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Your Move

Your Move

(모티프 라이팅 : 움직임 표기와 창작의 기초)

앤 허친슨 게스트, 티나 커랜 (지은이), 댄스&미디어연구소 (옮긴이)
궁미디어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8,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Your Move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Your Move (모티프 라이팅 : 움직임 표기와 창작의 기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91165031206
· 쪽수 : 699쪽
· 출판일 : 2021-05-03

책 소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움직임 창작 교육에 제공하는 교재다. 움직임을 일으키는 신체 부위, 움직임의 방향과 높낮이, 움직임의 타이밍, 움직임의 역동성과 악센트, 이동 경로, 지지와 도약, 균형, 신체 부위의 회전 등을 이해할 수 있다.

목차

읽기 연구와 읽기 연습 35
서론 41
동사의 움직임 알파벳Alphabet 47

1장 움직임; 정지; 타이밍Timing; 모양; 악센트 51

움직임 5 1
동작의 표시 52
기본 기보틀 53
동시 동작 54
타이밍Timing 55
지속적인 움직임 55
지속적인 동작의 표시 56
움직임의 연속성 57
갑작스런 움직임 58
갑작스런 동작의 표시 58
공간적 연속성 60
시간의 구성 6 1
멈춤의 길이, 공백 62
정지 64
일반적 타이밍, 측정된 타이밍 66
일반적 시간 폭 (마디)의 표시 66
박자 표시 67
공간 디자인의 시간 분할 69
읽기 연구 해석 7 1
읽기 연구 1번과 2번: 시간내의 움직임 패턴 73
모양에 도달하기 74
읽기 연구 3번: 모양에 도달하는 동작 75
역동성의 소개 76
악센트 76
읽기 연구 4번과 5번: 역동성: 악센트 78
1장에 대한 복습 79

2장 이동하기 81

경로의 형태 84
플로어 플랜Floor Plans 85
직선 경로 87
경로 지속기간 88
읽기 연구 6번과 7번: 직선 경로 90
읽기 연구 8번: 경로 지속기간; 플로어 플랜 91
지그재그형 경로 92
원 그리기, 원형 경로 92
원 그리기의 본질 93
원 그리기의 방향 96
읽기 연구 9번: 직선 경로와 원형 경로 98
곡선 그리기 경로 99
무작위, 자유 형식, 구불구불한 경로 99
읽기 연습 A: 이동하기: 경로의 모든 형태 101
2장에 대한 복습 102

3장 이동하기의 변형 105

이동하기의 주요 방향 105
직선 경로의 방향 106
읽기 연구 10번에 대한 메모 106
읽기 연구 10번: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기 108
원형 경로의 방향 109
그룹 원 그리기 109
마를린의 마법 원 110
당신 주변에 보이지 않는 원 1 1 2
읽기 연구 11번: 원 그리기- 회귀 경로 114
돌기가 포함된 이동하기 1 1 5
플로어 플랜에 표시된 돌기 1 1 5
읽기 연구 12번: 돌기가 포함된 이동하기 1 1 8
돌기와 원 그리기의 양 119
돌기 정도 119
원 그리기 정도 120
읽기 연습 B: 돌기와 원 그리기 정도 1 2 1
지속적인 자전을 포함한 이동하기 122
읽기 연구 13번과 14번: 이동하면서 자전하기 124
나선형 경로 125
나선형 그리기의 동기 125
나선형 그리기 표시 126
나선형 경로의 원 그리기의 양Amount 127
나선형 경로- 모션 또는 목적지? 128
읽기 연구 15번: 나선형 경로 130
플로어 플랜 참조 131
움직임 시퀀스 프레이징Phrasing of Movement Sequences 131
3장에 대한 복습 134

4장 지지의 부재: 도약 (상승) 137

5가지 기본 형태 137
공중 스텝 139
무용에서 공중 스텝의 사용 139
공간 표현 140
도약에서 에너지 사용 141
도약 표시 142
이동하기와 결합된 도약 143
도약의 크기 145
독립적 도약과 반동적 도약 시리즈series 146
읽기 연구 16번: 공중 스텝- 도약 크기 147
읽기 연구 17번: 이동하기와 결합된 공중 스텝 148
공중 스텝: 5가지 기본 형태 149
용어: 일상적 이름 149
5가지 기본 형태들의 표시 150
점프 형태 (2발에서 2발) 150
홉 형태 (1발에서 같은 1발) 151
립 형태 (1발에서 다른 1발) 151
스킵, 갤롭 151
아쌈블레Assembl? 형태 (1발에서 2발) 152
씨쏜느Sissonne 형태 (2발에서 1발) 152
읽기 연구 18번: 도약의 5가지 형태 154
5가지 기본 형태의 발레적 변형 155
발레에서 비슷한 형태의 분석 155
홉 형태 156
립 형태 157
아쌈블레 형태 157
점프 형태 158
씨쏜느 형태 158
방향과 결합된 도약 159
읽기 연구 19번: 방향과 결합된 도약의 5 가지 형태 161
역동성 162
“파Par” 개념 162
중력과의 관계- 싸우기 또는 응하기 163
중력과 싸우기 163
중력에 응하기 164
지속기간 165
읽기 연습 C: 역동성: 중력과의 관계 167
4장에 대한 복습 168

