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기초영어
· ISBN : 9791165032005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23-04-15
책 소개
목차
01. 들어가기 007
02. 조음음성학 기초 017
2.1. 발성기관 019
2.2. 자음 023
2.3. 모음 034
03. 음향음성학 기초 043
3.1. 소리란 무엇인가? 045
3.2. 음파 058
3.3. 스펙트럼 108
3.4. 모음 스펙트로그램 129
3.5. 자음 스펙트로그램 142
3.6. 문장 스펙트로그램 169
04. 발음연습 및 평가기준 183
4.1. 무성 폐쇄음 186
4.2. 유성 폐쇄음 190
4.3. 무성 마찰음 193
4.4. 유성 마찰음 194
4.5. 파찰음 196
4.6. 비음 196
4.7. 유음 197
4.8. 활음 201
4.9. [ə] vs [ɚ] 202
4.10. 전설모음 204
4.11. 후설모음 206
4.12. 모음길이 208
참고문헌 211
부록 215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어의 유음 /l/는 한국어의 유음 /ㄹ/에 비해 소리길이도 길고 포먼트도 훨씬 진한 색 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는 특히 어두 위치에 있는 /l/ 또는 모음 앞에 있는 /l/ 발음에서 두드러진다. 따라서 한국인 화자가 어두의 /l/을 발음할 때는 구강의 공명성을 강화해서 소리크기를 크게 하는 동시에 길게 발음해야 한다. 한국인 화자가 단어 ‘light lane line’을 /라ㅤㅇㅣㅌ, 레인, 라인/처럼 한국어식으로 발음하면 /ㄹ/의 소리길이는 비음과 마 찬가지로 10ms~30ms 정도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포먼트도 역시 희미한 색으 로 나타난다. 따라서 ‘light lane line’의 /l/ 발음 시에는 70ms~250ms 정도의 포먼트가 실현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먼트가 잘 나타나게 하려면 구강의 공명성을 강화해야 한다. 물론, /l/ 포먼트의 시 간길이가 과도하게 길면 틀린 발음으로 평가된다. 또한 /l/를 지나치게 강하게 발음 한 탓에 뒤에 나오는 모음 포먼트보다 더 진한 색으로 나타나도 틀린 발음으로 평가된 다. 시중에 판매되는 영어발음 관련 일부 비전문 도서는 /l/ 발음 직전에 /을/을 먼저 발 음하라고까지 한다. 예를 들어, ‘light lane line’를 /을라ㅤㅇㅣㅌ, 을레인, 을라인/으로 발음하 는 방식이다. 이 역시 불필요한 모음 /으/의 포먼트까지 나타나므로 권장할 수 있는 방 법은 아니다. Ladefoged(2006)에 따르면, 남성 화자를 기준으로 어두 /l/의 F1=250Hz, F2=1200Hz, F3=2400Hz이다. 간혹 피교육생 중에 F3값이 2000Hz 정도를 보이는 경 우가 있다. 그 경우는 /l/가 아닌 /r/를 발음한 것이므로 틀린 발음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국인 화자가 발음한 ‘light lane line’의 스펙트로그램을 보면, 유음 /l/의 포먼 트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파열순간과 파열소음이 약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그 이 유는 어두 /l/를 단타음 [ɾ]로 발음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어 ‘라면’을 발음할 때 개인 화자에 따라서는 어두의 /ㄹ/를 [ɾ]로 발음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어에서 /l/가 [ɾ]로 발음 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light lane line’의 발음에서 파열순간이 나타나면 틀린 발음으로 평가된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