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7권의 저술로 보는 이황의 퇴계학

7권의 저술로 보는 이황의 퇴계학

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엮은이)
계명대학교출판부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1,7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31,7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7권의 저술로 보는 이황의 퇴계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7권의 저술로 보는 이황의 퇴계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6516198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2-23

책 소개

이황(李滉, 1501~1570)은 한국을 대표하는 철학자이며, 그의 퇴계학(退溪學)은 한국철학을 대표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이에 따라 퇴계학에 대한 연구 논문과 저술 또한 결코 적지 않다. 퇴계학에 대한 연구가 많다 보니까 부분 부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다 이뤄졌다고 본다.

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퇴계 이황의 저술과 ‘퇴계심학’ · 홍원식 / 13
1. 간략한 연보로 본 이황의 생애와 저술 · 15
2. 지금까지 우리는 퇴계학을 어떻게 연구해왔는가 · 18
3. 이황은 주자에게서 무엇을 배우고자 했는가 · 20
4. 퇴계학은 심학이다 · 22

제2장 『주자서절요』와 퇴계학 · 장윤수 / 29
1. 『주자서절요』 형성의 사상사적 배경 · 31
2. 초간본 『주자대전』의 간행과 이황의 교감(校勘) 작업 · 34
3. 『주자서절요』의 체제, 내용, 편집상 특징 · 40
1) 『주자서절요』의 체제와 편찬 동기
2) 『주자서절요』의 편집 방법과 실제 사례
3) 『주자서절요』의 편집 특징과 한계
4. 『주자서절요』의 보급이 조선시대 지식인 사회에 끼친 영향 · 51
5. 주자를 향해, 주자를 넘어 · 56

제3장 『송계원명리학통록』과 퇴계학 · 강경현 / 65
1. 퇴계학의 형성과 『송계원명이학통록』 · 67
2. 『송계원명이학통록』의 성립 · 71
3. 『송계원명이학통록』의 구성 · 82
4. 『송계원명이학통록』의 의의 · 92
1) 이학(理學)의 연원(淵源) 제시
2) 경(敬) 공부(工夫)의 위상 정립
5. 『송계원명이학통록』과 퇴계학 · 108

제4장 『천명도설』과 퇴계학 · 김우형 / 111
1. 『천명도설』의 개관 · 113
1) 『천명도설』의 판본
2) 『천명도설』의 제작 및 수정 과정
3) 『천명도설』의 구조와 내용
2. 『천명도설』과 퇴계학 · 140
1) 『천명도설』이 야기한 도덕론의 두 입장
2) 『천명도설』과 퇴계철학

제5장 「사단칠청논변서」와 퇴계학 · 이상호 / 155
1. 사단과 칠정 · 157
2. 주자학의 형성과 사단칠정 · 163
3. 주자학의 한국적 변용, 퇴계학 · 168
4. 사단칠정 논쟁과 「사단칠청논변서」 · 174
5. 사단칠정 논쟁에서 드러난 핵심 쟁점 · 178
6. 사단칠정 논쟁과 퇴계학 · 185

제6장 「심경후론」과 퇴계학 · 홍원식 / 191
1. 이황의 「심경후론」과 주요 논점들 · 193
2. 정민정의 인간됨과 『심경부주』에 대한 기본적 관점의 차이 · 200
3. 존덕성·도문학 공부의 병중과 편중 · 207
4. 정복심의 「심학도」와 인심·도심의 문제 · 212
5. 『심경부주』 연구와 조선유학 전개 · 216

제7장 『성학십도』와 퇴계학 · 최재목 / 221
1. 『성학십도』 읽기에 앞서 · 223
2. 『성학십도』를 만든 이유 · 224
3. 『성학십도』의 구조와 논리적 연관 · 230
4. 『성학십도』의 편집체계와 의미 · 234
1) 태극도(太極圖)
2) 서명도(西銘圖)
3) 소학도(小學圖)
4) 대학도(大學圖)
5)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6)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7) 인설도(仁說圖)
8) 심학도(心學圖)
9) 경재잠도(敬齋箴圖)
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5. 동아시아 사회와 『성학십도』·261

