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5398828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1-08-09
책 소개
목차
Ⅰ
교육위원회가 뭡니까?
졸업식 단상 1
스펠링비
징계
주 결승에서 얻은 교훈
수업 일수
시카고 미주 체전
재산세
캠퍼스 방문 1
캠퍼스 방문 2
Ⅱ
한글학교
한국어 SAT 시험
교육열과 교육 방식
불만 제기와 해결 절차
조기 유학
백투스쿨 나이트
학부모의 자원봉사
이중 문화에 적응
자녀의 소질 계발
학교의 경쟁력
전인교육
학교 교육위원회 조직
Ⅲ
던랩은 변신 중
감기와 결석
자녀 학습지도
퇴학 청문회
일리노이교육위원협회 컨퍼런스
우리 아이의 한글 교육
부모의 교육관과 가정의 교육 환경
교육위원 선거 출마에서 당선까지 1
교육위원 선거 출마에서 당선까지 2
교육위원 선거 출마에서 당선까지 3
교육위원 선거 출마에서 당선까지 4
Ⅳ
나 한국 갈래요
취업의 조건 1
취업의 조건 2
교원평가제
교육행정가
자녀의 자아 정체성 확립의 과제
무관용 정책
천재와 교육
10학년에게 배운 리더십
협회 활동의 중요성
고등학교 11학년
Ⅴ
21세기에 필요한 기술
시니어 나이트
졸업식 단상 2
트래블 축구 팀
단계별 운전면허 프로그램
학교 건물의 증축과 신축
자녀의 이성 교제
대학 지원
홈커밍 축제
대입 지원 에세이
저자소개
책속에서
1995년. 한글을 사랑하며 한인 2세들의 장래를 걱정하는 여러 뜻있는 한인들의 노력으로, 미국 대학위원회College Board가 한국어를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태리어, 현대 히브리어, 라틴어, 일본어, 중국어에 이어 아홉 번째 외국어로 SAT 언어 시험 과목으로 채택했다. 그리하여 1997년에 처음으로 한국어 시험이 실시되었다. 한국어가 채택된 이후 아직까지 SAT에 추가된 언어가 없는 것을 보면, 그만큼 새로운 외국어를 SAT에 포함시키는 것이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 당시 그분들은, 한국어 시험이 단순한 언어 시험의 의미를 넘어, 재미 한인 2세들의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원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한국어 채택을 위해 1만 5,000여 명의 서명과 미국 대학위원회College Board에서 요구한 시험 개발 비용 50만 달러를 삼성의 전액 기부금으로 마련하고, 전국적인 모금 운동을 통해 한국어진흥재단을 설립하는 등 실로 미국 한인 이민사에 남을 만한 큰일을 해내신 것이다.
지난주에는 중부 일리노이 밸리 디비전Central Illinois Valley Division 소속 교육위원들의 정기 모임이 필자가 교육위원으로 있는 던랩 학군의 한 중학교에서 있었다. 마침 필자의 딸이 다니는 학교에서 모임을 주최했기에, 딸이 활동하는 코러스와 재즈밴드가 교육위원회 모임을 위해 합창과 연주를 해 주었다. 모임의 등록을 마친 후 배경으로 흐르는 코러스의 아름다운 노래를 뒤로하고 모임의 참석자들과 담소를 나누며 회의 순서가 시작되기를 기다리는데, 갑자기 코러스가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눈치를 못 챘으나 노래 소리가 점점 커짐에 따라 곧 그 노래가 필자를 위한 것임을 깨닫고 코러스에 손을 흔들며 고맙다는 표시를 했다. 마침 필자의 생일이 그다음 날이었는데, 딸의 즉석 제안으로 코러스가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 준 것이었다. 생각지도 못하게 받은 학교 코러스의 생일 축하 노래는 지금까지 받은 어떤 생일 선물 중에서도 가장 값진 생일 선물이 될 것 같다.
한글을 깨우치기 전까지는 한글에 대한 느낌을 주기 위해 쉬운 동화책을 소리 내어 읽어 준다. 굳이 아이에게 읽어 보라고 강요하지는 않지만 간단한 내용을 알아들었는지는 물어본다. 자음과 모음을 깨우치며 글자 읽는 법을 단어별 ‘통문자’로 가르친다. 한글을 스스로 조금씩 읽을 수 있게 되면 한국에서 쓰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1학년부터 6학년까지 총 12권―로 체계적으로 가르친다. 아무래도 한국의 학년대로 따라가기는 무리이고 6학년 교과서를 여기 중학교―8학년―끝날 때까지 익힐 수 있으면 아주 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문을 크게 소리 내어 읽게 하고 발음을 고쳐 주며 모르는 단어의 뜻을 설명해 준다. 본문 내용, 문법을 설명하고 중간중간 내용을 물어보며 단어와 구문을 익히고, 교과서에 나와 있는 대로 짧은 글짓기를 한다. 아이에게 전체 내용을 말하게 하고 책에 있는 물음에 답하게 한다. 읽기뿐 아니라 쓰기까지 해야 한글을 잊지 않고 완전하게 습득하기 때문에 배운 본문을 노트에 반드시 옮겨 써 보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