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시아의 질적심리학

아시아의 질적심리학

(일본·한국·중국·대만·베트남의 사례 중심)

이토 데쓰지, 呉宣児, 오키시오(하라다) 마리코, 코가 마츠카 (지은이), 오선아, 도승이, 정안숙 (옮긴이)
박영스토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시아의 질적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시아의 질적심리학 (일본·한국·중국·대만·베트남의 사례 중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519177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10-25

목차

[일 본]

제1장 장애자 형제의 서로 이야기하기에서 나타나는 양상 1
1. 질적 연구와 나 2
2. 자기 에스노그라피 3
3. 서로 이야기하기 4
4. 서로 이야기하기의 양상 5
5. 마치면서 12
[제1장에 대한 코멘트]
공감하고 이해하는 프로세스에 따른 치유와 임파워먼트 14

제2장 장애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되돌아보고 17
1. 질적 연구와 나 18
2. 중도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토리 20
3. 장애인 시책에 관한 주민회의의 액션리서치 21
4. 동아시아 지역의 장애인에 대한 질적 연구 23
5. 맺는말: 동아시아 질적 연구의 원만한 네트워크 27
[제2장에 대한 코멘트]
액션 리서치로 보는 원조의 형태 31

제3장 대화적 비주얼에스노그라피의 모색 -암묵적인 보육의 전문성을 묘사해내는 것은 가능한가- 35
1. 질적 연구와 나 36
2. 1세아 보육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37
3. 어려움을 이겨내려고 하는 지(知)의 모습을 다루고 싶다 38
4. 대화적 비주얼에스노그라피의 실제 40
5. 마치면서 46
[제3장에 대한 코멘트]
동적인 실천지(実践知) 및 전문지(専門知)의 언어 묘사에 도전 49

[한 국]

제4장 이야기하기로 본 원풍경의 개인성과 공동성 53
1. 질적 연구와 나 54
2. 서로 아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기의 조사·이야기의 흐름을단절하지 않는 분석을 하고 싶다 57
3. 이야기하는 당사자의 리얼리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개인 이야기하기로부터) 58
4. 원풍경의 「공동성」은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공동 이야기하기로부터) 63
5. 마치면서 66
[제4장에 대한 코멘트]
구체성과 추상성을 넘나드는 모델 69

제5장 교실 내 토론에서 나타나는 학생 감정의 역할 73
1. 질적 연구와 나 74
2. 교실토론에서 학생 경험의 촉진제로서 감정 76
3. 한국으로 돌아와서, 수많은 질문들 82
[제5장에 대한 코멘트]
질적 연구의 즐거움과 배움 86

제6장 암환자와 가족들에 관한 질적 연구 91
1. 질적 연구와 나 92
2. 암환자와 가족보호자에 대한 연구 95
3. 맺는 말 101
[제6장에 대한 코멘트]
「다양한 경험에 대한 뉘앙스」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04

[중 국]

제7장 이야기와 시간과 감동 109
1. 질적 연구와 나 110
2. 이야기와 심리학 연구 111
3. 어떤 이야기와의 만남 112
4. 이야기의 분석 112
5. 시간에서 무엇을 읽는가 117
6. 마치면서 119
[제7장에 대한 코멘트]
작문이라는 작은 이야기의 가능성 121

제8장 ‘지주의 죽음’과 구술사 연구 125
1. 질적 연구와 나 126
2. 「지주의 죽음」과 구술사 연구의 실천 128
3. 구술역사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의 고찰 135
[제8장에 대한 코멘트]
중국의 구술사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몇 가지 의문 139
제9장 중국에서의 질적 연구의 윤리적 과제 143
1. 질적 연구와 나 144
2. 중국의 질적 연구의 윤리 문제 145
3. 료코(涼子) 씨에게 상처를 입혔다. 146
4. 이해의 어려움 149
5. 마치면서 151
[제9장에 대한 코멘트]
방법론으로서의 조사 윤리 153

[대 만]

제10장 ‘세상 바꾸기’와 ‘다시 세우기’의 관점에서 보는 대만의 기부문화 157
1. 질적 연구와 나 158
2. 대만의 기부 사정 159
3. 대만 사회에서의 기부의 이유와 과제 161
4. 기부행위의 사회적 의미와 동일본 대지진 165
5. ‘세상 바꾸기’ 지향과 ‘다시 세우기’ 지향 167
[제10장에 대한 코멘트]
문화로서의 기부행위 171

제11장 국제결혼 가정에서의 어머니의 모어 계승에 대한 가치관 175
1. 질적 연구와 나 176
2. 다언어 다문화의 대만 사회와 국제결혼 177
3. 억압된 ‘외국 국적’ 배우자의 모국어 178
4. 어머니 자신이 생각하는 모어 계승 -43명의 인터뷰에서- 179
5. 아이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185
6. 모어 계승에 관한 과제 186
[제11장에 대한 코멘트]
다른 나라의 선구가 되는 다각적인 연구 189