5장 방향-공간의 정의 171

방향 171
공간과의 관계 171
방향-일상 생활의 다양성 173
차원적 방향 177
어떤 방향 177
축의 차원적 교차 177
읽기 연습 D에 대한 메모: 차원적 연구 179
읽기 연습 D: 차원적 연구 180
차원적 평면 181
평면에서의 움직임 183
27가지 주요 방향 184
대각선 방향 184
공간에 있는 지점 지각하기 185
제스처의 방향과 높이 186
방향적 동작과 이동하기의 결합 186
읽기 연구 20번에 대한 메모: 방향적 제스처 188
읽기 연구 20번: 방향적 제스처 190
읽기 연구 21번에 대한 메모: 이동하기와 도약의 방향 191
읽기 연구 21번: 이동하기와 도약의 방향 192
제자리(중심)의 해석 193
해석, 방향적 동작들의 표현 193
양 방향 표현 196
시상적 양 방향 196
측면 양 방향 197
열린 측면 방향 197
반대쪽 측면 방향 197
교차된 측면 양 방향 198
수직적 차원, 수직 기둥 198
반대 수직적 방향 199
방향적 움직임의 경로 200
목적지, 모션 202
목적지 202
모션 203
5장에 대한 복습 204

6장 방향- 공간의 더 폭넓은 탐색 207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공간- 개인공간The Kinesphere 207
일반적인 방향적 영역에서의 움직임 209
중간 높이 (수평적) 영역 탐구- 수평면 210
영역 기호 소개 2 1 1
높은 높이 (위로) 영역의 탐색 212
낮은 높이 (아래로) 영역의 탐색 214
앞으로 영역의 탐색 215
뒤로 영역의 탐색 216
옆으로 영역의 탐색 217
특정 방향 주변 영역에서의 움직임 218
27가지 주요 방향적 영역 219
읽기 연구 22번: 제스처Gestures에 대한 방향 영역 220
명시되지 않은 방향: 명시되지 않은 높낮이 221
명시된 높낮이의 방향 선택에서의 자유 221
명시된 방향의 높낮이 선택에서의 자유 221
개방 방향 수행에서의 자유 222
시상적 제스처- 앞으로 222
시상적 제스처- 뒤로 224
측면 제스처- 옆으로 225
방향 정의하기에서의 진행 225
영역에 대한 구체성 증대 225
방향에 대한 구체성 증대 226
6장에 대한 복습 228

7장 굴곡; 신장 231

굴곡 232
신장 233
신장: 용어 235
굴곡과 신장 지속기간 236
읽기 연습 E: 굴곡과 신장의 지속기간 238
굴곡과 신장의 어떤 정도degree 239
다른 동작들과 결합된 굴곡과 신장 239
읽기 연구 23번과 24번을 위한 메모: 굴곡, 신장 240
읽기 연구 23번과 24번: 이동하기를 하면서 굴곡과 신장 242
굴곡과 신장이 결합된 도약 243
읽기 연구 25번: 굴곡과 신장이 결합된 도약 244
수행 방식 245
의도: 방향적 동작 혹은 굴곡; 신장 245
모션 또는 목적지 245
역동성: 힘 246
역동적 특질의 지속기간 247
읽기 연습 F: 역동성: 힘 249
역동성: 강조된 것과 강조되지 않은 것 250
읽기 연구 26번: 강조된, 강조되지 않은 방향적 동작 252
7장에 대한 복습 253

