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65031510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 5
Ⅰ. 칸트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예비적인 물음들 / 13
2. 철학 공부의 두 가지 스타일 / 16
3. 칸트철학의 성격 / 19
4. 칸트철학 성립의 철학사적 배경 / 22
5. 칸트철학 연구에서 문헌학적 지식이 가지는 중요성 / 36
Ⅱ. 칸트철학의 전개 과정과 순수이성비판의 성립
1. 시기 구분의 문제 / 47
2. 여섯 단계 구분 / 50
Ⅲ. 순수이성비판의 이해
1. 순수이성비판은 어떤 성격의 철학서인가? / 84
2. 목차를 통한 접근 / 89
3. 초판 머리말 / 101
4. 재판의 서론 / 113
5. 선험적 감성론(공간론·시간론) / 143
6. 선험적 분석론 / 177
Ⅳ.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이해
1. 저서에 대하여 / 204
2. 머리말 / 212
3. 제1절: 도덕에 관한 평범한 이성 인식에서 철학적 이성 인식으로 이해 / 225
4. 제2절: 통속적 도덕철학에서 도덕형이상학으로 이행 / 246
5. 제3절: 도덕형이상학에서 순수실천이성비판으로 이행 / 276
Ⅴ. 실천이성비판의 이해
1. 저서에 대하여-실천이성비판의 성립 / 282
2. 머리말 / 286
3. 서론 / 309
4. 순수실천이성의 요소론(분석론) / 312
5. “순수실천이성의 원칙들의 연역” / 335
참고문헌 / 352
찾아보기 / 362
저자소개
책속에서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위를 통해 선의지를 조금도 드러내 보여주는 일이 없다면 그런 사람도 단순한 도구나 사물로 취급받지 말아야 할 자격이 있는 것일까? … 칸트는 어떤 사람이 이성을 논리적으로 잘못 사용했다는 사실을 발견했을 때, 그 사람을 비난하고 그에게서 모든 지성의 존재를 부인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가 자신의 주관적 판단 근거를 객관적인 것으로 오인한 부분을 지적하되, 그럼에도 여전히 어떤 진리적 요소가 그 안에 내포되어 있을 가능성을 찾으려 하고 또 전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 사람이 오류를 범했다는 사실을 그 자신에게 이해시킬 가능성도 사라지게 된다. … 이와 유비적인 관점이 누군가가 악한 행동을 했을 경우에도 적용된다. … 제아무리 악한이라도 무엇인가 선한 부분이 남아 있어서 자신이 악행을 범했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고, 자신을 개선할 여지를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성에 관한 총체적 오류도 불가능하지만 선의지에 관한 한 그 총체적 상실도 불가능하다고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