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67960214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2-01-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미디어란 무엇일까?
2 손바닥 안에 담긴 세상, 휴대폰
- 쉬어가는 글 포노 사피엔스와 스몸비
3 관계와 공유의 혁명, SNS
- 쉬어가는 글 JOMO족, SNS를 멀리하다
4 1인 미디어 시대, 유튜브
- 쉬어가는 글 유튜브 크리에이터는 얼마나 벌까?
5 “어제 그거 봤어?”가 사라졌다, TV
6 놀이하는 인간, 게임
- 쉬어가는 글 모두가 좋아하는 게임, 대체현실 게임
7 그림 없는 문학은 노잼, 웹툰
8 미래의 미디어는 어떤 모습일까?
용어 설명
함께 보면 좋은 자료
참고 문헌
그림 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과의 관계 면에서도 스마트폰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은 개인의 자아 형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앤디 클라크와 데이비드 차머스는 1998년 ‘연장된 마음(extended mind)’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기계가 인간 본질의 일부분이 되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 2장 <손바닥 안에 담긴 세상, 휴대폰> 중에서
이처럼 유튜브를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에서 비슷한 주제와 의견만 계속 접하는 현상을 ‘메아리방 효과(Echo chamber effect)’라고 한다. 내가 한 말이 메아리로 돌아와 계속 같은 이야기만 듣게 되는 방에 갇힌 것처럼 비슷한 메시지만 반복적으로 듣게 된다는 것이다.
- 4장 <1인 미디어 시대, 유튜브> 중에서
예컨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상대 팀 챔피언의 스킬만 알아서는 게임에서 승리할 수 없다.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고 종합적 사고를 해야 한다. 상대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챔피언의 움직임을 해석하고, 이후 상황을 예상해야 한다. 온라인 게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창의성과 상호작용은 현실 사회만큼 정교하게 일어난다.
- 6장 <놀이하는 인간, 게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