8장 회전, 자전, 돌기 255

어떤 회전, 자전 256
읽기 연구 27번을 위한 메모: 어떤 회전 258
읽기 연구 27번: 어떤 회전 259
회전의 구체적 형태: 제자리 돌기 260
오른쪽 또는 왼쪽 돌기의 선택 260
제자리 돌기의 양 263
앞뒤 구르기 263
앞뒤 구르기의 표시 264
앞뒤 구르기의 양 265
옆으로 재주넘기 265
옆으로 재주넘기를 하는 동안 정면의 변화 266
옆으로 재주넘기의 표시 268
옆으로 재주넘기의 양 268
옆으로 재주넘기 대 통나무 굴리기 269
수평적 바퀴회전 269
수평적 바퀴회전의 표시 270
바퀴회전의 양 271
제자리 돌기에서 바퀴회전으로의 전환 271
수평적 바퀴회전의 교체 표시 272
읽기 연구 28번: 돌기, 자전, 회전 273
돌기와 도약의 혼합 274
8장에 대한 복습 275

9장 지지하기; 지지의 변화 277

지지한 부위의 수 278
단일 지지 278
이중 지지 278
삼중 지지 279
사중 지지 279
지지하기의 표시 279
신체의 인접한 부위 간의 전환- “구르기” 280
읽기 연구 29번: 몸통의 다른 부위로 눕기 282
신체 말단 부위 간의 전환- “스텝하기”, “걷기” 283
신체 주요 부위의 기호 284
양쪽 신체 부위의 기호 285
기호: “어떤 쪽이나”; “어떤 쪽 또는 양쪽” 285
사지, 신체 부위의 구체적인 수 286
지지된 부위; 무게를 취하는 부위 287
빠른, 연속 스텝 287
읽기 연습 G: 신체의 다른 부위로 지지하기- “스텝하기”, 구르기 289
두발 지지의 변화- 걷기, “스텝하기” 290
한 스텝 수행 290
걷기, 스텝하기의 표시 291
두발로 스텝하기의 방향과 높이 292
무게 운반의 수단으로서 이동하기, 돌기 294
읽기 연구 30번에 대한 메모: 지지의 변화 296
읽기 연구 30번: 지지의 변화 297
9장에 대한 복습 298

10장 균형, 균형 상실 301

균형 감각 301
균형 잡힌; 무게 중심 302
평형을 돕기 위한 이미지 303
중력 중심의 표시, 활동적인 균형 304
읽기 연구 31번: 균형 307
무게 옮기기 308
무게의 자동적 옮기기 308
무게의 특정적 옮기기 표시 309
읽기 연습 H: 옮기기 3 1 2
균형의 경미한 상실; 톰베Tomb? 3 1 3
경미하게 떨어지기: 모션에서 중력의 중심- 톰베 314
모션에서 중력 중심의 표시- 톰베 314
불균형 돌기 315
정면 기호 316
읽기 연구 32번: 모션에서 중력의 중심- 톰베 3 1 8
떨어지기: 완전한 균형 상실 319
떨어지기의 표시 320
균형 상실의 지속기간 320
이동하며 떨어지기 3 2 1
균형 상실의 취소 3 2 1
새로운 지지로 떨어지기 322
균형 상실의 명시된 취소 323
순간적으로 떨어지기 324
읽기 연구 33번에 대한 메모 325
읽기 연구 33번: 떨어지기 326
중심 “낙하” 327
읽기 연습 I: 중심 “낙하” 329
10장에 대한 복습 330

11장 관계 333

관계하기의 형태 334
인식, 감지된 관계하기 334
인식의 표시 336
바라보기, 적극적으로 관계하기 336
바라보기의 표시 337
바라보는 사람이나 물체 338
상호 바라보기 339
읽기 연구 34번: 인식, 바라보기 341
향하는 모션; 멀어지는 모션 342
향하는 모션이나 멀어지는 모션의 표시 342
접근하기, 향하는 경로; 후퇴하기, 멀어지는 경로 343
접근하기, 향하는 경로의 표시 343
후퇴하기, 멀어지는 경로의 표시 344
도착, 경로의 목적지 344
목적지의 표시 345
무용실(무대)의 영역 345
읽기 연구 35번: 향하는, 멀어지는; 접근하기; 후퇴하기; 목적지 347
파트너와 관계하기, 멀어져서 끝내기
가까움 348
가까움의 표시 348
둘러싸는 가까움 349
둘러싸는 가까움의 표시 349
닿기, 접촉하기 350
닿기, 접촉하기의 표시 351
붙잡기 351
붙잡기의 표시 352
깍지 끼기 354
엉키기 354
지지하기, 나르기 355
나르기를 위한 지지의 표시 356
지지대 붙잡기 357
지지대 붙잡기의 표시 (붙잡고 나르기) 357
엉키기, 관통하기의 표시 358
지지하기; 파트너와 함께 지지대 붙잡기 359
상호 지지: 향하여 기대기 359
상호 지지: 멀어져 기대기 359
무게의 일부를 지지하는 파트너 359
파트너들끼리 다른 관계로 관계하기 360
읽기 연구 36번: 362
바라보기, 가까움, 닿기, 붙잡기, 지지하기, 지지대 붙잡기
관계하기에서 진행 363
읽기 연습 J: 봉봉사탕 이야기THE STORY OF BONBON 364
11장에 대한 복습: 관계 이음선 차트 365

