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66470240
· 쪽수 : 523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목차
PART 01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Chapter 01 인적자원개발의 기본원리 • 14
0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16
1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과 의의 / 16
2 인적자원개발 개념의 확대 / 18
3 인적자원의 구성요소와 특성 / 20
02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과의 관계.............................................................23
1 기본 개념 / 23
2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 24
3 인적자원개발의 주요기능 / 25
03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소....................................................................................29
1 인적자원개발의 활동영역 / 29
2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 32
3 인적자원개발활동의 전개과정 / 34
4 인적자원개발 전략 / 36
5 이 책의 구성체계와 접근방법 / 37
Chapter 02 인적자원개발의 발전과정 • 42
01 유럽의 인적자원개발제도 발전과정....................................................................44
1 시범제도 / 44
2 도제제도 / 44
3 길드제도 / 45
4 후견인제도 / 46
5 직업교육제도 / 46
6 직업훈련제도 / 47
02 미국의 인적자원개발제도 발전과정....................................................................49
1 초기 견습생 제도 / 49
2 초기 직업교육 프로그램 / 50
3 초기 공장학교 / 50
4 숙련훈련 및 직무훈련 / 51
5 인간관계운동 / 52
6 훈련전문직의 등장 / 52
7 인적자원개발의 출현 / 53
03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제도 발전과정....................................................................54
1 개 요 / 54
2 인적자원개발 관련 법 · 제도의 변천 / 57
3 인적자원개발 관련 용어의 이해 / 59
Chapter 03 학습이론과 인적자원개발 • 68
01 교육훈련의 목적..................................................................................................70
1 의의와 목적 / 70
2 학습활동의 촉진 / 72
02 학습의 개념과 원리.............................................................................................75
1 교수학습의 의의 / 75
2 학습의 기본원리 / 76
03 성인학습자와 인적자원개발............................................................................... 80
1 성인학습의 의의 / 80
2 성인학습의 특성과 인적자원개발 / 81
04 학습극대화의 조건.............................................................................................. 83
1 학습자 특성 / 83
2 훈련설계 / 84
3 훈련전이 / 86
05 학습이론과 교수체제개발................................................................................... 89
1 학습이론의 이해 / 89
2 교수체제개발 / 91
PART 02 인적자원개발의 전개
Chapter 04 HRD의 요구분석 • 102
01 요구분석의 개념................................................................................................ 104
02 요구분석의 모형................................................................................................108
1 Ulschak의 모형 / 109
2 Rossett의 모형 / 110
3 Witkin과 Altschuld의 모형 / 111
4 요구분석의 과정 / 112
03 요구분석의 실행.................................................................................................115
1 전략적 조직분석 / 116
2 직무분석 / 120
3 개인분석(학습자분석) / 126
4 요구분석의 우선순위 결정 / 130
Chapter 05 HRD 프로그램의 설계 • 138
01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 140
02 프로그램의 설계과정......................................................................................... 142
1 목표설정 / 142
2 목표의 계열화 / 146
3 훈련전문가 또는 외부전문가 선정 / 148
4 학습계획의 개발 / 150
5 프로그램 운영방법과 기법의 선정 / 151
6 교육훈련자료의 준비 / 152
7 프로그램의 운영일정 / 153
Chapter 06 HRD 프로그램의 개발 • 160
01 교육과정개발의 의의......................................................................................... 162
1 과정개발의 의의 / 162
2 과정개발 시 전문가의 활용 / 163
02 교재 및 교수지도안 개발................................................................................... 165
1 학습자용 교재 / 165
2 강사용 교수지도안 / 167
3 교보재 개발 / 171
03 강사 및 교수자(facilitator) 선정......................................................................... 173
1 선정지침 / 173
2 교 · 강사 섭외절차 / 174
04 교육과정의 파일럿 실시.................................................................................... 176
1 파일럿 실시의 의미 / 176
2 과정개발에서의 형성평가 / 179
Chapter 07 HRD 프로그램의 실행 • 188
01 HRD 프로그램의 실행....................................................................................... 190
1 학습실행과 촉진의 기본원리 / 190
2 성인학습의 원칙 / 192
3 물리적 환경의 배치 / 192
4 HRD 프로그램의 실행준비 / 193
02 기업의 HRD 지원제도....................................................................................... 195
1 교육이수학점제 / 196
2 학습공동체(COP) 및 학습마일리지제 / 196
3 사내강사 / 197
4 사내자격 / 197
03 교육훈련의 전이................................................................................................ 198
Chapter 08 HRD 프로그램의 평가 • 212
01 평가의 목적과 과정........................................................................................... 214
1 평가의 개념 / 214
2 평가의 목적과 유형 / 216
3 평가의 과정 / 218
02 평가모델의 구조............................................................................................... 220
1 Kirkpatrick의 평가구조 / 220
2 다른 평가구조와 모델들 / 222
3 평가모델들의 비교 / 223
03 평가도구의 설계................................................................................................225
1 평가자료수집 / 225
2 평가도구 설계 / 230
04 평가의 윤리성과 교육훈련의 경제성 평가........................................................234
1 평가의 윤리적 유의사항 / 234
2 교육훈련비용의 경제성 평가 / 236
05 총괄평가 및 과정개선........................................................................................239
1 총괄평가 / 239
2 과정개선 / 241
PART 03 인적자원개발의 활동
Chapter 09 개인개발 • 250
01 교육훈련의 종류와 방법....................................................................................252
