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장부의 꿈

대장부의 꿈

(임란 때 충(忠)과 효(孝)를 다한 최대성 모의장군 이야기)

정찬주 (지은이)
여백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장부의 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장부의 꿈 (임란 때 충(忠)과 효(孝)를 다한 최대성 모의장군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91190946421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5-11-10

책 소개

임진왜란 명장 시리즈 6번째 장편소설이다.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 스승에 대한 순수한 존경심, 병사한 아내를 향한 절절한 슬픔, 전투에서 겪는 인간적인 고뇌와 전우애, 그리고 반상의 경계를 뛰어넘어 집안의 가노와 형제처럼 지내는 인간미 등을 그려내고 있다.
이순신 휘하 대솔군관으로 참전,
고향 보성에서 의병장으로 순절한 장수


《대장부의 꿈》은 임진왜란 명장 시리즈 6번째 장편소설이다. 최대성은 무과 급제를 하고 한양의 훈련원 참군을 지냈으나 왜구들의 노략질이 빈발하자 고향 보성을 지키고자 귀향하는 결단을 내린다.
임진왜란의 전운이 돌자 최대성은 이순신 장군 휘하로 들어가 전라좌수군의 한후장과 최측근 대솔군관으로 전공을 세운다. 조선 수군이 첫 승리를 거둔 옥포해전을 필두로 다섯 차례의 해전에 출전해 이순신의 승리에 기여한 최대성은 다시 고향에 돌아와 의병장으로 항전하다가 순절한 보성 의병사에 빛나는 장수다.

효(孝)와 충(忠)을 다한 의병장 최대성
모의장군 최대성의 행적을 되살리는 일은 효(孝)에서 충(忠)을 일으켜 나라를 구하고 고향을 지킨 한국인의 정체성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그리하여 그의 일대기를 영웅주의적 관점이 아니라 가능한 한 ‘인간 최대성’으로 그려내려 했다고 작가는 말한다.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 스승에 대한 순수한 존경심, 병사한 아내를 향한 절절한 슬픔, 전투에서 겪는 인간적인 고뇌와 전우애, 그리고 반상의 경계를 뛰어넘어 집안의 가노와 형제처럼 지내는 인간미 등을 그려내고 있다.

이순신 휘하에서 옥포해전을 필두로 다섯 차례 전투서 승리
최대성(崔大晟)은 보성 사곡마을의 경주 최씨 최한손(崔漢孫)과 광주(廣州) 이씨 슬하의 외아들이다. 죽천 박광전 문하에서 수학한 뒤 보성으로 귀향한 선거이가 손응호 등과 신의계(信義契)를 만들자 이에 참여했다. 서른두 살에 전주감영에서 치른 무과 초시에 합격, 이듬해 한양 훈련원 복시에 나가 활쏘기와 검술에서 우수한 성적을 올려 무과에 급제했다. 훈련원의 정7품 참군으로 있던 최대성은 선조 18년 2월 왜구들의 침탈이 극심하자 고향을 지키고자 입신양명의 길을 뒤로한 채 귀향을 결심한다.
이순신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하자 열선루 회동에 참여하고, 뒤이어 선조 25년(1592) 3월 초 전라좌수영에 들어가 전쟁이 발발하자 첫 전투인 옥포해전에 참전하는 등 다섯 차례의 해전에 나가 승리를 거둔다.

이순신의 명을 받아 귀향해 보성향보의병군 궐기
최대성은 고향 일대에 출몰하는 흉적을 물리치고 종사를 보전하겠다는 뜻으로 임금에게 사직을 청한다. 하지만 선조는 정3품 훈련원정에 제수하며 그 공을 치하한다.
그러나 선조 30년(1597) 2월, 이순신이 참소당해 한양으로 압송되자 최대성은 고향으로 돌아와 보성향보의병군을 조직하고 왜적에 대항한다. 이순신이 28일 만에 의금부에서 풀려나 백의종군하게 되자 최대성은 이순신의 명을 받아 전라좌수군의 배후인 고향을 지키는 임무를 받는다.
1597년 보성향보의병군을 일으킨 최대성은 순천만 거차포전투와 안치전투 등 20여 회의 크고 작은 전투에서 왜적들을 물리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안치전투에서 적탄에 장렬하게 순절한다. 그의 나이 46세였다.

