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박주영 외)

박주영, 김서연, 허태봉, 안헌주, 홍현정 (지은이)
공동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역사회복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역사회복지론 (박주영 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7259783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9-10

책 소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실천 구조와 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실제 현장의 맥락을 반영한 사례와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목차

PART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Chapter 01 지역사회의 이해 13


1. 지역사회의 개념 14

2. 지역사회의 기능과 제도 16

3. 지역사회 기능의 비교 척도 20

4. 지역사회 유형 24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33

1.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34

2.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39

3. 지역사회복지의 특성 43

4.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 46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7

1.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8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66

3.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74

PART 2 지역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 모델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이론 87


1. 기능주의이론과 갈등이론 88

2.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 91

3. 자원동원이론과 교환이론 94

4.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98

5. 사회구성론과 권력의존이론 102

6. 거버넌스이론과 사회자본이론 106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113

1. 실천 모델 개요 114

2. 로스만(Jack Rothman)의 세 가지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115

3. 웨일(Weil)과 갬블(Gamble)의 실천 스펙트럼 모델 117

4.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의 실천 분석 모델 124

5. 테일p(Taylor)와 로버츠(Roberts)의 실천과정 중심 모델 130

6. 포플(Mark Popple)의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134

PART 3 지역사회복지 실천과 기술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 실천 과정 143


1.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 144

2. 지역사회 문제 발견과 사정 146

3.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목표 수립과 실행 전략 151

4. 지역사회복지 실천 실행 155

5.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종결 및 평가 159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술 163

1. 주민 조직화 기술 164

2. 네트워크 기술 168

3. 옹호 기술 172

4. 역M강화 기술 176

5. 통합사례관리 기술 178

Chapter 08 지역사회 자원개발과 자원동원 185

1. 자원개발의 개념과 자원의 종류 186

2. 자원개발 및 동원의 전9과 마케팅 188

3. 자원동원의 원리와 원칙 191

4. 자원개발의 과정과 동원과의 관계 194

5. 자원동원의 실제 197

PART 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체계와 사회운동

Chapter 09 공공 지역사회복지 실천 추진체계 205


1. 공공복지 실천의 개념과 특징 206

2. 공공복지 실천의 전문인력 208

3. 공공복지 실천의 전달체계 211

4.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 213

5.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217

Chapter 10 민·관 지역사회복지 실천 추진체계 227

1. 지역사회복지의 제도적 변화 228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9

3. 지역사회보장계획 243

Chapter 11 민간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 Ⅰ 257

1. 사회복지협의회 258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66

3. 자원봉사센터 272

Chapter 12 민간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 Ⅱ 279

1. 사회복지관 280

2. 재가복지 서비스 288

3. 자활센터 292

4.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시설 307

5. 지역아동센터 312

6. 가족센터 318

Chapter 1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이해 325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요 326

2.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흐름 327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형태 331

4. 지역사회교육운동 339

5. NGO 단체의 역할 343


■ 참고문헌 350

저자소개

허태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교육상담학 박사 수료 현 영산대학교 사회복지정보학과 외래교수
펼치기
안헌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육심리학 박사 수료 현 영산대학교 사회복지정보학과 외래교수
펼치기
홍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수료 현 영산대학교 사회복지정보학과 외래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