제12장 록의 비지(飛地)에서 헤테로토피아로 193
1. 질적 연구와 나 194
2. 동아시아 도시의 레전드 라이브하우스 196
3. 결론 -록의 ‘비지’에서 도시의 ‘헤테로토피아’로- 204
[제12장에 대한 코멘트]
마음의 ‘숙소’로서의 라이브하우스 208

[베트남]

제13장 하롱베이 수상가옥 주민이전 프로젝트와 어민의 문화 및 생계의 변화 211
1. 질적 연구와 나 212
2. 하롱베이 수상가옥 주민이전 213
3. 생활과 문화 실천 정체성의 변화 215
4. 마치면서 219
[제13장에 대한 코멘트]
사회적 불평등을 부각시키는 질적 연구에 대한 기대 220

제14장 베트남 일본기업의 인재 현지화의 현황과 과제 223
1. 질적 연구와 나 224
2. 일본기업의 해외 자회사의 인력 현지화 225
3. 문제와 목적 226
4. 방 법 227
5. 결과 및 고찰 228
6. 결 론 234
[제14장에 대한 코멘트]
경영의 「삼종신기」의 영광과 붕괴 236

제15장 미성년자의 가족에 대한 무관심 239
1. 질적 연구와 나 240
2. 미성년 자녀들의 가족에 대한 의무 241
3. 가족에 대한 무관심 242
4. 연구방법 243
5. 조사결과 245
6. 질적 조사에 의한 주요 발견 250
[제15장에 대한 코멘트]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베트남 가족의 모습 252

마치면서 257

찾아보기 259

저자소개

이토 데쓰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바라키대학(茨城大学)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사회심리학 주로 베트남을 필드로 질적 연구를 지향하고, 일본질적 심리학회에 설립 당초부터 참가. 2013~2015년도에는 『질적심리학 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학내에서는 지구변동적응과학연구기관의 기관장을 맡는 등 실천을 시도하고 있다. 50대가 되어 다시 처음부터 육아 중이다. <본 서 내 집필 : 들어가는 말, 8장의 코멘트, 10장의 코멘트, 13장의 코멘트>
펼치기
呉宣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오키시오(하라다) 마리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쇼호쿠단기대학(湘北短期大学) 준교수, 임상심리학 동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에도꼬(동경 토박이). 아오야마가쿠인대학대학원(青山学院大学大学院) 에서 석사(국제커뮤니케이션) 학위취득 후, 사회인 경험을 거쳐 다시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교육학)학위를 취득. 장애인 형제의 삶의 모습을 테마로 자기 에스노그라피와 다른 형제들과의 이야기하기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하고 있다. 임상심리사로서 부모와 아이의 발달지원 등에도 종사하고 있다. <본 서 내 집필 : 1장, 7장의 코멘트, 11장의 코멘트>
펼치기
코가 마츠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교육대학(京都教育大学) 교육학부 교수, 유아교육학· 보육학 보육자의 전문성에 연구 관심을 가지고 유치원, 보육원 및 어린이집을 필드로 관계를 갖으며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육자 연수나 실천연구에 관여하는 일이 많고 유소(幼少)접속 연구에도 종사하게 되고 나서 초등학교도 새로운 필드가 되어 가고 있다. 2014~2015년도 일본질적심리학회 연구교류위원장 역임. 실천자와 맛있는 술을 마시면서 보육·교육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무엇보다 즐거운 요즘. <본 서 내 집필 : 3장, 6장의 코멘트>
펼치기
도승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심리학.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프로그램평가 석사, 교육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 주로 Well-being에 대한 문제나 정서 연구에 관심이 있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토론 수업에서 학생들의 정서가 그들의 생각이나 행동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가에 대해 근거이론으로 접근하여 분석했다. 본 논문은 미국 교육심리학의 최고권위지인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의 2004년 12월호의 lead article로 선정되었다. 한국에서도 같은 테마로 질적 연구를 지속하여 왔다. 현재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의 질적 연구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 서 내 집필 : 5장, 1장의 코멘트>
펼치기
오선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쿄아이가쿠엔마에바시국제대학(共愛学園前橋国際大学) 국제사회학과 교수, 환경심리학·문화발달심리학. 한국 제주도에서 태어나고 자람.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후 1994년부터 일본 유학. 오차노미즈여자대학(お茶の水女子大学)에서 석사, 큐슈대학(九州大学)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이야기하기로 보는 원풍경」, 「용돈을 둘러싼 일본·한국·중국·베트남 아이들의 생활세계」, 「대화를 통한 집단 간 이문화 이해」 등의 테마로 질적 연구를 해오고 있다. 마에바시시(前橋市) 위촉으로 마치츠쿠리 활동의 어드바이저로서 관계해 왔다. 한일연구 모임이나 각종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연결자, 동시통역자, 번역자, 해석자로서의 다중역할을 할 때가 많다. <본 서 내 집필: 4장, 3장의 코멘트, 15장의 코멘트>
펼치기
정안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시카고) 심리학과 박사(공동체심리학 전공) 현 미국 드폴대학교(시카고) 심리학과 조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