보성향보 의병장으로 순절한 뒤 154년 만에 통정대부 추증 받다
7년 전쟁이 끝난 뒤 최대성의 장남 언립과 삼남 후립은 선무원종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정작 최대성은 아무런 예우를 받지 못했다. 최대성의 전공 회복운동은 안방준 이후 최대성의 5대손 최정기가 영조 27년(1751) 예조에 올린 소지(所志, 진정서)에 이르기까지 1백여 년 동안 계속되었다. 결국 영조는 최대성의 향리에 충신 정려(旌閭)를 세우라는 명과 함께 증(贈) 통정대부 형조참의 증직교지를 내렸다. 통정대부란 정3품 상계(上階)로서 당상관의 품계였다. 안치전투에서 순절한 지 154년 만에 내린 왕명이었다.
이후 영조 44년(1768) 유림의 발의로 정유재란시 안골포, 가덕도해전에서 전사한 보성군수 안흥국의 정충사에 배향되었다가, 현재는 모의장군의 전적지 죽전들판과 안치들이 가까운 충절사에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바, 오가는 사람들의 마음에 대장부 최대성 장군의 혼이 불현듯 충절과 효심을 불러일으켜 주고 있다.

목차

작가의 말_ 효(효)에서 충(충)을 꽃피운 모의장군 최대성

초암산 정기 / 돌잔치 / 을묘왜변 / 서당공부 / 대장부의 산 / 우계정 입실
충효당 / 아내 진원 박씨의 죽음 / 활쏘기대회 / 무과급제 / 훈련원 사직
열선루 회동 / 전라좌수영 지원 / 유비무환 1 / 유비무환 2 / 본영 거북선
거북선 화포 시범사격 / 왜군 침략 / 이순신의 장계 / 전선(戰船) 점고
출전 제문 / 경상도 출전 / 폭풍전야 / 옥포해전 / 부모 생각 / 2차 출전
특별휴가 / 사곡마을 가는 길 / 부모 봉양 / 3차 출전 / 연전연승 / 효(孝)와 충(忠)
5차 출전 / 싸움을 피하는 왜적 / 모의장군 / 어명이오!
보성, 흥양의병군 합동전투 / 거차포전투 / 안치혈투

에필로그

저자소개

정찬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기만의 꽃을 피워낸 역사적 인물과 수행자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온 작가 정찬주는 1983년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작가가 된 이래, 자신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변함없이 천착하고 있다. 호는 벽록檗綠. 1953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고, 국어교사로 잠시 교단에 섰다가 십수 년간 샘터사 편집자로 법정스님 책들을 만들면서 스님의 각별한 재가제자가 되었다. 법정스님에게서 ‘세속에 있되 물들지 말라’는 무염無染이란 법명을 받았다. 전남 화순 계당산 산자락에 산방 이불재耳佛齋를 지어 2002년부터 텃밭을 일구며 집필에만 전념 중이다. 대표작으로 대하소설 인간 이순신을 그린 《이순신의 7년》(전7권) 법정스님 일대기 장편소설《소설 무소유》 성철스님 일대기 장편소설 《산은 산 물은 물》(전2권), 4백여 곳의 암자를 직접 답사하며 쓴 산문집 《암자로 가는 길》(전3권)을 발간했다. 장편소설로 《광주아리랑》(전2권) 《다산의 사랑》 《천강에 비친 달》 《칼과 술》 《못다 부른 명량의 노래》 《천년 후 돌아가리-茶佛》 《가야산 정진불》(전2권) 《나는 조선의 선비다》(전3권)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행복한 무소유》 《법정스님 인생응원가》 《법정스님의 뒷모습》 《불국기행》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자기를 속이지 말라》 《선방 가는 길》 《정찬주의 茶人기행》 등이 있다. 동화 《마음을 담는 그릇》 《바보 동자》를 발간했다. 행원문학상, 동국문학상, 화쟁문화대상, 류주현문학상 수상.
펼치기

