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684172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중동지역과의 고등교육 협력을 위한 시각 _명순구 / 15
사우디아라비아 _김종도
Ⅰ. 들어가는 말 / 21
Ⅱ. 사우디아라비아의 교육 약사와 제도 / 25
1. 취학 전 교육과정 / 30
2. 초등학교 교육과정 / 30
3. 중학교 교육과정 / 31
4. 고등학교 교육과정 / 31
5. 고등교육과정 / 32
Ⅲ. 고등교육 현황 / 34
Ⅳ. 고등교육분야의 협력방안 / 40
1.기존협력 / 41
2.협력방안 / 44
오 만 _김재희
Ⅰ. 오만 개황 / 50
Ⅱ. 오만 교육 현황 / 51
1. 오만 교육 정책 / 51
2. 고등교육제도 현황 / 52
3. 오만 교육 개혁 / 53
4. 해외 유학생 현황 / 53
Ⅲ. 오만 대학교 현황 / 54
1. 술탄 카부스 대학교(SULTAN QABOOS UNIVERSITY: SQU) / 55
2. 오만 독일 공과 대학(German University of Technology in Oman: GUTECH) / 56
3. 중동 칼리지(Middle East College: MEC) / 56
4. 니즈와 대학교(University of Nizwa: UoN) / 57
5. 자흐라 여자대학교(Al Zahra College for Women: ZCW) / 59
Ⅳ. 한국-오만 간 교육 교류 현황 / 60
1. 한국-술탄 카부스 대학교와의 교류 협력(2016.08) / 60
2. 중동 칼리지와 한양대학교 간 교환학생 프로그램(2019) / 60
3. 오만 한국문화클럽-국내 대학교 간 민간교류 협력(2017) / 61
Ⅴ. 한국-오만 간 교육 협력 증진을 위한 제언 / 62
1. 한국-오만 대학교 간 교류 협력 확대 / 62
2. 양국 인적교류 협력 확대 / 63
3. 오만 온라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수출 협력 / 64
4. 오만 신재생에너지산업 연구 협력 / 65
5. 국내기업-오만 대학교 간 산학협력 / 65
6. 오만 온라인교육 시스템 개선 협력 / 66
Ⅵ. 결 론 / 67
UAE(아랍에미리트) _김재희
Ⅰ. UAE 대학교육 현황 / 70
1. UAE 교육 정책 추진 배경 / 70
2. 교육 이니셔티브 / 72
3. UAE 교육정책 / 74
4. 해외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시행책 / 75
Ⅱ. UAE 대학 현황 / 75
1. UAE 대학의 강점 / 75
2. UAE 대학 정보 / 75
Ⅲ. UAE 주요 대학의 한국 기관(대학, 연구소, 기업 등)과의 교류 현황 / 80
Ⅳ. 한국 학생 교류를 위한 UAE 내 추천 대학교 / 81
1. UAE 석유대학(The Petroleum Institute) / 81
2. MBZUAI(Mohamed bin Zayed Univer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 82
Ⅴ. 시사점 / 82
1. 한국의 UAE 교육 분야 관련 프로젝트에 적극적인 참여 / 83
2. 한-UAE 간 교육분야 협력대상 확대의 필요성 / 84
3. _한국 학생들의 UAE 석유대학교(PI) 등 전문 교육기관으로 진출 확대의 필요성 / 85
4. _UAE 교육 기자재 시장 내 유망한 ICT 기술과 융합된 스마트 교육 시스템 협력 강화의 필요성 / 85
5. 보건의료 분야 협력 강화와 관련 교육 확대의 필요성 / 86
6. UAE 교원 역량개발 참여 / 86
7. UAE 학생들의 국내 대학 유치 및 산학협력 확대 / 87
쿠웨이트 _김재희
Ⅰ. 쿠웨이트 개황 / 89
Ⅱ. 쿠웨이트 교육 정책 / 90
1. 쿠웨이트 교육 목표 / 90
2. 쿠웨이트 교육 소관 부처 / 91
Ⅲ. 쿠웨이트 대학교 현황 / 93
1. American University of the Middle East(AUM) / 99
2. Gulf Univers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GUST) / 100
3. Kuwait University(KU) / 100
4. 자비르 알아흐마드 대학교 / 102
5. Arab Open University in Kuwait / 102
6. 기타 대표적인 교육 기관: 공공교육청(PAAET) / 103
Ⅳ. 한-쿠웨이트 산학 교류 현황 / 104
사례 1. 목포해양대학교-쿠웨이트 정부 / 104
사례 2. BNF테크놀로지-쿠웨이트 대학 / 104
사례 3. 한양대 PAAET(The Public Authority for Applied Education and Training) 산하 쿠웨이트센터 설립 / 104
Ⅴ. 시사점 / 105
1. 쿠웨이트 교육 발전을 위한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 / 105
2. 쿠웨이트 스마트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 확대에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 / 106
3. 쿠웨이트 정부 국비장학생 활용 확대 / 107
4. 양국 간 보건의료 협력의 확대 / 108
5. 국내 대학과 쿠웨이트 대학과의 협력 확대 / 109
튀르키예 _이양희
Ⅰ. 서 언 / 113
Ⅱ. 튀르키예의 초·중등교육 현황 / 114
Ⅲ. 튀르키예의 고등교육 현황 / 117
Ⅳ. 튀르키예의 대학 및 유학생 현황 / 120
Ⅴ. 한국-튀르키예의 고등교육 협력 현황 및 방안 / 125
1. 한국-튀르키예 대학 간 협력 / 125
2. 연구 및 학술 분야 협력 방안 / 129
3. 산학협력 방안 / 130
Ⅵ. 제 언 / 132
이스라엘 _성일광
Ⅰ. 이스라엘 고등교육 시스템 / 135
1. 인문과학(단수전공) / 140
2. 사회과학(단수전공) / 140
3. 수학 및 자연과학(단수전공) / 140
Ⅱ. 이스라엘 주요 대학 / 143
1. 히브리대학 / 143
2. 테크니온공과대학 / 146
3. 와이즈만 과학 연구소 / 150
4. 바르일란 대학교 / 151
5. 텔아비브 대학교 / 151
6. 하이파 대학교 / 156
7.벤구리온 대학교 / 156
8. 개방 대학교 / 157
Ⅲ. 이스라엘 유학생 현황 / 157
Ⅳ. 산학 협력 / 158
이 란 _박현도
Ⅰ. 이란 교육 현황 / 163
1. 초중고 교육 / 165
2. 콘쿠르(대학입학자격시험) / 166
3. 성적 평가 / 168
4. 대학교육 / 168
Ⅱ. 이란의 대학 / 169
Ⅲ. 경제난과 대학교육 위기 / 171
Ⅳ. 고등 교육 협력 방안 / 173
카타르 _박현도
Ⅰ. 들어가는 말 / 181
Ⅱ. 카타르의 교육제도와 현황 / 183
Ⅲ. 카타르의 국가비전 2030과 고등교육 / 186
Ⅳ. 고등 교육 협력 방안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