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고서정리 오류해제

한국 고서정리 오류해제

정인갑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한국 고서정리 오류해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고서정리 오류해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68014343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저자가 30여 년간 정리 및 번역한 한국의 고서에서 본 느낌을 한데 엮은 책이다. 주로 가장 수준도 높고, 편폭도 큰 <역주 삼국사기>와 <역주 목민심서> 및 북역 <삼국유사>의 오류를 예로 들어 수록하였다.

목차

서 문

제一장 《역주 삼국사기》 오역 예해

제二장 《역주 목민심서》 오역 예해

제1장과 제2장의 총결

제三장 ‘嘗(曾)’의 오역
一 《역주 삼국사기》 ‘嘗’의 오역(Ⅰ)
二 《역주 삼국사기》 ‘曾’의 오역(Ⅱ)
三 《역주 목민심서》 ‘嘗’의 오역(Ⅲ)
四 《역주 목민심서》 ‘曾’의 오역(Ⅳ)
五 총 결
1 ‘일찍이’가 ‘嘗(曾)’의 공분모로 될 수 없다
2 의문문 ‘嘗(曾)’은 ‘일찍이’로 번역하기 불편하다
3 부정문 ‘未嘗’은 ‘일찍이’로 번역하지 않았다(Ⅴ)
4 ‘嘗’에 ‘일찍이’라는 뜻이 없다는 유력한 증거
5 ‘嘗’에 대한 사전의 해석은 ‘일찍이’가 아니다
6 ‘일찍이’는 ‘嘗’이 아닌 다른 단어로 표현하였다

제四장 ‘相, 有, 一’의 오역
一 ‘相’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相’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相’의 오역
二 ‘有’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有’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有’의 오역
3 북역 《삼국유사》 ‘有’의 오역
三 ‘一’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一’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一’의 오역
3 ‘一’과 ‘一番’

제五장 ‘퇴색어’의 오역
一 퇴색어 ‘將’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將’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將’의 오역
3 총 결
二 퇴색어 ‘旣’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旣’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旣’의 오역
3 총 결
三 퇴색어 ‘勢’의 오역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勢’의 오역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勢’의 오역
3 북역 《삼국유사》 퇴색어 ‘勢’의 오역

제六장 표점부호의 오류
一 의미상 오해의 소지가 있는 오류
1 《역주 삼국사기》의 오류
2 《역주 목민심서》의 오류
二 의미상 오해의 소지가 없는 오류
1 《역주 삼국사기》의 오류
2 《역주 목민심서》의 오류
3 《虛白堂集》의 오류
4 《承政院日記》의 오류
5 총 결

제七장 반점 [,]에 관하여
一 단문 사이는 반점을 찍어야 한다
二 단문 안에도 반점을 찍을 수 있다
1 《虚白堂集》
2 《承政院日记》
三 단문 안의 반점을 적당히 찍자
1 술어로 충당되지 않은 용언
2 음절 수가 너무 적은 용언
3 ‘者’ 자 구조者字結構
4 ‘之’ 자 구조之字結構
5 개빈구조介賓構造
6 겸어구조兼語結構
7 연동구조連動構造
8 포잉구조包孕構造
제八장 한문을 잘 배우려면 먼저 중국어를 배워라
一 한자음은 중국 음에 비해 의미식별의 기능이 약하다
二 언어의 물질적 존재는 어음이지 문자가 아니다
三 결국은 먼저 중국어를 배워라
부록 1: 중국어의 음절 수
부록 2: 한자어의 음절 수

저자소개

정인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출생: 1947년 8월, 중국 요녕성 무순시. =학력: 북경대학 중문학과 고전문헌 전공 졸. =직장: 중화서국 편집부장(1982년 1월~2008년 9월), 청화대학 중문학과 객좌교수(1993년 9월~2008년 9월). =학술배경: 중국음운학(音韻學)연구회 6선 이사. 중국사서(辭書)학회 회원. =논문: 중국어 발달사에 관한 논문 십여 편(중문・국문). =저서:중국어 사전(辭典), 자전(字典) 12종(獨著・合著・監修 포함, 중국: 중화서국, 중문). ≪古文觀止 譯註≫(합작, 중국: 북경대학출판사, 중문), ≪중국문화.COM≫(한국: 다락원, 국문), ≪영산신씨 서간문 선집≫(한국: 황하문화원, 국문), ≪한국 고서정리 오류 해제≫(한국: 한국학술정보, 국문), ≪중국의 문화와 중국인의 기질≫(한국: 한국학술정보, 국문). =책임편집(중국: 중화서국, 중문): ≪速成古代漢語≫(2004), ≪古代漢語敎程≫(2002), ≪現代漢語≫(2005), ≪古代漢語≫(2006). =역서: ≪백락천 논문집≫(백낙천 저, 중국: 작가출판사, 중문), ≪나의 부친 등소평≫(등용 저, 삼문출판사, 국문), ≪2천년 신한국≫(김영삼 저, 중국: 인민출판사, 국문), ≪일본에 말하다≫(정몽준 저, 중국: 북경대학출판사, 중문) 등 500여 만 자.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014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