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6579099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목차
prologue 아픈 게 싫은 의사 • 004
part 1 약 대신 습관을 처방하는 의사들
라이프스타일 메디슨Lifestyle Medicine이란? • 016
습관 처방을 받은 내과 의사 • 020
part 2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는 왜 요리수업을 할까?
하버드가 주목한 자연식 밥상 • 037
소금, 식탁 위의 살인자 • 040
탄수화물 중독에서 탈출하라 • 041
알코올은 발암물질 • 049
의사의 음식 처방 • 050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 식사법 • 057
질병을 부르는 식단, 질병을 예방하는 식단 • 088
part 3 매일 계단을 걸어서 오르는 이유
왜 우리는 운동을 해야 할까? • 105
운동의 종류와 하루 권장량 • 107
의사의 운동 처방 • 111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 관절 관리법 • 140
매일 계단을 걸어서 오르는 이유 • 152
part 4 평균수명이 아닌 건강수명을 늘려라
만성질환을 벗어나지 못하면 장수는 무의미하다 • 166
환경의 역습에 대비하라 • 176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 중장년기 관리법 • 184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 노년기 관리법 • 216
part 5 의학의 생활화, 생활의 의학화
건강검진에 대한 오해와 진실 • 233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 맞춤형 습관관리 지침 • 238
부록 김선신 교수의 라이프스타일 코칭 클리닉 • 252
case1 만성피로 • 253
case2 고도비만 • 26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렇게 ‘라이프스타일 메디슨’을 언급한 논문의 수는 1998년까지는 669편에 불과했다. 하지만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동안 2284편이 발표되고, 2003년엔 미국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학회가 결성이 되었다. 이어 관련 교육과정이 마련되고 많은 전문가 집단이 라이프스타일 메디슨이 모든 1차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인에게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2007년 하버드 의과대학에 라이프스타일 메디슨 연구소가 설립,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에 정식으로 포함되었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메디슨의 효과를 인정한 미국 행정부는 2010년 제정된 미국의 환자 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일명 ‘오바마케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개선시키는 의료적 행위에 대해 서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결정하였다.
라이프스타일 메디슨은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혈관 질환 치료에 많은 영향을 끼치면서 먼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연구가 진행되고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단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뇌혈관 질환, 위암, 대장암, 간암, 후두암, 폐암 등 여러 가지 암과 관련이 깊으며 나아가 치매와 남성 성기능 장애 등을 포함하여 너무나 많은 질병이 생활습관과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_ <part 1 약 대신 습관을 처방하는 의사들> 중에서
48세 CEO K씨는 밀가루 음식을 매우 좋아해서 일주일에 4번 이상 점심에 국수나 제비를 먹고 식사 후에는 설탕이 들어간 커피와 케이크를 즐겼다. 회의 중에는 간식으로 과자나 초콜릿을 먹지 않으면 집중이 안 되고, 야식으로 라면이나 단 빵을 먹어야 하루 일과를 마친 것 같다고 했다. 그의 건강검진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
비만, 복부비만과 체지방률 상승, 혈당 상승과 중성지방 상승, 그리고 심한 지방간이었다. 정제된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 정제된 탄수화물을 먹으면 우리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혈중 포도당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또 급격히 하락한다.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면 혈당 조절을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어 혈당이 급격히 낮아지고 배가 고파지면서 다시 탄수화물을 찾게 되는데 이것이 결국 당뇨, 비만의 원인이 된다.
밀가루 줄이기 처방전
➡ 점심 메뉴는 짜장면, 스파게티, 피자 대신 쌈밥 정식, 통밀 샌드위치 등으로 바꾼다.
➡ 칼국수, 수제비 등 메뉴가 밀가루 음식만 있는 식당은 가능한 가지 않는다.
➡ 국수가 너무 먹고 싶다면 통밀의 함량이 높은 국수를 먹는다.
➡ 국수를 끊기 힘들다면, 걸어서 10분 거리의 식당에서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 먹는다.
➡ 장볼 때 라면, 과자, 빵 등 밀가루로 만든 것은 사지 않는다.
➡ 밀가루 음식이 먹고 싶으면 집 근처 편의점에서 그때그때 사서 먹는다.
_<part 2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는 왜 요리수업을 할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