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75995545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15-11-02
책 소개
목차
Part Ⅰ 철학─가능성에 관한 물음
1. 볼프의 “철학”, “가능성” 개념 21
2. 가능성의 실현 조건 29
3. 인간의 가능성, 본질 그리고 완전성 33
Part Ⅱ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역사철학과 인간학의 만남
4. 진보론적 인간관과 역사철학의 등장 70
1) 비코의 ‘역사화’를 통한 인간 본성의 해체 70
2) 볼테르의 진보적 역사관 그러나 반동적 인간관 82
3) 튀고르와 콩도르세의 실증적 역사관과 인간관 88
4) 이젤린과 퍼거슨의 인간본성 극복의 문제 100
5. 진보와 역사에 대한 회의주의 119
1) 루소의 염세주의 문명론과 인간본성 120
2) 멘델스존과 개인의 역사성 127
Part Ⅲ 칸트 역사철학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6. “경험저 역사학자”와 “철학적 역사가” 153
7. “역사의 의념”과 “역사목적론” 160
8. 도덕적 목적론─섭리와 자유의 대립 167
Part Ⅳ 역사적 인간과 윤리적 인간
9. 도덕적 진보와 윤리학은 양립 가능한가? 179
10. 자유를 지향하는 존재 207
Part Ⅴ 역사적 인간, 인간학적 인간 그리고 심미적 인간
11. 역사철학의 모태로서의 인간학 그리고 그 인간관 195
12. 미학적 인간관 207
Part Ⅵ 호소의 철학
13. 역사철학과 목적론적 판단력 215
14. 역사와 세계시민적 상태 220
15. 가능성의 철학 226
참고문헌
일차 문헌 237
이차 문헌 239
찾아보기
사항 찾아보기 247
인명 찾아보기 249
저자소개
책속에서
칸트의 역사철학적 기본 입장은, 인간 행위들의 잡다한 집적물인 역사 현상을 하나의 “체계”로, 그러니까 각 부분들이 하나의 목적을 위해 고유한 위치와 역할을 부여받고 수행함으로써 성립되는 전체로 간주할 수 있게 해 줄 실마리는 자연으로부터 인간에게 심어진 이성 능력이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칸트가 생각하는 이성은, 인간이 자연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원시적인 잠재 상태로부터 그 실마리를 발굴해 내어야 하는 능력으로서 이해되기보다는 다소간 자신의 완성태에 근접한 능력으로서 전제된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이미 역사에 관한 이성 개념, 즉 “이념”을 제시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한 능력으로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