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67071637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24-09-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한국적 정체성을 가진 입문서 『처음 만나는 국제정치학』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
조선이 스스로 하지 못한 일
조선의 흑역사에서 한국의 새 역사로
현재 진행 중인 한국의 국제정치적 논쟁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을 위하여
고마운 사람들
I ‘국제정치학(學)’을 논하기 전에 ‘국제정치’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1장 ‘우크라이나전쟁’의 국제정치
1. 푸틴은 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나?
2. 서방은 왜 러시아를 제재하는가
3. 서방의 러시아 경제 제재는 얼마나 효과적인가
4.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군사적 지원의 효과
5. 전쟁은 언제, 어떻게 끝날까: 장기전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
6. 전후 국제질서는 어떻게 달라질까
II 국제정치학(學)이란 무엇인가
2장 국제정치의 정의
1. 공권력의 부재
2. 국가주권과 근대국제체제
3. 국제체제와 국제정치의 변화
4. 국가주권의 성격 변화
5. 국제정치의 무정부성의 질적 변화
III 국제정치는 어떻게 분석하는가
3장 국제정치학의 관점들: 다양한 줌렌즈
1. 현실주의의 전제
2. 자유주의의 전제
3. 마르크스주의의 전제
4. 구성주의의 전제
5. 구성주의의 시작과 분화
6. 웬트적 구성주의의 전제
IV 국제정치적 이론들
4장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1. 세력균형론
2. 세력전이론
3.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비판
5장 신고전적 현실주의
1. 구조적 현실주의와 고전적 현실주의의 결혼
2. 구조적 현실주의의 한계
3. 그렇다고 ‘국내정치론’은 아니다
4. 구조적 현실주의와 고전적 현실주의의 위계적 결합
5. 신고전적 현실주의를 둘러싼 논쟁
6장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
1. 민주평화론
2. 외교정책결정과정론: 정부정치모델
3.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비판
7장 영국학파
1. 영국학파 등장의 역사적 배경: 영국국제정치연구위원회
2. 헤들리 불과 『무정부적 사회』
3. 불이 남긴 논쟁의 불씨: 다원주의 대 연대주의
4. 부잔과 영국학파의 재진수
5. 영국학파의 방법론
6. 영국학파에 대한 비판
8장 중국학파
1. 중국학파의 형성
2. 중국학파의 이론적 논지
3. 중국학파에 대한 평가
9장 마르크스주의 국제정치이론
1. 레닌의 제국주의론
2. 제국주의론의 통찰력
3. 마르크스주의 국제정치이론을 둘러싼 논쟁
10장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
1. 웬트의 ‘세계국가 불가피론’
2. 존재론적 안보론
3. 코펜하겐학파: 안보화론
V 다시 국제정치학이란 무엇인가
11장 국제정치이론을 현명하게 소비하기
1. 설명, 그리고 예측과 정책
2. 일반화에 회의적인 이론들: 이해와 통찰력
3. 왜 난해한 이론적 개념을 사용하는가?
4. 국제정치이론을 현명하게 소비하기
에필로그: 국제정치학이 없다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