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453107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3-26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노년, 생의 아름다운 완성_최신한
1. 노년의 소외
2. 노년의 지혜로운 성숙
3. 삶의 아름다운 완성은 지금의 즐거움에 있다
4. 웰에이징, 어떻게 할까?
제2장. 노년이라는 축복, 키케로의 《노년론》을 중심으로_김진식
1. 고대의 전통적인 노년상
2. 《노년론》의 전통적인 노년상
3. 《노년론》의 역설
제3장. 노년의 삶과 자기 돌봄_공병혜
1. 자기 돌봄과 거주
2. 노년과 자기 돌봄
3. 거주로서의 노인 돌봄
4. 몸의 기억과 자기 돌봄
5. 몸의 기억과 노인 돌봄
제4장. 노년의 정체성_김수배
1. 생물학적 노화 개념의 한계
2. 노인의 정체성 문제
3. 노인을 규정하는 시간과 공간 개념
4. 노화 및 노인 담론의 의의
제5장. 노년, 부정적 감정 이겨내기_이관표
1. 인간 근본 상황으로서의 부정성
2. 일상에서 경험하는 노년 부정성의 극단화
3. 부정성 극단화로서 노년의 철학적 의미
제6장. 웰에이징, 나의 가치를 찾아가는 시간_김선희
1. 잘 늙는다는 것의 모델이 있을까?
2. 노년기의 자아 성찰과 가치관 사고실험
3. 노년기 삶의 성찰과 영원회귀 사고실험
4. 죽음의 명상과 노년의 시간
5. 아름다운 노년, 자신에게 진정 가치 있는 것 하기
6. 정직한 사유로 삶을 마무리할 시간
제7장. 선비들의 웰에이징_안종수
1. 선비들의 일과표
2. 선비와 독서
3. 선비와 서예
4. 선비와 시조창
5. 선비와 악기 연주
6. 선비와 꽃놀이
7. 선비와 명상
8. 활인심방(活人心方)
제8장. 미술로 본 노년, 시간성과 자기기록_김경미
1. 그리스 신화 속 노년의 신
2. 로마의 초상조각: 사실적 개인의 기록
3.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죽음의 보편성과 인간존재의 유한성
4.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 삶의 풍요와 무상함(Vanitas)
5. 19세기 낭만주의 풍경화: 노년의 알레고리
6. 20세기 이후: 시간성과 자기기록
7. 어떤 노년 그리고 유한의 빛
제9장. 노장(老莊), 죽음을 바라보는 삶의 지혜_이기호
1. 세월아, 아까운 청춘들이 다 늙는다
2. 노자, 장자 그리고 도가
3. ‘도’의 진정한 의미
4.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5. 삶과 죽음도 하나–현해(懸解)
6. 죽음 = 돌아갈 집 ·
7. 깨끗한 종이
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늙음은 미래가 축소되는 생애 구간이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이성과 유머가 지배하는 생의 시간이다. 모든 것을 아우르는 힘을 가지고 웃을 수 있는 노년은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는 세계의 한계를 넘어선다. 세계의 한계는 경험의 한계인 동시에 위축된 삶의 한계이다. 노년의 웃음이 이 한계를 넘어선다는 것은 어려운 현실 앞에 굴복했던 젊은 날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며, 어쩔 수 없이 할 수밖에 없었던 행함에 대한 자유로운 행함의 승리이다.
- “노년, 생의 아름다운 완성” 중에서
자연스럽게 육체적 욕망에서 벗어나, 명예와 재산과 권력의 추구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된 노년을 키케로는 불행이나 고통이 아니라 오히려 행복을 향한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노년에 욕망의 격랑이 몰아치던 바다를 벗어나 이제 자연의 필연성에 따라 쉴 만한 물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때 만약 고요하고 평화롭게 관조하는 삶, 지혜를 탐구하는 삶을 살아간다면, 키케로의 생각인바, 그런 사람은 최고의 행복에 이를 것이다.
- “노년이라는 축복 -키케로의 《노년론》을 중심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