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67972057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4-11-27
목차
| 정지용 논문집을 엮으며 | 4
Ⅰ. 정지용의 생애와 고향
1장 정지용 생애 재구(再構)
1. 서론 15
2. 생애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들 17
3. 정지용 연보의 오기(誤記) 및 혼용(混用)과 망기(望記) 22
4. 산문에 나타난 방언의 부림 34
5. 결론 41
2장 鄭芝溶의 近代 受容에 대한 小考
1. 서론 47
2. 근대문물의 수용과 현대시 49
1) 고향과 근대 49
2) 시적 형성으로의 근대 56
3) 문학과 교류 71
3. 결론 82
3장 정지용의 고향 지명이 불러오는 정서적 환기 연구
1. 서론 87
2. 고향의 지명과 정서 89
1) “올목”의 공간과 “오리” 89
2) “교토”의 공간과 “鴨川” 99
3. 결론 105
Ⅱ. 정지용 작품 각론
1장 정지용 「鄕愁」의 再考
1. 서론 109
2. 「鄕愁」 표기와 질서 111
1) 1950년 이전 112
2) 해금 이후 119
3) 시적 질서 123
3. 정본과 초판본의 문제 136
1) 정본(正本) 137
2) 정본(定本) 139
3) 초판본 141
4. 결론 144
2장 정지용 「鄕愁」의 설화적 고찰
1. 서론 151
2. ‘말무덤’전설과 「향수」153
1) 유소년기 공간 153
2) 「향수」의 기원 157
3) 고향, 전설의 편린 162
3. 결론 168
3장 정지용 「湖水」 小考
1. 서론 173
2. 「호수」의 분석 176
1) 의미적 자질 178
2) 음성적 자질 185
3) 번역의 문제 189
3. 결론 194
4장 鄭芝溶의 「슬픈 印像畵」 에 대한 小考
1. 서론 199
2. 改作과 기호 200
1) 改作 樣相202
2) 언어외적 기호와 언어적 기호 217
3) 창작 환경의 대립과 정서 226
3. 결론 232
5장 정지용 「三人」의 지리적 공간 연구
1. 서론 235
2. 조우(遭遇)와 기앙(期仰)의 공간 237
1) 필연적 운명의 공간 238
2) 성장 견인의 지향적 공간 246
3. 결론 252
Ⅲ. 정지용 작품의 변주
1장 정지용과 윤동주 산문의 지향성 소고(小考)
1. 서론 257
2. 연기(緣起)와 지향 258
1) 견집(堅執)과 고향 259
2) 만남과 정도(正道) 269
3. 결론 275
2장 鄭芝溶 童詩와 改作에 대한 小考
1. 서론 279
2. 운율과 시각화로의 정·변형 280
1) 정형의 구속된 감정 281
2) 변형의 언어 부림 287
3. 이중 언어로의 시적 넘나듦 293
4. 결론 301
3장 정지용 시의 변이와 색채언어에 대한 소고
1. 서론 305
2. 표기와 색채 306
1) 「하눌혼자보고」에서 「병」으로의 변이 306
2) 내면정서와 색채 317
3. 결론 323
4장 鄭芝溶 韻文과 散文의 相關性 硏究
1. 서론 327
2. 「별똥」의 時空素329
1) 회상의 시 ‧ 공간 330
2) 유기적 존립과 소망 337
3. 결론 344
5장 정지용 문학의 ‘물’에 대한 통시적 연구
1. 서론 349
2. ‘물’의 상징 352
1) ‘물’의 이분화 353
2) ‘물’의 다양화 358
3) ‘물’의 유기화(有機化) 369
4) ‘물’의 공간화(空間化) 377
5) ‘물’의 복선화(伏線化) 385
6) ‘물’의 심상과 변용화 390
3. 결론 393
참고문헌 3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