12장 관계들: 추가 개발 369

관계하기에서 활동적인 부위의 표시 369
타이밍, 어떤 관계에 도달하는 지속기간 3 7 1
관계하기의 특정 순간 3 7 1
관계 도달하기의 타이밍 3 7 1
관계의 지속기간 372
관계 유지하기 372
관계하기 취소 373
읽기 연습 K: 활동적인 부위, 지속기간, 유지, 취소 375
스쳐가는 (미끄러지는)관계 376
읽기 연습 L: 관계하기에서 진행 379
읽기 연구 37번: 파트너끼리 관계하기 380
관계: 쓰기의 구성 381
구성요소 식별하기 381
무보 쓰기에서 정보 구성 381
읽기 연구 38번: 물건과 관계하기 385
관계들: 관계하기 정도에서 진행 386
12장에 대한 복습 387

13장 신체 시작들; 중심, 주변; 부위로 이끌기, 안내 389

중심과 주변 389
신체의 중심과 주변 390
신체의 중심과 주변에 대한 표기법 390
중심과 주변 동작 구별하기 3 9 1
부위로 이끌기 392
부위로 이끌기의 표시 392
읽기 연습 M: 신체의 중심과 주변 부위로 이끌기 394
특정 신체 부위의 사용 395
특정 부위로 이끌기의 표시 396
손과 발의 표면과 가장자리 397
몸통 부위의 표면 399
부위로 이끌기의 타이밍 399
읽기 연구 39번: 부위로 이끌기 401
안내 402
읽기 연구 40번: 부위로 이끌기, 안내 405
걷기의 변형 406
이끌기; 수동적인, 결과적인 407
읽기 연구 41번: 결과적인, 수동적 움직임 409
13장에 대한 복습 410

14장 한쪽 제스처; 제스처의 경로; 모으기, 흩뿌리기 413

한쪽 제스처- 정면으로 서 있는 자세 413
좌우의 표시 415
중심선 계속하기 416
읽기 연구 42-44번: 한쪽 동작 4 1 7
제스처에 대한 경로 418
직선 경로 418
원형과 곡선 그리기 경로 420
사지의 경로 표시 421
특정 사지의 표시 424
공간적인 중심과 주변 426
중심과 주변의 표기법 426
중심과 주변 동작 구별하기 426
읽기 연구 45번: 제스처의 공간적 중심과 주변 경로 428
읽기 연구 46번: 방향과 이동하기와 함께하는 제스처 경로 429
디자인 그리기 430
표면 431
읽기 연습 N: 디자인 그리기 433
모으기와 흩뿌리기 434
모으기 434
흩뿌리기 435
모으기와 흩뿌리기의 표시 437
모으기와 흩뿌리기의 분석 439
다른 동작과 결합된 모으기와 흩뿌리기 439
읽기 연구 47번: 모으기, 흩뿌리기 441
14장에 대한 복습 442

15장 방향: 대각선 445

대각선 제스처의 수행 446
열린 대각선 446
교차 대각선 446
대각선 스텝의 수행 447
원을 그리며 “앞으로” 걷기 448
원형 경로에서 이동하기 449
고정 방향 450
고정 방향 부호 451
정면 기호 452
대각선 이동하기 453
무용실/무대의 “대각선” 영역 (코너) 454
일상적인 용어 454
읽기 연구 48번: 대각선 이동하기 457
읽기 연구 49번: 고정 방향과 무대 영역 458
15장에 대한 복습 459

16장 신체 부위 돌(리)기, 단위 회전, 트위스트 461

돌(리)기, 회전의 용어 463
트위스트 동작: 기능과 표현 464
단위 회전, 트위스트 분석 465
몸통 전체 466
머리 467
흉부 468
골반 469
다리, 발 470
팔 471
손 472
원형적 제스처 중의 팔 회전 473
트위스트, 단위 회전 표시 474
일반적인 진술: 암묵적 수행 475
부위 회전에 대한 설명 476
사지 부위 표시 476
머리의 회전 477
손 돌리기 477
손목 돌리기 (아래팔) 479
다리 회전 479
차트 분석 480
단위 회전, 신체 부위 트위스트 480
자연적인 능력에 대한 차트 480
읽기 연구 50번과 51번: 단위 회전과 트위스트 482
굴곡과 신장이 결합된 돌(리)기 483
읽기 연구 52번: 특정 부위의 회전, 트위스트 484
16장에 대한 복습 485

