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낙동강과 문화어문학

낙동강과 문화어문학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플러스 영남지역 문화어문학 연구 인력 양성 사업단 (엮은이)
역락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900원 -5% 0원
2,100원
3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2,000원 -10% 2100원 35,700원 >

책 이미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낙동강과 문화어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67422811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낙동강에 대한 문화어문학적 탐색이다. 강 가운데 낙동강을 주목한 것은, 지역 어문학의 일환으로 이 작업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낙동강 문화에 대한 이해는 영남의 문화를 이해하는 첩경이다.

목차

제1부 낙동강 문화를 읽는 시각
01 강안학에 기반한 상주 지역의 문화적 특징|정우락
1. 탈근대 담론과 강의 문화 ∙ 17
2. 낙동강 700리설과 강안학(江岸學) ∙ 23
3. 강안학적 시각에서 본 상주 ∙ 29
4. 상주 지역의 문화적 특징 ∙ 41
5. 맺음말:21세기와 강의 상상력 ∙ 63
02 영남루와 아랑: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정출헌
1. 머리말 ∙ 67
2. 아랑 서사의 탄생:겁탈, 그리고 연민(憐憫)과 공분(公憤) ∙ 72
3. 아랑 서사의 변주:해원(解寃)과 심판(審判)의 어름 ∙ 78
4. 맺음말 ∙ 90
03 낙동강에 대한 공간감성과 그 의미|최은주-관수루(觀水樓) 제영시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93
2. 관수루(觀水樓) 제영시에 나타난 낙동강의 공간감성 ∙ 97
3. 관수루(觀水樓) 제영시에 나타난 공간감성의 의미 ∙ 110
4. 맺음말 ∙ 116
04 현대시를 통한 낙동강 수계 지역의 지리적 이미지 연구|김수정․조철기
1. 머리말 ∙ 119
2. 연구 대상과 방법 ∙ 121
3. 낙동강 제재 시의 시기별 변천 양상 ∙ 125
4. 낙동강 제재 시의 지리적 이미지 ∙ 137
5. 맺음말 ∙ 155
05 경북 하위 방언구획의 언어・문화 지리적 분석 연구|김덕호
1. 머리말 ∙ 157
2. 방언구획론과 분석 방안 ∙ 159
3. 경북 방언의 하위 방언구획 ∙ 165
4. 경북 방언구획의 문화 지리적 분석 ∙ 198
5. 맺음말 ∙ 202
제2부 낙동강의 선유 및 구곡문화
06 퇴계 뱃놀이를 통해 본 ‘락(樂)’과 ‘흥(興)’|김원준
1. 머리말 ∙ 207
2. 유(儒)・도(道)의 물[水]과 락(樂)・흥(興) 인식 ∙ 209
3. 선유(船遊)를 통한 ‘락(樂)’의 발현 ∙ 219
4. 선유(船遊)를 통한 ‘흥(興)’의 발현 ∙ 226
5. 맺음말 ∙ 233
07 용화동범(龍華同泛) 관련 작품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손대현
1. 머리말 ∙ 235
2. 용화동범과 <용화산하동범록(龍華山下同泛錄)>의 관련성 ∙ 237
3. <용화산하동범지도(龍華山下同泛之圖)>의 존재 양상과 그 특징 ∙ 245
4. 용화동범의 성격과 관련 작품의 의미 ∙ 255
5. 맺음말 ∙ 261
08 진성 이씨 여성들의 낙동강 선유에 담긴 의식과 지향|김동연-<운수상사곡>과 <운수답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265
2. 여성 선유의 문화적 배경 ∙ 268
3. 인식차에 따른 문화향유 양상 ∙ 279
4. 맺음말 ∙ 289
09 영남지역 구곡원림의 시적 형상화 양상과 구곡문화의 특징|조유영
1. 머리말 ∙ 291
2. 영남지역 구곡원림의 유형 ∙ 295
3. 구곡원림의 유형에 따른 시적 형상화 양상 ∙ 300
4. 영남지역 구곡문화의 특징 ∙ 314
5. 맺음말 ∙ 320
10 대구지역 구곡의 한 양상|백운용-입도차제(入道次第)의 측면에서 본 운림구곡(雲林九曲)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323
2. 대구지역 구곡의 현황과 특징 ∙ 325
3. 입도차제(入道次第)의 측면에서 본 운림구곡(雲林九曲)의 의미 ∙ 335
4. 맺음말 ∙ 349
11 하회의 공간구성과 그 의미|신소윤-<하외십육경(河隈十六景)>과 <하회구곡(河回九曲)>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351
2. <하외십육경>과 <하회구곡>의 공간 구성 ∙ 355
3. <하외십육경>과 <하회구곡>에 나타난 하회의 모습 ∙ 359
4. <하외십육경>과 <하회구곡>이 지닌 의미-가문의식의 구현과 확장 ∙ 369
5. 맺음말 ∙ 374

제3부 낙동강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12 망우당 곽재우의 한시를 통해 본 한수작(閒酬酢)의 정취(情趣)와 그 의미|김종구
1. 머리말 ∙ 379
2. 낭만적 서정 및 자연 합일 ∙ 385
3. 자유로운 일상과 고요를 통한 깨달음 ∙ 391
4. 초세(超世)와 선유(仙遊)의 즐거움 ∙ 397
5. 맺음말 ∙ 405
13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김소연
1. 머리말 ∙ 409
2. 낙동강과 조임도의 연관성 ∙ 413
3. 조임도의 문학에 형상화된 낙동강 연안 공간 ∙ 419
4. 조임도에 대한 후대의 기억 전승 ∙ 441
5. 맺음말 ∙ 455
14 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낙동강 유역의 지리적 공간|조가유
1. 머리말 ∙ 457
2. 생존을 위한 출정-이곡리에서 비봉산까지 ∙ 464
3. 발전을 위한 암투-점촌동에서 마전리까지 ∙ 472
4. 정의를 위한 희생-소화리에서 하회리까지 ∙ 476
5. 화합을 위한 교섭-대산면에서 부산시까지 ∙ 481
6. 맺음말 ∙ 486

참고문헌∙489
찾아보기∙506

저자소개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플러스 영남지역 문화어문학 연구 인력 양성 사업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플러스 영남지역 문화어문학 연구 인력 양성 사업단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96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