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742012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6-18
책 소개
목차
제1부 개작의 세계
제1장 <오선기봉>, 한문소설 <五老峰記>의 개작
1. 머리말
2.<오선기봉>과 <오로봉기>의 관계
3.<오선기봉>으로의 개작 양상
4.<오선기봉> 형성의 소설사적 의의
5. 맺음말
제2장 <보심록> 개작본의 형성과정과 계보
1. 머리말
2. 기존 연구 검토
3.<금낭이산>, <보심록>, <명사십리>의 관계
4.<보심록> 개작본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5. 맺음말
제3장 <신랑의 보쌈>, <정수경전>의 개작
1. 머리말
2.<신랑의 보쌈>의 개요와 <정수경전>과의 대비
3.<신랑의 보쌈>으로의 개작 양상
4.<신랑의 보쌈> 형성의 소설사적 의의
5. 맺음말
제4장 <수매청심록>의 성격과 활자본으로의 개작 양상
1. 머리말
2.<수매청심록>의 작품 성격
3. 활자본 <수매청심록>의 형성과 변화
4. 활자본 <권용선전>으로의 개작과 의미
5. 맺음말
제5장 <태아선적강록>의 작품세계와 구활자본 <류황후>
1. 머리말
2.<태아선적강록>의 이본
3.<태아선적강록>과 <류황후>의 비교
4. 맺음말
제6장 <江南花>의 작품세계와 <창선감의록>과의 상관성
1. 머리말
2.<강남화>의 경개
3.<창선감의록>과의 상관성
4.<강남화>의 특징과 생성방식
5. 맺음말
제2부 신작의 세계
제1장 <이두충렬록>의 서사 구성과 성격
1. 머리말
2.<이두충렬록>의 서사
3. 전대 고소설의 지속과 변모
4. 당대 신소설의 반영
5. 맺음말
제2장 <연화몽>의 서사 구성과 성격
1. 머리말
2.<연화몽>의 경개와 특징
3. 역사적 사실과의 비교
4.<연화몽>의 소설사적 의의
5. 맺음말
제3장 <이린전>의 서사 구성과 성격
1. 머리말
2.<이린전>의 순차적 경개
3.<이린전>의 구조와 특징
4. 맺음말
제4장 이항복 이야기책, 구활자본 네 편
1. 머리말
2. 구활자본 네 편의 이항복 이야기
3. 맺음말
‣ 부록
활자본 고소설과 신소설 중, 이전의 작품에서 형성된 [작품과 그 대본] 목록
활자본 소설 중, 중국 작품을 대본으로 한 [작품과 그 대본] 목록
활자본 소설 중, 구미(歐美)나 일본 소설을 번역·번안한 [작품과 그 대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