17장 굴곡과 신장: 특정 형태 487

굴곡의 3가지 형태 487
신장의 3가지 형태 488
수축과 연장 489
수축과 연장의 개념적 분석 490
수축의 특정 기호 491
연장의 특정 기호 492
수축과 연장의 신체적 분석 493
다리의 수축, 연장 493
팔의 수축, 연장 498
손의 수축, 연장 500
몸통의 수축, 연장 500
수축과 연장의 표현 502
읽기 연구 53번: 수축, 연장 504
접기와 펴기 505
접기의 분석 505
다리 접기 506
발목 접기 507
팔 접기 507
손목 접기 508
몸통 접기 509
손 접기 510
펴기 5 1 1
접기와 펴기의 기호 5 1 1
접기와 펴기의 지속기간 512
접기, 펴기의 표현 513
접기의 특정 방향 513
읽기 연구 54번: 접기, 펴기 514
읽기 연습 O: 다른 방향으로 접기 515
굴곡, 신장: 혼합된 형태 516
구부린 사지의 방향 분석 516
혼합된 형태: 팔, 몸통 516
데벨로페Developpe, 엉벨로페Enveloppe 518
결합하기,분리하기 519
측면 방향 519
측면 결합하기, 분리하기의 기호 521
용어 522
읽기 연습 P: 결합하기, 분리하기 523
읽기 연구 55번: 특정 사지로 결합하기, 분리하기 524
17장에 대한 복습 525

18장 관계: 만남의 상황; 보기 529

만남의 상황 529
만남의 상황 표시 531
경로 교차하기 533
물체와 관계하기 535
초점과 관계하기 536
읽기 연습 Q에 대한 메모 537
읽기 연습 Q: 경로 교차하기, 만나기, 사람과 관계하기 538
얼굴과 눈으로 바라보기 539
얼굴로 보기 539
보기의 표시 540
응시하기; 눈의 독립적 동작 541
응시하기를 위한 눈 움직임 표시 542
손바닥 향하기 542
손바닥 향하기의 표시 543
손바닥 향하기의 읽기 예시 544
읽기 연습 R: 보기, 응시하기; 손바닥 향하기 546
읽기 연습 S: 만남의 상황; 보기 547
역동성: 감정적 강도 548
감정적 강도의 표시 548
읽기 연습 T: 감정적 표현, 느낌 549
18장에 대한 복습 550

19장 특정 방향의 동작 553

기울기, 기대기, “방향 잡기” 554
기울기, 기대기의 분석 555
기울기, 기대기의 표시 556
부분적 기울기의 일반적 진술, 방향 잡기 557
읽기 연구 56번: 기울기, 기대기 558
기울기, 기대기의 방향 559
특정 부위의 표시 560
읽기 연구 57번: 특정 기울기, 기대기, “방향 잡기” 561
몸 영역 옮기기 562
옮기기의 분석 563
옮기기의 표시 564
읽기 연구 58번: 몸 영역 옮기기 567
작은 재배치 568
몸통과 머리 부위의 작은 재배치 569
사지 말단의 작은 재배치 570
읽기 예시 571
읽기 연구 59번: 작은 재배치 573
19장에 대한 복습 574

20장 목적지, 모션

목적지 577
목적지와 관련된 시간 581
목적지와 관련된 공간 582
목적지와 관련된 역동성 584
목적지와 관련된 흐름 584
목적지 표시
이동하기와 제스처 경로의 목적지 586
읽기 연구 60번: 목적지 588
모션 589
모션과 관련된 시간 591
모션과 관련된 공간 592
모션과 관련된 역동성 592
모션과 관련된 흐름 593
모션의 표시 594
향하는 또는 멀어지는 모션 594
굴곡과 신장의 모션 595
읽기 연구 61번: 모션 597
읽기 연구 62번: 목적지,결합된 모션 598
읽기 연구 63번: 목적지, 모션 변형 599
수행 방식 600
모션: 진행의 방향 600
읽기 예시 603
읽기 연습 U: 진행 방향 605
20장에 대한 복습 606

