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메트로링구얼리즘

메트로링구얼리즘

(도시의 언어)

앨러스테어 페니쿡, 에미 오쓰지 (지은이), 지현숙, 심상민, 홍은실, 강남욱, 이성준, 백승주, 김시정, 이효정, 정선화, 앨리스 주 (옮긴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메트로링구얼리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트로링구얼리즘 (도시의 언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67070432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세계화 그리고 사람과 언어의 이동 증가로 삶의 궤적이 다른 새로운 화자가 유입되어 서로 접촉하면서 도시와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저자 앨러스테어 페니쿡과 에미 오쓰지는 ‘메트로링구얼리즘’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와 언어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한다.

목차

옮긴이의 글
머리말과 감사의 글

1장 새벽시장과 도시언어 멀티태스킹
프로듀스 마켓: “친구, 평화가 함께하기를”│시장의 언어: 그들 나름의 언어 사용하기│아래로부터의 다중언어주의│식당에서의 도시언어적 멀티태스킹│단일언어주의를 넘어서: 단일언어적인 인간은 아무도 없다│연구 노트와 그에 따른 연구 주제

2장 연대감 형성과 해외 농산물 재배
과이로우초이: 해외 농산물 재배│메트로링구얼리즘, 시골, 도시│“사람들은 그야말로 모든 곳에서 다 와요”: 일터에서의 민족성과 언어│민족 산업과 민족언어적 레퍼토리│과정으로서의 민족지학

3장 이동성, 리듬, 그리고 도시
시드니에서 열차 타기│숨 쉬는 도시│메트로링구얼리즘, 공간과 유동성: “셰프, 7번 테이블 예약 안 하셨고 두 명이에요”│연구: 언어와 예측 불가성

4장 ‘주방 담화’와 공간 레퍼토리
피자 전문점: “이것도 다 그리스 문화의 일부거든요”│주방 레퍼토리│공간 레퍼토리: “피자 모 투 미니츠 커밍”│지역과 말투│장소에서의 언어, 유동성 및 실행 연구

5장 공생공락하며 갈등하는 도시
“여긴 언어가 진짜 너무 많아요”: 교외 지역의 다양성│공생공락과 도시│“내가 해결할 거야, 이 레바논 놈들!”: 일상이 된 갈등│갈등하는 도시│오지와 ‘최악의 일반적인 아시아인’│연구와 이야기: 닭 흉내 내기

6장 음식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공동식사와 도시
환타는 고향 게 더 낫다│음식에 대해 얘기하기│가난한 사람들의 마카나이│“마 피 프루트 비 놈(과일이 하나도 없어요)?”│붉은 셀러리와 의미에 대한 협상│재지역화│멀티태스킹 및 참여연구

7장 계층, 공간, 기호, 네트워크
어울리지 않는 텍스트│도시 역사의 계층│항구 도시들│계층화된 언어│네트워크 연구: 오이를 둘러싼 다중언어 현상

8장 메트로링구아 프랑카
언어와 시장│“모든 종류의 언어가 이곳에서 사용되죠!”: 틈새언어에서 메트로링구아 프랑카까지 │도시언어 교육 및 정책│결론: 다 함께 집필하기

부록 1. 전사 규칙
부록 2. 발췌문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앨러스테어 페니쿡 (엮은이)    정보 더보기
시드니 공과대학교(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의 언어, 사회, 교육학의 석좌교수(Distinguished Professor)이며 호주 인문 아카데미 회원이다. 그는 (모두 Routledge에서 출판되어 온) 『도시에서의 언어(Metrolingualism: Language in the City, Emi Otsuji와 공저)』, 『지역적 실행으로서의 언어(Language as a Local Practice)』, 『세계의 영어와 횡단문화적 흐름(Global Englishes and Transcultural Flows)』, 『비판적 응용언어학: 비판적 소개(Critical Applied Linguistics: A Critical Introduction)』 그리고 『국제어로서의 영어의 문화정치학(The Cultural Politics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상을 수상한 책들을 저술해 왔다.
펼치기
에미 오쓰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시드니 공과 대학교 국제학·글로벌 사회학 전공 부교수. 대학에서 일본학을 전공했고, 시드니 맥쿼리 대학교에서 응용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시드니 공과 대학교에서 ‘이민자들의 이중언어와 언어 접촉’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박사학위 논문은 최우수 대학원 연구로 선정되어 2009년 호주언어학회ALS와 호주응용언어학회(ALAA)가 수여하는 마이클 클라인상(Michael Clyne Prize)을 수상했다. 현재 대학생들이 학습법의 하나로 다중언어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탐색하는 ‘대학의 다중언어 레퍼토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과도기 일본의 언어와 정체성: 국제화에서 세계화로(Languages and Identities in a Transitional Japan: From Internationalization to Globalization)』의 공동 편집자이며, 학술지 『다중언어주의와 다중문화주의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ism)』, 『언어 경관(Linguistic Landscape)』 등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지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배재대학교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한국어 구어 문법과 평가-이론편』, 『한국어학습사전』(공저), 『한국언어문화사진집』(공저), 『한국언어문화듣기집』(공저), 『Korean Speaking-Beginner 1』, 『Korean Speaking-Intermediate 1·2·3·4』(공저), 『Korean Speaking-Advanced 1』(공저),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공저), 『메트로링구얼리즘』(공역), 『수도자를 위한 한국어』 등
펼치기
심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주요 연구물로 「다중언어 사회에서 읽기 교육의 방향」(공저), 「이주민 대상 호주 영어교육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유창성의 구성 요인과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제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홍은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주요 연구물로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타당도 연구: 워크숍 기반의 채점자 훈련을 중심으로」(공저), 「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과정 연구」(공저), 『세종한국어 회화 1, 2』(공저), 『말하기 능력을 키우는 발표의 기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백승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요 연구물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정치적 공정성의 문제: 여성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 교재의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연구 시론」, 「한국어교육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 「수업 대화 구조 분석의 절차와 방법: 한국어 수업 대화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시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차의과학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주요 연구물로 「한국어 사고어휘의 평정 및 등급화 방안 탐색」, 『글, 삶, 문법: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공저), 『교사를 위한 융복합 교육론』(공저),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효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주요 연구물로 「학습자 평가에 기반을 둔 한국어 토론 수업의 비계설정(scaffolding)에 대한 연구」, 「한국어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 연구: 감정 어휘 목록 작성과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서강한국어 5A, 5B』(공저), 『국민한국어 3』(공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남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접속문 시간 표현의 교육 내용 조직화 원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문법 습득, 교재사와 교재 평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개론』 등의 책과 『초등 징검다리 교과서』,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 등 여러 교재의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여러 유관 학술 단체의 임원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학교 안의 언어 다양성과 언어 자원을 미래 한국 사회의 긍정적인 힘으로 만들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앨리스 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UNSW 인문언어학과. 주요 연구물로 「Change of urban spaces and bi -/multilingual practices in the Korean communities」(공저), 「KHL learners’ case particle substitution errors—an investigation of - i/ka, -un/nun, - ul/lul, -ey and - eys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nglish - L1 KHL learner orthographic errors」(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성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주요 연구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논증 기반 타당화 연구: 외삽 추론을 중심으로」(공저), 「Factors affecting immigrants’ host country language proficienc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 migrant women in South Korea」(공저), 『한국어 교육학 개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