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례도집주 4

삼례도집주 4

섭숭의 (지은이), 김용천 (역주)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00원 -0% 0원
1,850원
35,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례도집주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례도집주 4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66842153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3-06-27

책 소개

각종 의례에 사용하는 수많은 명물에 대한 이해는 단지 문자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며 반드시 도상의 도움을 필수로 한다. 이 책은 내부소장 전증 야시원 영송초본에 의거하여 선록한 문연각 사고전서본 섭숭의 『삼례도집주』를 저본으로 삼아 우리말로 옮기고 주해한 것이다.
각종 의례에 사용하는 수많은 명물(名物)에 대한 이해는 단지 문자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며 반드시 도상의 도움을 필수로 한다.
본서는 내부소장(內府所藏) 전증(錢曾) 야시원(也是園) 영송초본(影宋鈔本)에 의거하여 선록(繕錄)한 문연각(文淵閣) 사고전서본(四庫全書本) 섭숭의(聶崇義) 『삼례도집주(三禮圖集注)』를 저본으로 삼아 우리말로 옮기고 주해한 것이다. 섭숭의 『삼례도집주』는 이미 산일된 당대까지의 각종 『삼례도』를 수집하고 고증을 가해 완성한 책으로, 예에 관한 도해 가운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형태의 삼례(三禮) 도상(圖像) 저작이다.

목차

옮긴이 해제 4

目錄20: 序 31
目錄20: 冕服면복 제1 33
目錄20: 后服후복 제2 100
目錄20: 冠冕관면 제3 116
目錄20: 宮室궁실 제4 157
目錄20: 投壺투호 제5 179
目錄20: 射侯上사후상 제6 202
目錄20: 射侯下사후하 제7 213
目錄20: 弓矢궁시 제8 236
目錄20: 旌旗정기 제9 265
目錄20: 玉瑞옥서 제10 278
目錄20: 祭玉제옥 제11 292
目錄20: 匏爵포작 제12 326
目錄20: 鼎俎정조 제13 349
目錄20: 尊彛준이 제14 369
目錄20: 喪服上상복상 제15 386
目錄20: 喪服下상복하 제16 395
目錄20: 襲斂습렴 제17 408
目錄20: 喪器上상기상 제18 429
目錄20: 喪器下상기하 제19 444

찾아보기 453

저자소개

섭숭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송 초기 하남 낙양 출신으로, 예학 특히 ‘삼례(三禮)’에 정통했던 인물이다. 후한·후주·북송 등의 왕조에서 20년 동안 학관(學官)을 맡으면서 예전(禮典)의 일을 함께 관장했다. 후주 세종 현덕 3년에 당시까지 전해지던 각종 『삼례도』를 수집·고증하여 교(郊)·묘(廟)에 사용할 제기(祭器)와 옥기(玉器)를 도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그 작업은 북송 태조 건륭 2년에 완성되어 『삼례도』의 이름으로 상주되었으며, 이후 국자감의 강당 벽에까지 그려져 전국으로 유포되었다. 송대 이후 예도(禮圖) 나아가 예제(禮制)의 변화와 전개과정을 고찰하고자 할 때, 『삼례도집주』는 그 출발점이 된다. 또 송대 이전 대부분의 예도가 망실된 현 상황에서 이를 완정한 형태로 담고 있는 섭숭의 『삼례도집주』는 사료적 가치의 측면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펼치기
김용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대의 종묘제·상복례를 중심으로 예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전한후기 예제담론』, 『중국 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중국의 공과 사』, 『후한 유교 국가의 성립』, 『중국 사상문화 사전』, 『역주 주례주소 (1, 2, 3, 4)』(공역), 『의례 역주(1-8)』(공역), 『구당서 예악지(3)』, 『신당서 예의지(3)』 등이 있다. 「전한 원제기 위현성의 종묘제론」, 「『석거예론』의 분석과 전한시대 예치이념」, 「『순자』· 『예기』 「왕제」의 예치구상」, 「북위 효문제 ‘삼년상’의 실체와 그 성격」, 「양진시대 ‘위인후자’의 복제 담론」, 「기장 ‘수복’의 규정과 예학적 논쟁」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