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율곡과 노자

율곡과 노자

(『순언』에 관한 철학적 모색)

이종성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율곡과 노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율곡과 노자 (『순언』에 관한 철학적 모색)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88975996030
· 쪽수 : 459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조선시대 최초의 <노자> 주해서인 율곡의 <순언>을 풀이한 책으로, 전체 11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순언>의 저술 동기와 구성체계를 살펴보았고, 제2장은 <순언>에 나타난 형이상학의 문제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목차

01 『순언』의 저술 동기와 구성체계
1. 율곡철학의 특징 _18
2. 『순언』의 저술 동기 _21
3. 『순언』의 구성 체계 _31
4. 담와 홍계희희 『순언』관 _37

02 형이상학적 세계관
1. 머리말 _46
2. 도의 본체와 묘용: ‘무위’의 공능과 ‘무불위’의 효용 _48
3. 사물의 본체와 작용: 사물의 현전과 기의 분화 _54
4. 도와 사물의 존재론적 상관관계 _60
5. 맺음말 _65

03 덕론과 그 구현의 문제
1. 문제의 제기 _70
2. 덕론의 기본 입장 _71
3. 덕의 몇 가지 유형과 특징 _75
4. 덕의 구현과 방법 _89
5. 현대적 의의 _95

04 수기론 또는 자아 수련의 문제
1. 자아 수련의 유도 회통의 가능성 _100
2. 몸과 마음의 현상학 _ 104
3. 욕망의 제어와 분별지의 부정 _112
4. 덜어냄과 아낌 혹은 수렴의 거경학 _120
5. 자아의 완성과 참된 도리의 구현 _129

05 삼보론과 삶의 기술
1. 문제의 소재: 삶의 기술을 찾아서 _134
2. 첫 번째 보배: 자애에 관하여 _ 136
3. 두 번째 보배: 검약에 관하여 _141
4. 세 번째 보배: 겸허에 관하여 _145
5. 논의의 의의: 지도자의 덕목 갖추기 _ 156

06 양생론의 철학적 의의
1. 문제의 제기 _160
2. 양생에 대한 기본 관점 _162
3. 양생에 대한 정치철학적 입장 177
4. 『순언』의 양생론적 의의 _ 193

07 경세론의 기본 입장
1. 머리말 _198
2. 경세론에 관한 연구사 검토 _200
3. 경세의 전제 조건 _205
4. 경세의 주체와 성인 _212
5. 경세의 원리와 ‘무위’ _222
6. 남은 문제들 _228

08 무실의 경세학: 경세의 과제와 의의
1. 정치적 진실성의 결여 넘어서기 _232
2. 사사로운 자아의 배제 _235
3. ‘유위’의 정치적 해독의 제거 _240
4. 무력의 전쟁에 대한 부정 _246
5. 신령숭배에 대한 비판 _252
6. 『순언』의 경세론적 의의 _259

09 정치철학적 믿음의 함의
1. 문제의 제기 _226
2. 천명에 대한 믿음과 자각 _268
3. 언어와 정치적 믿음의 관계 _275
4. 믿음의 정치적 구현 또는 정치와 도덕의 소통 _283
5. 요약 및 남은 과제 _290

10 큰길과 곁길: 『순언』의 선택지
1. 문제의 제기 _294
2. 『순언』 종장의 구성과 내용 _296
3. 큰길과 곁길의 구분 _306
4. 큰길과 곁길에 대한 본말론적 해석 _311
5. 논의의 종합 _320

11 『순언』의 연구동향과 전망
1. 『순언』 연구사 고찰의 의의 _ 326
2. 『순언』의 연구동향 및 특징 _329
3. 남은 과제 혹은 『순언』 넘어서기 _369

 참고문헌 _374

부록
[부록1] 『순언』 원문 _384
[부록2] 『노자』 원문 _439

저자소개

이종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현재 충남대 인문학연구원장과 대한철학회 및 율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장자연구로 충남대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저서로 『믿음이란 무엇인가』(2014), 『율곡과 노자』(2016), 『맨얼굴의 장자』(2017), 『역사 속의 한국철학』(2017), 『동양필로시네마』(2019), 『위진현학』(2001, 공저), 『21세기의 동양철학』(2005,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순언』은 이상과 같은 노자적 경세론의 내용들을 고스란히 담아내면서도, 또한 그 총결 부분에 이르러서는 이를 수렴하여 ‘왕도정치’의 효과로써 귀결시키는 특징이 있다. 특히, 현실정치에서 도리가 닦여 밝혀지게 되면 부정한 기운이 모두 사라진다는 주자의 말을 인용하여 왕도정치의 효용에 관하여 담론하였던 율곡의 입장에서는 노자를 통해 노자를 보기보다는 유가 또는 성리학을 통해 노자를 독해한 특징이 발견된다. 그럼에도 유가 또는 성리학의 정치적 이상인 왕도정치란 노자의 경세론적 덕목들과 서로 상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상호 소통된다는 입장을 표방하기도 한다.


[ 저자서문 ]
내가 『순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논문으로 작성하기 시작한 것은 충남대 철학과에 전임교수가 되기 바로 전년도인 1998년이었다. 지나간 햇수를 셈해보니 벌써 18년 전의 일이다. 그때 나는 『순언』 연구에 관한 전문연구서 출간을 목표로 꾸준히 연구논문을 작성해나갈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 몇 편의 원고를 근근이 작성하긴 하였지만, 이러저러한 일들도 인해 애초에 계획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근자에 들어오면서 다시금 마음을 다잡고 그동안의 지지부진한 연구 성과만이라도 모아서 책으로 엮어보고자 마음먹게 되었다. 이러한 결심을 갖게 된 이후 시간에 쫓기면서 몇 편의 원고를 추가로 더 발표하게 되었고, 이렇게 그 글들을 이전의 글들과 더불어 한자리에 모을 수 있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