1 일반적 원칙 / 252
2 교육훈련방법의 유형 / 253
02 직무현장훈련(OJT)............................................................................................255
1 직무훈련 / 256
2 직무순환 / 258
3 코칭과 멘토링 / 259
03 집합교육훈련(Off-JT)........................................................................................262
1 강의 / 263
2 토론 · 토의 / 263
3 시청각 미디어교육 / 264
4 경험적 학습법(1) : 의사결정능력 교육법 / 266
5 경험적 학습법(2) : 대인관계능력 교육법 / 269
6 야외훈련 / 274
04 에듀테크 활용학습.............................................................................................275
1 컴퓨터활용학습 / 276
2 인터넷 · 인트라넷 훈련 / 277
3 모바일러닝, u-러닝, 스마트러닝 / 277
4 지능형 컴퓨터 응용학습 / 278
5 에듀테크 활용학습의 특성 / 279
05 기술 및 전문훈련.............................................................................................. 280
1 기술훈련 / 280
2 영업 및 서비스 훈련 / 282
3 협동정신강화훈련 / 286
4 전문가 육성 / 289
06 역량과 직업기초능력.........................................................................................293
1 역량(competency) / 293
2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 / 299
3 직업기초능력과 학습목표 / 300
Chapter 10 경력개발 • 310
01 경력개발의 본질................................................................................................ 312
1 경력개발의 의의와 필요성 / 312
2 경력개발제도의 배경 / 315
3 경력개발의 원칙 / 317
02 경력개발의 체계와 모형.................................................................................... 319
1 경력개발의 체계 / 319
2 경력계획과 경력관리 / 320
3 경력개발의 전통적 및 현대적 모델 / 322
4 생애단계와 변화무쌍 경력의 조화 / 328
03 경력개발의 실제와 활동................................................................................... 330
1 자기평가 도구와 활용 / 330
2 경력상담 및 경력협의 / 333
3 조직 내부의 직무연계 시스템 설정 / 335
4 개인별 상담 및 경력평가 / 337
5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 339
04 경력개발의 촉진 및 이슈.................................................................................. 343
1 경력동기부여의 촉진 / 343
2 경력정체 문제 / 344
3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력개발 문제 / 347
4 승진없는 경력개발 문제 : 직무충실화 전략 / 348
05 효과적인 경력개발활동..................................................................................... 350
Chapter 11 조직개발 • 360
01 조직개발의 기본개념.........................................................................................362
1 조직개발의 정의 / 362
2 조직개발이론의 전개과정 / 363
3 조직개발의 기본전제와 목적 / 365
02 변화관리의 이해............................................................................................... 369
1 레윈(Lewin)의 장(field)이론 / 369
2 변화압력과 저항요소 / 370
3 계획적 변화 4단계 모델 / 375
4 변화개입의 추진자 / 377
03 개인변화개입.................................................................................................... 383
1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 383
2 360도 다면평가 / 384
04 집단변화개입.................................................................................................... 386
1 집단내개입 / 386
2 집단간개입(갈등관리) / 388
05 프로세스변화개입............................................................................................. 390
1 직무확대 / 390
2 직무충실화 / 391
3 작업스케줄의 변화 / 391
4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BPR) / 393
06 조직변화개입.................................................................................................... 394
1 조직문화의 변화 / 394
2 전략적 변화 / 395
3 조직재설계 / 397
4 전사적 조직혁신시스템 / 398
07 조직개발실행에서의 HRD담당자 역할...............................................................411
PART 04 인적자원개발의 촉진
Chapter 12 인적자원개발 트렌드와 전문가 • 424
01 HR의 새로운 요구와 전략적 통합.....................................................................426
1 전략적 통합요구의 증대 / 426
2 HRD전문가에 대한 요구의 증대 / 427
02 거시적 환경변화와 대응................................................................................... 430
1 노동인구의 구성변화 / 430
2 제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경제 및 무한경쟁 / 431
3 근로자 기술부족 해결 / 433
4 평생학습의 필요성 / 434
5 학습조직의 활성화 / 435
03 인적자원개발 트렌드.........................................................................................437
1 ASTD의 HRD 뉴 트랜드 / 437
2 인적자원개발의 향후 관심 / 439
04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442
1 HRD담당자의 중요성 / 442
2 HRD담당자별 역할과 변화 / 443
3 HRD담당자의 역량 / 447
4 HRD전문가 자격증 / 449
Chapter 13 한국기업의 실태와 촉진정책 • 462
01 인적자원개발 실태와 촉진방안........................................................................ 464
1 기업의 HRD 투자부진 / 464
2 자기주도적 학습의 촉진 / 466
3 기업교육훈련의 효율화 요인 / 467
02 인적자원개발 촉진정책의 확충........................................................................ 469
1 촉진제도의 도입 필요성 / 469
2 능력개발 지원제도의 확대 / 470
03 국내외 인적자원개발 촉진모델.........................................................................472
1 영국의 IIP모델 / 472
2 싱가포르의 PD모델 / 474
3 외국사례의 시사점 / 475
4 한국의 기업 HRD 촉진모델개발과 활용 / 475
Chapter 14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과제 • 486
01 국가인적자원개발의 개요................................................................................. 488
1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범위와 개념 / 488
2 국가의 인적자원개발 책무 / 489
3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전개 / 490
4 국가인적자원개발의 환경변화 및 정책과제 / 492
02 새로운 인적자원개발지원제도의 도입...............................................................497
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 · 확산 / 497
2 산업별 및 지역별 인력육성의 추진 / 499
3 일학습병행제의 도입 / 501
찾아보기 /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