책속에서

“1차전에서 판옥선만으로도 승리했은께 2차전에서는 대장 나으리 말씸대로 애껴둔 거북선으로 적덜 사기를 완전히 꺾어부러야겄지라. 하하하.”
1차 출전의 승전으로 자신감을 얻은 장수들이 정운의 큰소리에 모두 따라서 크게 웃었다. 화기애애한 장수 회의였다. 웃지 않은 장수는 옥포해전 중 거제도 산으로 도망치는 왜적을 추격하다가 조총의 탄환에 부상당한 최대성뿐이었다. 이순신이 눈치를 채고 장수 회의가 끝난 뒤 최대성만 동헌방에 남게 했다.
“한후장은 근심거리가 있는겨?”
“대장 나으리, 지가 고로코름 보이신게라우?”
“우덜이 웃고 있는디 한후장만 입을 다물고만 있드라니께. 거제에서 적을 쫓다가 부상당해서 그려? 적을 가볍게 여기구 용맹이 넘치는 것두 위태로울 수 있는겨. 내가 볼 때는 한후장은 참모가 맞아. 다음 출전 때는 참모를 맡길겨.”
“사실은 노환 중인 부모님을 걱정허고 있습니다요.”
“고충이 있으믄 털어놔야 허는겨. 나두 아산에 겨시는 어머님 소식이 궁금혀. 낼이라두 나장을 보낼겨.”
“지는 전시라 움직일 수 읎, 성 밖 양민에게 부탁해보겠습니다요.”
“그려. 얼릉 찾아봐.”
동헌을 나온 최대성은 도롱이를 걸치고 서문 밖으로 나갔다. 이순신도 자신과 마찬가지로 부모를 생각하고 있다니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부모 생각>


조선수군이 퍼붓는 한나절 이상의 화포 공격이었다. 왜선들은 한꺼번에 불타면서 불바다 속으로 가라앉았다. 조선수군들은 왜선을 버리고 바다로 뛰어드는 왜수군을 보는 족족 활과 갈고리로 사살했다. 한산도 바다는 왜수군들의 핏물로 번졌다.
“쩌어기 적선 밑에 숨어 있다. 죽여라!”
“층각에 왜놈 수괴가 있다!”
특히 중위장 순천부사 권준은 제 몸을 잊고 돌진하여 왜의 층각대선 1척을 쳐부수어 왜장을 비롯하여 왜수군 열 명의 머리를 베고 우리나라 남자 1명을 산 채로 구했다. 중부장 광양현감 어영담도 돌진하여 왜의 층각대선 1척을 쳐부수고 부상당한 왜장을 대장선으로 데리고 갔는데 말이 통하지 않고 화살을 맞은 것이 중상이므로 즉시 목을 베었으며 12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고 우리나라 남자 1명을 구했다.
뿐만 아니라 우부장 사도첨사 김완은 왜대선 1척을 쳐부수어 4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또 두 척을 쫓아가서 깨뜨리고 불태웠다. 전부장 방답첨사 이순신 역시 왜대선 1척을 쳐부수어 4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다. 또, 좌귀선 돌격장 이기남은 왜대선 1척을 쳐부수어 7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좌별도장 윤사공과 가안책은 층각선 2척을 바다 가운데서 사로잡아 6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다.
좌부장 낙안군수 신호는 왜대선 1척을 사로잡아 7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좌척후장 녹도만호 정운은 층각대선 2척을 화포로 당파하여 3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고 우리나라 사람 2명을 산 채로 구출했다.
우척후장 여도권관 김인영은 왜대선 1척을 쳐부수어 3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유군장 발포만호 황정록은 층각선 1척을 쳐부수어 2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다.
우별도장 송응민은 2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흥양통장 최천보는 3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참퇴장 이응화는 1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다. 우귀선 돌격장 박이량도 1명의 왜수군 머리를 베었고, 장수 손윤문은 왜소선 2척에 화포를 쏘고 산 위까지 왜수군을 추격했으며, 장수 최도전은 우리나라 소년 3명을 구했다.
나머지 왜대선 20척, 중선 17척, 소선 5척은 좌우도의 여러 장수들이 합심하여 불살라 수장시켰는데, 화살을 맞고 물에 빠져 죽은 왜수군의 숫자는 헤아릴 수 없었다. 그리고 왜선을 버리고 도망친 왜수군은 4백여 명이나 되었다.
이로써 한산해전은 조선수군 연합군의 완벽한 승리였다. 다만 이전의 전술과 달리 한산도 바다 가운데로 유인하여 접전한 전투였으므로 조선수군의 사상자도 다수 발생했다. 사상자 없는 이전의 싸움과는 확실히 달랐다.
<연전연승>


