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인 김수악

명인 김수악

차옥수 (지은이)
한국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명인 김수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인 김수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66850684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진주 문화를 찾아서 22권. 김수악은 젊은 시절에 예술 교육에, 50대 후반 이후에는 자신의 예술적인 성취를 보여주는 연행에 치중하였다. 그것은 예술가의 본령을 찾아가며 춤꾼으로 산 삶이었다. 가사와 시조, 판소리 다섯 마당을 섭렵한 공력이 춤을 부르는 구음으로 꽃 피어났다.

목차

머리말
차례

1. 출생과 가족
1. 출생과 성장
2. 가정의 기초 학습
3. 권번의 정규 학습
4. 개인 학습

2. 교육과 공연 활동
1. 출향과 교육 활동
2. 귀향, 교육과 공연 활동

3. 강산 제일의 예인
1. 진주검무의 계승
2. 진주교방굿거리춤
3. ‘헛간의 도리깨도 춤을 춘다’는 구음
4. 창작무 논개살풀이춤

4. 김수악 예술을 말하다
1. 김수악의 예술관
2. 김수악 예술의 맛과 멋

5. 떠나는 예인과 그의 자취
1. 김수악과의 만남
2. 저무는 생애
3. 김수악을 기리며

도움받은 글
김수악 연보

저자소개

차옥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66년부터 2008년까지 진주교육대학교에서 재직하며,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이수자(제581호)로 후진 양성과 공연에 힘을 쏟아왔다. 또 일본,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해외에서 진주검무를 시연하며 알리는 일을 했다. 현재 김수악 구음·검무 보존회 회장과 춘당 김수악 기념사업회 이사를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출생과 가족
1. 1. 출생과 성장

김수악은 1925년(을축년) 음력 12월 10일,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서하리에서 태어났다. 양력으로 1926년 1월 23일이다. 본인이 평생 음력으로 기억하고 증언한 탓으로 출생 년도와 날짜를 음력에 맞추어 기록한 사례가 많다. 또 회갑 등 나이 계산에 혼선이 많이 생겼다.
김수악(金壽岳)의 본명은 김순녀(金順女)이다. 호적에 순녀로 기록되어 있다. 그렇지만 명이 길기를 바라는 부모의 뜻에 따라 이름이 수악으로 바뀌어 어렸을 때부터 수악으로 불렸다. 어릴 때는 ‘여란(麗蘭)’이란 이름을 갖기도 했으며, 애란이라는 발음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또 재주가 있고 영리하다고 해서 할머니나 고모들은 ‘영림’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자랐지만, 훗날 김수악으로 굳어졌다. 본명을 아는 사람들은 수악을 예명으로 알지만, 실제는 아명이다. 명인 김수악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그의 호 춘당(春堂)을 즐겨 부른다.
김수악의 아버지 김종옥(金鍾玉, 1895~1956)은 여러 머슴을 두고 농사짓는 부농이었다. 선대에 충청북도 영동에서 경상도로 이주하여 함양 안의에 정착하여 살고 있었다. 어머니 유몽길(劉夢吉, 1899~?)은 전남 구례 사람으로 음식 잘하고 집안일 열심히 하는 전형적 여성이었다. 1915년, 김종옥 20살, 유몽길 16살 때 둘이 결혼하여 다섯 딸을 두었다. 김수악은 그들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김수악의 언니 김금향(金錦香, 1921~1979)은 뒤늦게 음악을 하였을 뿐, 다른 형제들은 음악을 하지 않았다. 김취란으로 알려진 언니는 가야금산조의 명인 강태홍, 박상근에게서 가야금을, 거문고산조의 명인 한갑득에게서 거문고를 배워서 가야금과 거문고의 뛰어난 연주자가 되었다. 거문고산조를 아주 잘 탄다고 한갑득의 극찬을 받을 정도였다. 김수악도 언니가 오래 살았으면 무형문화재가 되었을 것이라고 아쉬워하였다.
김수악 자매의 음악 재능은 예술가적 기질이 농후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풍류객으로 가야금, 대금, 해금 등 기악을 즐겼다. 머리에 관을 쓰고 생활하며 전통적 관습을 지키는 할아버지는 아들의 이런 행태를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김수악은 기억한다.
김종옥의 풍류는 동생 김종기(金宗基, 1902~1940)의 예술가적 삶과 맞닿아있다. 김종기는 전북제 가야금산조의 명인 박한용으로부터 가야금을 배웠고, 거문고산조를 최초로 연주한 백낙준으로부터 거문고를 배웠다. 그는 거문고산조, 가야금병창, 판소리, 해금, 북에 두루 능한 만능 예술가였다. 진주권번에서 가야금 사범으로 가르쳤고, 서울 등지에서 여러 단체의 공연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악기 연주와 교육 활동에 활발하던 그는 38세라는 젊은 나이에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이른 죽음에 많은 사람이 애도하였다. 소리판의 초능력자라고 평가되는 판소리 명창 임방울이 절친이었던 김종기의 단명을 안타까워하며 남긴 노래의 음반이 국악음반박물관에 남아있다.
김수악은 다섯 살 때 진주로 이사 왔다. 함양 안의에서 150리 떨어진 진주는 서부 경남에서 가장 큰 도읍이었다. 김수악은 어린 나이에 이사 온 탓으로 출생지 함양 안의에 대한 기억이 별로 없고, 오히려 진주를 평생 고향으로 알고 살았다.
김수악 가족이 진주로 이주하게 된 이유는 불분명하다. 김종옥은 안의에서 부농으로 남부럽지 않게 살았지만, 진주라는 대처로 나가 살고 싶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진주는 695년 통일신라 시대에 9주 가운데 하나인 청주라는 지방행정의 주도였다. 청주는 995년에 진주로 개칭되었고, 그 뒤에도 계속 서부 경남의 지방행정 중심지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7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