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519177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10-25
목차
[일 본]
제1장 장애자 형제의 서로 이야기하기에서 나타나는 양상 1
1. 질적 연구와 나 2
2. 자기 에스노그라피 3
3. 서로 이야기하기 4
4. 서로 이야기하기의 양상 5
5. 마치면서 12
[제1장에 대한 코멘트]
공감하고 이해하는 프로세스에 따른 치유와 임파워먼트 14
제2장 장애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되돌아보고 17
1. 질적 연구와 나 18
2. 중도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토리 20
3. 장애인 시책에 관한 주민회의의 액션리서치 21
4. 동아시아 지역의 장애인에 대한 질적 연구 23
5. 맺는말: 동아시아 질적 연구의 원만한 네트워크 27
[제2장에 대한 코멘트]
액션 리서치로 보는 원조의 형태 31
제3장 대화적 비주얼에스노그라피의 모색 -암묵적인 보육의 전문성을 묘사해내는 것은 가능한가- 35
1. 질적 연구와 나 36
2. 1세아 보육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37
3. 어려움을 이겨내려고 하는 지(知)의 모습을 다루고 싶다 38
4. 대화적 비주얼에스노그라피의 실제 40
5. 마치면서 46
[제3장에 대한 코멘트]
동적인 실천지(実践知) 및 전문지(専門知)의 언어 묘사에 도전 49
[한 국]
제4장 이야기하기로 본 원풍경의 개인성과 공동성 53
1. 질적 연구와 나 54
2. 서로 아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기의 조사·이야기의 흐름을단절하지 않는 분석을 하고 싶다 57
3. 이야기하는 당사자의 리얼리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개인 이야기하기로부터) 58
4. 원풍경의 「공동성」은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공동 이야기하기로부터) 63
5. 마치면서 66
[제4장에 대한 코멘트]
구체성과 추상성을 넘나드는 모델 69
제5장 교실 내 토론에서 나타나는 학생 감정의 역할 73
1. 질적 연구와 나 74
2. 교실토론에서 학생 경험의 촉진제로서 감정 76
3. 한국으로 돌아와서, 수많은 질문들 82
[제5장에 대한 코멘트]
질적 연구의 즐거움과 배움 86
제6장 암환자와 가족들에 관한 질적 연구 91
1. 질적 연구와 나 92
2. 암환자와 가족보호자에 대한 연구 95
3. 맺는 말 101
[제6장에 대한 코멘트]
「다양한 경험에 대한 뉘앙스」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04
[중 국]
제7장 이야기와 시간과 감동 109
1. 질적 연구와 나 110
2. 이야기와 심리학 연구 111
3. 어떤 이야기와의 만남 112
4. 이야기의 분석 112
5. 시간에서 무엇을 읽는가 117
6. 마치면서 119
[제7장에 대한 코멘트]
작문이라는 작은 이야기의 가능성 121
제8장 ‘지주의 죽음’과 구술사 연구 125
1. 질적 연구와 나 126
2. 「지주의 죽음」과 구술사 연구의 실천 128
3. 구술역사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의 고찰 135
[제8장에 대한 코멘트]
중국의 구술사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몇 가지 의문 139
제9장 중국에서의 질적 연구의 윤리적 과제 143
1. 질적 연구와 나 144
2. 중국의 질적 연구의 윤리 문제 145
3. 료코(涼子) 씨에게 상처를 입혔다. 146
4. 이해의 어려움 149
5. 마치면서 151
[제9장에 대한 코멘트]
방법론으로서의 조사 윤리 153
[대 만]
제10장 ‘세상 바꾸기’와 ‘다시 세우기’의 관점에서 보는 대만의 기부문화 157
1. 질적 연구와 나 158
2. 대만의 기부 사정 159
3. 대만 사회에서의 기부의 이유와 과제 161
4. 기부행위의 사회적 의미와 동일본 대지진 165
5. ‘세상 바꾸기’ 지향과 ‘다시 세우기’ 지향 167
[제10장에 대한 코멘트]
문화로서의 기부행위 171
제11장 국제결혼 가정에서의 어머니의 모어 계승에 대한 가치관 175
1. 질적 연구와 나 176
2. 다언어 다문화의 대만 사회와 국제결혼 177
3. 억압된 ‘외국 국적’ 배우자의 모국어 178
4. 어머니 자신이 생각하는 모어 계승 -43명의 인터뷰에서- 179
5. 아이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185
6. 모어 계승에 관한 과제 186
[제11장에 대한 코멘트]
다른 나라의 선구가 되는 다각적인 연구 189
제12장 록의 비지(飛地)에서 헤테로토피아로 193
1. 질적 연구와 나 194
2. 동아시아 도시의 레전드 라이브하우스 196
3. 결론 -록의 ‘비지’에서 도시의 ‘헤테로토피아’로- 204
[제12장에 대한 코멘트]
마음의 ‘숙소’로서의 라이브하우스 208
[베트남]
제13장 하롱베이 수상가옥 주민이전 프로젝트와 어민의 문화 및 생계의 변화 211
1. 질적 연구와 나 212
2. 하롱베이 수상가옥 주민이전 213
3. 생활과 문화 실천 정체성의 변화 215
4. 마치면서 219
[제13장에 대한 코멘트]
사회적 불평등을 부각시키는 질적 연구에 대한 기대 220
제14장 베트남 일본기업의 인재 현지화의 현황과 과제 223
1. 질적 연구와 나 224
2. 일본기업의 해외 자회사의 인력 현지화 225
3. 문제와 목적 226
4. 방 법 227
5. 결과 및 고찰 228
6. 결 론 234
[제14장에 대한 코멘트]
경영의 「삼종신기」의 영광과 붕괴 236
제15장 미성년자의 가족에 대한 무관심 239
1. 질적 연구와 나 240
2. 미성년 자녀들의 가족에 대한 의무 241
3. 가족에 대한 무관심 242
4. 연구방법 243
5. 조사결과 245
6. 질적 조사에 의한 주요 발견 250
[제15장에 대한 코멘트]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베트남 가족의 모습 252
마치면서 257
찾아보기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