21장 방향: 참조 체계 609

서론 609
방향- 표준 부호: 609
똑바로 선 상태 610
수직에서 벗어난 몸통 6 1 1
방향- 표준 자세Standard Stance 부호: 6 1 1
자세Stance의 정의 613
방향- 신체 부호 613
방향- 고정 부호 615
고정 교차 방향 부호의 사용 617
부호 선택 결정하기 618
부호의 배치 621
방향 상징 기호의 선-기호Pre-Sign로서 621
방향 상징기호 옆에 621
수직 괄호안에 622
시작 자세에 622
기보틀 왼쪽에 622
선-보표Pre-Score 설명 622
읽기 연습 V: 신체, 표준, 자세 부호 624
읽기 연구 64번: 참조 체계 625
21장에 대한 복습 626

22장 타이밍; 프레이징; 역동성- 반복 629

타이밍 629
기본 박과 박의 세분 629
동작 간의 타이밍 632
움직임 시퀀스 프레이징 633
주요한 또는 사소한 움직임 634
운동감각적 논리 635
간단한 움직임 프레이징 637
사소한 움직임과 함께 638
역동성: 반복 639
악센트 640
에너지 수준- “파Par”의 개념 640
힘의 표시 641
강조된, 강조되지 않은 642
중력과의 관계 643
흐름의 요소- 통제 또는 자유로운 643
신체적 노력; 감정적 강도 644
역동성 표시의 타이밍 645
역동성 표시의 지속기간 646
취소 647
22장에 대한 복습 648

결론 651

부록 A: 유효성; 표기법의 구성 655
유효성; 취소 규칙 655
상태 유지 655
움직임을 동반한 유효성 656
정보의 배치 657
오른쪽과 왼쪽 면 658
사지, 신체 부위 659
신체 영역 660
신체 부위 기호 661
다리 회전, 전신 회전 661
지지 662
지지 이음선Supporting Bow의 배치 664
“도약” 기호의 파생 664
방향적 영역- 타이밍 665
방향적 영역의 적용 666
부록 B: 모티프에서 구조적 기록으로의 전환 669
기보틀 669
스텝 670
이동하기 671
돌기 672
돌기: 신체 부위 672
공중 스텝 674
공중 스텝의 방향 675
기울기, 방향 잡기 675
옮기기 676
진행 방향 676
굴곡, 신장 677
앉기, 눕기, 기타 677
사지의 경로 678
부록 C: 굴곡과 신장- 추가 내용 681
수축의 특정 방향 681
시상적 결합하기, 분리하기 682
시상적 결합하기와 분리하기의 기호 683
특정 신체 부위에 사용 684
시상적 분리하기, 결합하기의 지속기간 685
수평적 분리하기, 결합하기 685
용어 686
굴곡과 신장의 형태: 어떤 정도 686
수축과 연장 687
접기, 펴기 687
분리하기, 결합하기 687
부록 D: 용어 689
부록 E: 동사 가계도 695