제8장 『도산잡영』,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추제협 / 265
1. 이황의 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267
2. 『도산잡영』과 「도산십이곡」에 대한 기존의 논의 · 269
3. 이황의 그린 도산의 삶 : ‘퇴(退)’와 ‘은(隱)’ · 271
4. 『도산잡영』과 퇴계학 : ‘산수지락(山水之樂)’의 의미 · 280
1) ‘산수(山水)’의 의미 : 천리(天理)의 묘용(妙用)
2) ‘락(樂)’의 의미 : 빙호추월(氷壺秋月)의 삶
5.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성학(聖學)의 노래 · 298
1) 「도산십이곡」의 창작 배경과 공부론
2) 「도산십이곡」과 성학의 공부론
6. 『도산잡영』, 「도산십이곡」과 퇴계학 · 313

참고문헌 / 316

저자소개

계명대학교 목요철학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목요철학원은 1980년 10월 8일 대학 안에서 시작된 <목요철학세미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2011년 ‘철학의 대중화, 대중의 철학화’를 목표로 <계명-목요철학원>을 정식 개원하여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지역 시민들과 함께 소통하는 ‘공공인문학’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 44년의 역사를 이어가는 계명-목요철학원은 시민들을 위한 <목요철학 인문포럼>, 대학인을 위한 <목요철학 콜로키움>,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 철학인문교실>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집필진> ∙ 홍원식 홍원식은 계명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이며, 현재 양산서원 원장을 맡고 있다. 중국과 한국 성리학을 비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퇴계학은 곧 심학이라는 ‘퇴계심학론’을 제기하여 천착하고 있으며, 영남 유학을 낙동강 상류와 중류 및 하류 지역 셋으로 나누고서 낙동강 중류 지역에서 전개된 유학을 ‘낙중학’이라 명명한 뒤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이밖에도 한국 근대를 전후한 시기 철학적 전환과 공동체의 문제 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동도관의 변화로 본 한국 근대철학』 외 50여(공저·공역 포함) 권의 저술과 「정주학의 거경궁리설 연구」(고려대 박사학위논문) 외 100편 정도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장윤수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국 서북대학 객좌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동양철학회장과 대한철학회장을 역임하였다. 학문적 주요 관심 분야는 성리학, 동양교육사상 방면이다. 저서로는 『도, 길을 가며 길을 묻다』(글항아리, 2018) 외 30여 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중국문화정신』(예문서원, 2019) 외 10여 권이 있다. 그리고 논문으로는 「기학氣學과 심학心學의 횡단적 소통구조에 관한 연구」(철학연구, 2014) 등 다수가 있다. ∙ 강경현 연세대학교 학사(철학전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철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철학과) 학위 취득하였으며,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동양학과 조교수이다. ∙ 김우형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연세대학교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수학하였고(문학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문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주희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를 수여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유학의 철학적 탐구』(소명출판, 2021), 『성리학의 우주론과 인간학』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심경철학사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새로운 유학을 꿈꾸다-내일을 위한 신유학강의』(공저, 살림, 2006), 『주희철학의 인식론-‘지각(知覺)’론의 형성과정과 체계』(심산, 2005) 등이 있고, 역서로 『주자어류(권1~13)』(공역, 소나무, 2001) 등이 있다. ∙ 이상호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제두의 양명학의 양명우파적 특징』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민간소장 기록유산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는 일을 주로 했으며, 근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이야기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공저), 『역사책에 없는 조선사』(공저), 『1751년, 안음현 살인사건』 등이 있으며, 한국철학 및 인문 콘텐츠 관련 60여 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 최재목 영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츠쿠바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동양철학(양명학), 넓게는 동아시아철학사상비교이다. 한국양명학회장과 한국일본사상사학회장, 영남퇴계학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 『동아시아 양명학의 전개』, 『퇴계의 초상: 이미지의 퇴계학』, 『퇴계심학과 왕양명』, 『쉽게 읽는 퇴계의 성학십도』, 『왕양명의 삶과 사상: 내 마음이 등불이다』 등 다수가 있다. ∙ 추제협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학과 현대사회』(공저), 『약포 정탁』(공저),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공저), 『서유자를 흠모하며 거경궁리의 학문을 이루다, 의성 천사 김종덕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이황의 사단칠정론과 마음공부」, 「이황과 김인후의 「천명도」 개정과 인간학의 정립」, 「이익의 사단칠정설과 성호학파의 사상적 분기」, 「이익의 격물설에 나타난 윤휴와 이만부의 사상적 영향」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