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춤과 뉴미디어

춤과 뉴미디어

(과거, 현재, 미래를 말하다)

댄스 & 미디어연구소 (지은이)
궁미디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1,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춤과 뉴미디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춤과 뉴미디어 (과거, 현재, 미래를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7599653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8-02-20

책 소개

뉴미디어 시대 춤 현상을 관찰, 진단하고, 춤의 미래를 전망한다. 창립 1주년을 맞은 댄스&미디어연구소(소장 신상미)가 펴낸 책으로, 뉴미디어의 보급이라는 사회변화 속에서 무용예술 내부에 일어난 변화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대면한 무용의 대응이라는 춤 현상을 다룬다.

목차

I부 뉴미디어 시대의 무용학 …15

1장 멀티미디어 댄스 리터러시 개발의 영상인류학적 접근 …17
2장 무용학 지식 정보의 의미 관계 분석 …43
3장 포스트휴머니즘 시각에서 디지털 퍼포먼스의 비인간 몸 바라보기 …62

II부 뉴미디어 시대 댄스 퍼포먼스 …81

4장 미디어 퍼포먼스〈 마담 프리덤〉에 나타난 주인공 여성의 재현과그 의미 …83
5장 움직임의 형태와 감정: 가상(Virtual) 공간 속의 조형요소들을 위한 안무 …107
6장 모이스트 미디어(moist media)와 미래예술패러다임 …126
7장 디지털 퍼포먼스 <모탈 엔진(Mortal Engine)>(2008)에서의 포스트휴먼 몸에 대한 연구 …145
8장 프로젝션 맵핑, 새로운 무용의 가능성을 펼치다 …169
9장 무용과 인공지능 융합예술 연구 …200

III부 뉴미디어 시대 춤과 대중문화 …221

10장 중국 영화에서 춤 활용하기 …223
11장 전통춤 생산의 숨은 조력자, 미디어 담론에 관한 연구 …240
12장 한국 사교춤동호회의 인터넷 매체활용 …262

