학자였다. 현대의 사회과학처럼 수치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 본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에서 이야기를 시작해 경제·경영을 논했다. 그의 사상은 서양의 애덤 스미스의 사상과 매우 닮았다.
_<머리말> 중에서
그렇다면 왜 스미스는 시장 참가자를 도덕적인 사람들로 한정하려고 했을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규칙지상주의자 혹은 자기애를 드러내며 행동하는 참가자는 시장이라는 시스템 자체를 붕괴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을 떠받치는 다양한 공동체를 파괴하는 것일 수도 있다. 공동체의 파괴는 단독으로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성마저 허물어버리는 것이며, 인간이라는 종의 자멸을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덤 스미스가 이렇게까지 깊고 상세하게 고찰해온 시장과 도덕의 관계는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잊히고 말았다.
_<제멋대로 하는 행동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 중에서
욕심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위의 대부분은 단기적으로 수입을 증가시킬지언정 장기적으로는 기대하던 바와 정반대의 상황을 초래하는 법이다. 바이간은 행위 자체보다 마음의 상태를 고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의 상태는 ‘정직’이었다. (…중략…) 정직한 자는 결과적으로 장사도 번성할 것이라고 언급한다. 이는 생각해보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다. ‘이중 이익’을 취하는 사람보다 정직한 사람과 거래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
_<반드시 정직한 사람이 번성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