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7422859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1 _ 한국어 신어의 범위와 유형
1.1. 들어가기 15
1.2. 한국어 신어의 개념과 범위 17
1.3. 한국어 신어의 유형 31
1.4. 나가기 51
2 _ 한국어 신어의 품사적 특성
2.1. 들어가기 59
2.2. 한국어 신어의 품사 판정 기준과 품사 유형 분포 62
2.3. 한국어 신어의 품사 유형별 특성 67
2.4. 나가기 86
3 _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파생어와 합성어
3.1. 들어가기 93
3.2. 신어 보고서에서의 단어 구조 개관 94
3.3.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파생어 102
3.4.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합성어 121
3.5. 나가기 132
4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두음절어, 혼성어
4.1. 들어가기 139
4.2.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용어와 범주 정립 141
4.3.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단어 구조상의 위치 149
4.4.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생성 방식 152
4.5.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내부 요소의 범주 166
4.6.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정착 가능성 172
4.7. 나가기 181
5 _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통사적 결합어
5.1. 들어가기 187
5.2.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개념 188
5.3.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유형 191
5.4.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특징 201
5.5. 나가기 205
6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유추
6.1. 들어가기 209
6.2. 신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 211
6.3. 유추에 의한 신어 형성의 분류 220
6.4. 나가기 245
7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의미 관계
7.1. 들어가기 249
7.2. 신어 형성 측면에서 본 의미 관계 253
7.3. 신어와 신어 사이의 의미 관계 255
7.4. 신어 내부의 의미 관계 268
7.5. 의미장 내에서의 의미 관계 277
7.6. 나가기 284
8 _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8.1. 들어가기 291
8.2.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동기 292
8.3.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방식 299
8.4.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기제:유추를 중심으로 316
8.5. 나가기 321
신어 찾아보기 / 327
주제어 찾아보기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