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65030223
· 쪽수 : 425쪽
· 출판일 : 2020-01-31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존재와 인식에 관한 철학적 성찰 <애니매트릭스>의 도가철학적 해석의 가능성 …21
1. 문제의 소재 …21
2. <애니매트릭스>의 줄거리 …24
3. 존재에 관한 성찰: 실재와 가상의 세계 …33
4. 인식에 관한 성찰: 내가 아는 것이 진리인가? …39
5. 삶의 실천적 지혜를 위하여 …45
Chapter 02 공자의 삶의 교훈과 이념의 복권 <공자: 춘추전국시대>의 주요 사건과 사료적 근거 …51
1. 문제의 소재 …51
2. 순장의 부정 …53
3. 협곡의 회담 …55
4. 노자와의 만남 …60
5. 남자와의 만남 …64
6. 제자들의 죽음과 공자의 귀환 …69
7. 공자의 복권과 중국의 꿈 …73
Chapter 03 노자철학의 기본 입장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의 노자철학적 은유 …79
1. 노자와 새로운 생명의 만남 …79
2. 이름, 그 신화적 권력으로부터의 해방 …81
3. 골짜기의 신과 여성성의 기호 …88
4. 어린아이의 은유와 탐욕으로부터의 자유 …96
5. 논의의 의의와 전망 …104
Chapter 04 노자의 이상적 세계상 미야자키 하야오와 노자철학적 세계관의 조응 …109
1. 문제의 소재 …109
2. 물의 은유, 평화 또는 전쟁 없는 세계상 …111
3. 작은 나라의 은유와 축소지향적 세계상 …119
4. 문명비판과 유기체적 세계로의 귀환 …126
5. 논의의 의의와 전망 …133
Chapter 05 장자의 ‘소요유’의 철학과 고래의 비상 <나의 붉은 고래>에 반영된 장자‘ 소요유’의 철학정신 …137
1. 문제의 소재 …137
2. 작품의 줄거리 …139
3. ‘소요유’의 정신과 고래의 비상 …141
4. ‘춘’과 ‘추’의 장자철학적 의의 …147
5. 끝없는 생명의 변화 …156
Chapter 06 장자의 칼의 철학과 비인칭적 자아의 공부론 <의천도룡기>에 반영된 장자철학의 요소 …161
1. 문제의 소재 …161
2. 영화의 줄거리 …163
3. 장자의 관점에서 본 의천검과 도룡도의 비밀 …168
4. 무기(無忌)와 무기(無己): 장자의 비인칭적 자아의 인간상 …174
5. 좌망(坐忘): 장자의 잊음의 공부론 …180
6. 무장해제의 철학과 그 의의 …186
Chapter 07 묵가의 비공론, 그 전쟁비판론의 의의와 한계 영화 <묵공>의 철학적 분석 …191
1. 문제의 소재 …191
2. <묵공>에 반영된 묵가철학의 요소와 의의 …194
3. <묵공>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대립과 사상의 전향 …208
4. 묵가철학의 의의와 한계 …218
Chapter 08 손빈의 군사사상과 철학적 의의 <전국: 천하영웅의 시대>를 중심으로 …223
1. 문제의 소재 …223
2. 영화 속 손빈과 역사적 손빈 …225
3. <전국>에 반영된 손빈의 군사사상 …238
4. 손빈사상의 지혜와 철학적 의의 …248
Chapter 09 중국 천하주의의 색채 미학적 귀환 장이머우 <영웅>의 철학적 배경과 천하주의 …257
1. 문제의 소재 …257
2. 욕망의 기제와 만난 중국역사의 꿈 …260
3. 음양가 오행론의 색채 미학적 반영 …265
4. 유가·도가·법가, 철학의 삼파전과 천하주의 …273
5. <영웅>의 불편한 진실과 마주서기 …281
Chapter 10 붓다의 삶과 사상 그리고 환생의 문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리틀 붓다>를 중심으로 …289
1. 문제의 소재 …289
2. 작품의 줄거리 …291
3. 붓다의 생애 또는 싯다르타 왕자 이야기 …294
4. 붓다의 초전법륜 또는 불교의 근본사상 …303
5. 환생에 대한 종교적 믿음의 특수성 …307
Chapter 11 도겐의 생애와 선사상의 주요 특징 타카하시 반메이의 영화 <선>(禪, ZEN )의 내용을 중심으로 …315
1. 문제의 소재 …315
2. 도겐의 생애와 불법수행의 여정 …317
3. 도겐 선사상의 주요 특징 …334
4. 도겐 이후, 일본조동종 넘어서기 …339
Chapter 12 주화론과 주전론의 양립 <남한산성>에 반영된 두 가지 유학의 이념 …345
1. 문제의 소재 …345
2. <남한산성>의 역사적 배경: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 …347
3. 최명길의 주화론과 양명학적 이념의 요소 …355
4. 김상헌의 주전론과 주자학의 이념적 세계 …363
5. 팩션의 역사: 사실과 픽션 사이 …370
Chapter 13 개벽의 꽃,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 영화 <개벽>을 중심으로 …377
1. 문제의 소재 …377
2. <개벽> 시나리오를 위한 변명 …379
3. 해월 동학사상의 용담연원 …386
4. 해월 동학사상의 핵심 내용 …394
5. 과제로 남은 ‘다시개벽’의 꿈 …405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언가를 사랑하면서 참다운 지혜를 갖추고 산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다. 안다는 문제와 실천하며 산다는 문제는 또한 별개의 것으로 분리되어 있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앎이 실천으로 이어질 때 그것을 진정한 앎이라고 부를 수 있다. (…) 삶의 실천적 지혜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꿈과 현실의 경계를 깨닫지 못하고 살게 될 것이다. (…) 장자는 우리에게 꿈에서 깨어날 것을 요청한다. 장자는 매트릭스에서의 방향전환의 필요성을 요구한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