참고문헌 …289
찾아보기 …307
저자약력 …310

저자소개

댄스&미디어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현정은 충남대학교 무용학과 부교수로서 무용이론을 가르치고 있으며, 대한무용학회 편집위원, 『한국예술연구』 편집위원, 한국무용예술학회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 무용과를 졸업한 뒤,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Riverside에서 Ph.D. in Dance History and Theory를 취득했다. 그녀의 연구들은 『Dance Chronicle』, 『Danses et identities de Bombay a Tokyo』, 『Discourses in Dance』,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예술학연구』 등에 실려 있다. 그녀는 또한 샐리 베인즈의 『춤추는 여성』, 제인 데스몬드 外의 『문화연구, 춤의 새로운 이해』, 주디 미토마 外의 『미디어 시대의 춤』을 공동 번역했다. 박진덕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 용학과 학부 졸업 후 영 국 London Contemporary Dance School에서 현대무용전공으로 석사 학위(M.A.)를 취득하였다. 이후 영국 Royal Central School of Speech and Drama에서 무용 즉흥, 라이브 도큐멘테이션과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관한 주제로 박사과정(Ph.D)을 취득하였다. 그녀의 연구 활동으로는 영국 STR ‘new researchers’ network’ 심포지움 및 IFTR 컨퍼런스에서 논문 발표를 하였고, 『대한무용학회논 문집』에 ‘Translating Visual Art into Dance’ 그리고 『무용과이론』에 ‘Compositional Mode’ of Improvisation in Dance’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활동 외에 안무가 겸 무용수로서 솔로, 그룹 즉흥 및 콜라보레이션 작품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 송정은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문화정책 및 예술행정을 전공하였고, 서울시립대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에서 연구교수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류, 팬덤 연구, 지역문화, 문화교류, 문화브랜딩이다. 『한류와 아시아팝문화의 변동』(2014)의 공동저자이며, ‘Understanding Hallyu in North Korea’(2019), ‘Building Empathy in Hallyu’(2018),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Webtoon for Building Empathy’(2018) 등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신상미는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명예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무용문학사,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무용학석사(M.A.), 단국대학교 무용학박사이며, 국제라반무용기록법 자격자, 라반/바르테니에프 움직임연구소의 공인움직임분석가이다. 한국무용기록학회 초대회장, 이화여대 무용학연구소장, 댄스&미디어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는 문체부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된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몸과 움직임 읽기: 라 반움직임분석의 이론과 실제』, 『몸짓과 문화: 춤 이야기』가 있으며,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유화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및 동아시아학과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무용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 국립극장 외국인 아카데미 강사로 출강하며, 한국국제교류진흥원 및 한국연구재단 지원 사업을 실행중이다. 주로 영상인류학, 움직임 분석에 기초한 무용 연구를 하며 춤 관련 미디어콘텐츠 및 소프트웨어 활용 신체 교육에 관심이 있다.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역사기록학회지』,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학회지』 등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윤지은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동대학원 무용학석사,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무용교육석사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이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강사,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의 전임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반의 이론을 활용한 움직임 교육에 관심이 있으며 『한국무용교육학회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무용 예술학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등에 연구논문을 게재하였다. 윤지현은 댄스&미디어연구소 소장이다.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와 영국 Essex대학 사회학과(MA)를 거쳐 이화여대 무용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화 맥락에서 비보잉과 한국사교춤의 변화를 연구했다. 동시대 ‘이후의 춤’ 현상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과 아르코 공연예술비평연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다수 논문과 『교류와 소통의 남북문화예술 그리고 춤』, 『춤과 뉴미디어』, 『사라지지 않는 예술, 무용이론을 말하다』, 『K·Contemporary』 등에 저,역자로 참여했다. 이정민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동대학원 무용학 석사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Dance Notation Bureau의 라바노테이션(초급) 기록 자격자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평생교육단 전통예술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수원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객원교수로 출강하고 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롯데장학 재단의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학술연구 지원사업(2019),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 연구지원 사업(201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글로벌 문화예술교육탐방 프로젝트(2020)에 참여하였고, 최근 「언택트 시대 가상 공간에서의 움직임과 소통」(한국무용교육학회, 2020)을 발표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는 무용예술의 온라인 생태계, 세계 속 한국춤의 전승·교육·기록,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한국적 움직임이다. 임수진은 한양대학교 무용과 졸업 후 뉴욕대학교(NYU)에서 공연학(performance studies) 전공 석사(MA), 성균관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연구논문으로 「미디어 퍼 포먼스와 포스트모던 숭고? 우스터그룹 「햄릿」의 수행성 연구」(한국예술연구), 「숭고와 예술: 춤과 테크놀로지의 융복합공연 연구를 위한 새로운 미학적 탐색」(대한무용학회), 「도날드 닷슨 의 포퓰러컬처와 매스컬처 논의를 반영한 대중사회에서의 무용 문화연구」(무용예술학연구)가 있으며 퍼포먼스연구 및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접근을 토대로 무용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 예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무용월간지 『몸』 편집장, 서울무용영화제 홍보팀장을 역임 했다. 정재임은 세종대학교 무용과, 뉴욕대학교(NYU) 무용교육학 석사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이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학·예술치료학과 대학원에 출강 중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 무용교육,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이 있으며 무용동작심리상담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대한무용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 『무용역사기록학회』등에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하상우는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와 동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학 석사를 졸업한 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에서 Critical Dance Studies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말레이시아 University of Malaya 무용과에서 무용이론을 담당하는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 『무용역사기록 학회』, 『대한무용학회』, 『한국예술연구』, 『웹진:춤In』, 『춤과 사람들』 등에 연구 논문을 게재 했다. 허가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뉴욕대학교 무용교육석사(M.A.),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 겸임교원, 서강대학교 전인 교육원과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및 예술창작기초학부에서 시간강사로서 무용이론과 실기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대한무용학회,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 등에 연구논문을 게재했고, 『춤과 뉴미디어: 과거, 현재, 미래를 말하다』의 저자로 참여하였다. 황혜원은 미국 네브라스카 주립대학교 링컨 캠퍼스(University of Nebraska ? Lincoln)에서 무용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며, 무용
펼치기

책속에서

뉴미디어의 보급과 확산이 초래한 전면적인 사회변화 앞에 춤의 변화 또한 전면적일 수밖에 없다. 기술변화에 다소 무감했던 국내 무용학계도, 전에 없이 영향력이 커진 동시대 기술 변화에 무감으로 일관하기 어려워졌다. 오늘의 춤과 춤 현상을 추동하는 압도적 위력의 본원이 기술과 연결되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용공연의 제작 현장도 마찬가지이다. 아니 더 절박한 상황에 대면하고 있다. 기술이 제공하는 현란한 시청각적 자극에 일상으로 노출되는 관객을 상정한다면 ‘무대 위의 스펙터클’을 사고해온 춤은 이제 다른 가능성을 사고해야 할지도 모른다. 더 이상 기성품으로 유통되는 기술의 사후적(?) 사용에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