저자소개

티나 커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Language of Dance Center의 공동 창립자이며, 현재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Department of Theatre and Dance 교수이다.
펼치기
댄스&미디어연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김현정은 충남대학교 무용학과 부교수로서 무용이론을 가르치고 있으며, 대한무용학회 편집위원, 『한국예술연구』 편집위원, 한국무용예술학회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 무용과를 졸업한 뒤,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Riverside에서 Ph.D. in Dance History and Theory를 취득했다. 그녀의 연구들은 『Dance Chronicle』, 『Danses et identities de Bombay a Tokyo』, 『Discourses in Dance』,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예술학연구』 등에 실려 있다. 그녀는 또한 샐리 베인즈의 『춤추는 여성』, 제인 데스몬드 外의 『문화연구, 춤의 새로운 이해』, 주디 미토마 外의 『미디어 시대의 춤』을 공동 번역했다. 박진덕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 용학과 학부 졸업 후 영 국 London Contemporary Dance School에서 현대무용전공으로 석사 학위(M.A.)를 취득하였다. 이후 영국 Royal Central School of Speech and Drama에서 무용 즉흥, 라이브 도큐멘테이션과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관한 주제로 박사과정(Ph.D)을 취득하였다. 그녀의 연구 활동으로는 영국 STR ‘new researchers’ network’ 심포지움 및 IFTR 컨퍼런스에서 논문 발표를 하였고, 『대한무용학회논 문집』에 ‘Translating Visual Art into Dance’ 그리고 『무용과이론』에 ‘Compositional Mode’ of Improvisation in Dance’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활동 외에 안무가 겸 무용수로서 솔로, 그룹 즉흥 및 콜라보레이션 작품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 송정은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문화정책 및 예술행정을 전공하였고, 서울시립대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에서 연구교수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류, 팬덤 연구, 지역문화, 문화교류, 문화브랜딩이다. 『한류와 아시아팝문화의 변동』(2014)의 공동저자이며, ‘Understanding Hallyu in North Korea’(2019), ‘Building Empathy in Hallyu’(2018),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Webtoon for Building Empathy’(2018) 등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신상미는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명예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무용문학사,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무용학석사(M.A.), 단국대학교 무용학박사이며, 국제라반무용기록법 자격자, 라반/바르테니에프 움직임연구소의 공인움직임분석가이다. 한국무용기록학회 초대회장, 이화여대 무용학연구소장, 댄스&미디어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는 문체부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된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몸과 움직임 읽기: 라 반움직임분석의 이론과 실제』, 『몸짓과 문화: 춤 이야기』가 있으며,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유화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및 동아시아학과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무용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 국립극장 외국인 아카데미 강사로 출강하며, 한국국제교류진흥원 및 한국연구재단 지원 사업을 실행중이다. 주로 영상인류학, 움직임 분석에 기초한 무용 연구를 하며 춤 관련 미디어콘텐츠 및 소프트웨어 활용 신체 교육에 관심이 있다.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역사기록학회지』,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학회지』 등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윤지은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동대학원 무용학석사,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무용교육석사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이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강사,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의 전임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반의 이론을 활용한 움직임 교육에 관심이 있으며 『한국무용교육학회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 예술학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등에 연구논문을 게재하였다. 윤지현은 댄스&미디어연구소 소장이다.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와 영국 Essex대학 사회학과(MA)를 거쳐 이화여대 무용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화 맥락에서 비보잉과 한국사교춤의 변화를 연구했다. 동시대 ‘이후의 춤’ 현상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과 아르코 공연예술비평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다수 논문과 『교류와 소통의 남북문화예술 그리고 춤』, 『춤과 뉴미디어』, 『사라지지 않는 예술, 무용이론을 말하다』, 『K·Contemporary』 등에 저,역자로 참여했다. 이정민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동대학원 무용학 석사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Dance Notation Bureau의 라바노테이션(초급) 기록 자격자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평생교육단 전통예술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수원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객원교수로 출강하고 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롯데장학 재단의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학술연구 지원사업(2019),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 연구지원 사업(201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글로벌 문화예술교육탐방 프로젝트(2020)에 참여하였고, 최근 「언택트 시대 가상 공간에서의 움직임과 소통」(한국무용교육학회, 2020)을 발표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는 무용예술의 온라인 생태계, 세계 속 한국춤의 전승·교육·기록,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한국적 움직임이다. 임수진은 한양대학교 무용과 졸업 후 뉴욕대학교(NYU)에서 공연학(performance studies) 전공 석사(MA), 성균관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연구논문으로 「미디어 퍼 포먼스와 포스트모던 숭고? 우스터그룹 「햄릿」의 수행성 연구」(한국예술연구), 「숭고와 예술: 춤과 테크놀로지의 융복합공연 연구를 위한 새로운 미학적 탐색」(대한무용학회), 「도날드 닷슨 의 포퓰러컬처와 매스컬처 논의를 반영한 대중사회에서의 무용 문화연구」(무용예술학연구)가 있으며 퍼포먼스연구 및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접근을 토대로 무용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 예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무용월간지 『몸』 편집장, 서울무용영화제 홍보팀장을 역임 했다. 정재임은 세종대학교 무용과, 뉴욕대학교(NYU) 무용교육학 석사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이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학·예술치료학과 대학원에 출강 중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 무용교육,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이 있으며 무용동작심리상담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대한무용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 『무용역사기록학회』등에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하상우는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와 동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학 석사를 졸업한 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에서 Critical Dance Studies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말레이시아 University of Malaya 무용과에서 무용이론을 담당하는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 『무용역사기록 학회』, 『대한무용학회』, 『한국예술연구』, 『웹진:춤In』, 『춤과 사람들』 등에 연구 논문을 게재 했다. 허가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뉴욕대학교 무용교육석사(M.A.),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 겸임교원, 서강대학교 전인 교육원과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및 예술창작기초학부에서 시간강사로서 무용이론과 실기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대한무용학회,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 등에 연구논문을 게재했고, 『춤과 뉴미디어: 과거, 현재, 미래를 말하다』의 저자로 참여하였다. 황혜원은 미국 네브라스카 주립대학교 링컨 캠퍼스(University of Nebraska ? Lincoln)에서 무용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며, 무용
펼치기

