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4845958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8-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4
프롤로그 8
PART 01 상생으로 발전하다, 충남 서산시
갯벌을 메워 만든 개별입지 공단 21
도시를 살린 혁신 클러스터 28
기업들이 감동한 서산시 행정 32
같은 꿈을 꾸는 서산 사람들 41
서해안의 도시, 해뜨는 서산입니다(서산시장 이완섭) 50
PART 02 인구·산업·도시
데드크로스, 점점 더 작아지는 한국 57
인구 변화, 도시와 산업 61
초저출산, 청년이 포기한 미래 66
새로운 인구 모델, 생활·체류·관계 인구 72
PART 03 디지털이 바꾼 세상
끊임없는 연결, 디지털 네트워크 83
디지털 전환과 도시 95
산업 구조, 디지털로 재편되다 101
퍼스트 무버, 창조 없이 이익 없다 106
적층형 생산, 디지털 벤처 시대를 열다 111
PART 04 혁신 클러스터, 도시를 살린다
산업 발전, 새로운 엔진이 필요하다 119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 성공 사례 129
혁신 성장, 네트워크가 답이다 143
PART 05 도시의 희망, 청년
건강한 뿌리, 로컬 크리에이터 149
도시 발전의 핵심, 청년 인재 157
혁신 인재, 어떤 공간을 좋아할까? 163
축소 도시, 지방 대학에 올인하라 168
PART 06 콤팩트-네트워크
중심 도시와 네트워크 도시 179
콤팩트 시티 184
콤팩트-네트워크 시티 211
PART 07 도시를 해부하다, 경기도 안성시
변곡점에 선 도시, 안성 239
안성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기 244
SWOT MIX와 ERRC 250
혁신 성장을 위한 7가지 제안 258
안성맞춤의 도시가 내일을 꿈꿉니다(안성시장 김보라) 270
에필로그 27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기존의 질병이 역사의 흐름을 뒤바꿔놓는 변화였다면, 코로나는 같은 방향의 흐름을 더욱 가속시키는 역할을 했다. 코로나가 디지털과 함께 10년 후의 미래를 불과 2년 만에 우리 앞의 현실로 불러들인 것이다. 코로나로 붕괴된 인류의 삶을 디지털을 활용해 정상화하는 과정에서의 가속이었을 것이다.
나는 서산시의 행정에 감동했다. 기초지자체에서는 실행하기 힘든 과감한 행정이었다. 1개 기업이 실수요로 개발한 산업단지의 폐수처리장을 5개 대형 산업단지에서 대기업을 포함한 60개 기업에서 사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것은 광역지자체에서도 하기 힘든 선진 행정이다. 다른 도시였다면 산업단지 계획 수립 시 반영된 대로 폐수처리장을 설치하고 업무를 마무리하지 않았을까? 이 같은 서산시의 선진 행정으로 수백억 원 혹은 천억 원 이상의 국고 절감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해보았다.
중심지 이론이 도시의 인구 규모를 기준으로 한다면, 네트워크 도시 이론은 도시 간 상호 관계를 중시한다. 2개 이상의 도시들이 기능상 상호 보완적 관계에서 협력한다. 교통과 통신수단을 활용해 집적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하고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도시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중소 도시들도 고차원적이고 전문화된 기능을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