최대성은 본영에서 아버지 최한손의 부음을 듣자마자 이순신에게 보고했다. 그런 뒤 군마를 타고 사곡마을에 달려왔을 때는 벌써 집안 머슴들이 선산에서 산역(山役)을 하고 있었다. 유택 자리는 최한손이 생전에 풍수를 불러 정해둔 자리였고, 최대성도 두리동 형제와 함께 가본 곳이었다.
나라가 사변 중이므로 장례는 삼일장이었다. 내일이면 상여가 집에서 나가는 날이었다. 최대성 집은 본채, 안채, 별채, 충효당 등등 할 것 없이 친인척 조문객들로 북적거렸다.
가을 하늘은 보성만처럼 푸르렀고, 오후의 햇살은 대숲 깊숙이 스며들었다. 최대성은 사랑방으로 들어가 갑옷을 벗고 갑술이 가지고 온 상복으로 갈아입었다. 조문객들이 부담스러워할까 봐 빨리 갑옷을 벗었다. 노환을 오랫동안 앓다가 숨을 거둔 때문인지 두리동 형제는 생각보다 담담했다.
“동상, 너무 상심마소. 날씨가 도와준 덕분에 산역이 순탄허네.”
“아버님께서는 사계 중에 가실을 젤로 좋아허셨는디 하늘이 도운 거 같그만.”
인명재천인 데다 이미 예고된 별세였으므로 최대성도 두리동 형제 못지않게 평정심을 잃지 않았다. 다만 임종을 보지 못한 것이 한스러울 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뼛속 깊이 비통해지는 회한은 없었다.
“아버님은 본채에 겨시제?”
“본채 큰방에 겨시그만.”
최대성은 본채 큰방으로 갔다. 10폭 병풍 뒤에 최한손은 깊은 잠에 빠진 듯 반듯하게 누워 있었다. 두리동이 와서 병풍을 한쪽으로 밀쳤다. 최대성은 엎드려 큰절을 두 번 했다. 그런 뒤 아버지 최한손에게 가까이 가서 무릎을 꿇었다. 최대성이 아버지 최한손의 손을 잡았다. 손은 가벼웠고 얼음처럼 차가웠다. 전해오는 차가운 기운이 최대성의 감정을 북받치게 했다. 최대성은 목구멍을 넘어오는 감정을 꾹 눌렀다.
잠시 후 최대성이 혼잣말을 했다.
‘아버님, 대성이가 왔어라우.’
‘가실 때 뵙지 못해서 죄송해라우.’
최대성은 최한손의 얼굴을 쳐다보면서 말했다.
<효(孝)와 충(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