책속에서

[ 저자서문 ]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이 확산되면서 어린이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공자에서 비전공자에게 이르기까지, 정규 수업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 창작 교육, 무용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본 번역서는 이러한 움직임 창작 교육에 있어서 하나의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모티프 라이팅Motif Writing이란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동기, 사상, 목적을 기록할 수 있는 움직임 기록법이다. 이 기록법은 무용전공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움직임을 창작할 수 있어서 표현력과 창의력 개발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댄스&미디어연구소 이사 13명이 앤 허친슨 게스트Ann Hutchinson Guest와 티나 커랜Tina Curran의 을 공동 번역하였다. 김현정은 1, 2장을, 박진덕은 3, 4장을, 송정은은 5, 6장을, 신상미는 7, 8장을, 유화정은 9, 10장을 번역하였다. 윤지은은 11, 12장을, 윤지현은 13, 14장을, 이정민은 15, 16장을, 임수진은 17, 18장을, 정재임은 19, 20장을, 하상우는 21, 22장, 결론을 번역하였다. 허가영은 부록 A, B, C, D, E를 번역하였고 황혜원은 헌사, 감사의 글, 목차, 읽기 연구와 읽기 연습, 서론, 동사의 움직임 알파벳을 번역하였다. 원 저자 앤 허친슨 게스트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움직임 기록 전문가이며, 루트리지 Routledge 출판사에서 4쇄 6만부 판매 기록을 남긴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의 저자이다. 그녀의 <라바노테이션>이 전문가를 위한 움직임 기록법 교재라면, 본 번역서는 비전문가와 학생도 쉽게 배우고 활용이 가능한 모티프 라이팅을 다룬 교재이다. 움직임 기록과 창작, 교육과 분석 등 움직임과 관련된 다양한 현장과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다.
2021년 4월
댄스&미디어연구소 이사 13명


움직임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뇌를 자극해 근육이 반응하는 신체 움직임이 떠오르는가? 또는 “움직임은 곧 삶이다!”라고 답변하고 싶은가? 우리는 인간의 움직임을 단순하고도 실질적으로 탐구하고 근육의 반응을 기록하고 싶어 한다. 이 책에서는 무용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 경험해 보고자 한다.
.......
환경과 관계를 맺는 것은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된다. 우리 주위에는 사람들, 물체들, 그리고 공간이 존재한다. “공간”은 서서히 집, 마을, 국가, 세계로 확장된다. 우리는 이러한 모든 것들과 신체적으로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 아기는 누군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한다. 아기는 그 사람을 바라보고, 손을 뻗고, 만지고, 붙잡는다. 아기의 초기 움직임들은 자기 자신과 주위 환경을 발견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몸을 구부리고, 뻗고, 회전하는 것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오래지 않아, 행동들은 기능적으로 배경이 되는 원인, 동기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아기는 점차 주변 사람들 및 물체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
균형을 완전히 잃는 것을 즐기는 사람은 별로 없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균형의 상실이 괴로운 것이 아니라 딱딱한 바닥이나 위험한 물체와의 접촉이 괴로운 것이다. 완전한 낙하는 무게 중심이 더 이상 지지대 위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이번에는 분위기, 의도, 내적 경험을 완전히 변경하여, 여유가 없는 상태 즉, 서두르는 것, 속도, 빠른 것, 갑작스러운 상태에 주목해 보자. 어떤 동작을 선택해 가장 빠른 속도로 행하라. 이전에 선택한 똑같은 움직임이어도 된다. 그러나 속도에 좀 더 초점을 두어 이전과 다르게 행하라. 다른 동작을 선택해 매우 빠르게 행하라. 또 다른 동작을 선택해 매우 빠르게 행하라. 갑작스러운 동작들이 계속 행해지면 관객은 매우 피곤해진다. 관객은 쉼(break)을 갈망하게 된다. 갑작스러운 동작들 사이에 다양한 시간과 속도로 멈춤을 시도하라.
.......
동시 동작은 2개 이상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몸의 한 부위가 어떤 동작을 행하는 동안 동시에 몸의 다른 부위가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전에 행했던 움직임들 중에서 2개 또는 3개의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여러 동작을 의식적으로 동시에 실행하라. 몸의 다양한 부위의 동작들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탐색하라. 두 팔의 움직임, 또는 한 팔과 한 다리의 동시적 움직임도 가능하다. 두 팔과 몸통을 유니슨으로 다양하게 움직여라.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