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6812389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2-07-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훌륭한 투자가는 날 때부터 정해질까?
1장 공부하고 노력한 만큼 나아진다. 수익률도 인생도
평범한 문과생에서 투자가로!
가치투자를 공부하다
우리가 워런 버핏처럼 될 수 없는 이유
펀드매니저가 되겠습니다
나를 만든 두 가지 좌우명
나를 돌아보다
2장 위기는 맷집과 생각을 키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추억
투자 철학을 다시 세우다
텐배거를 찾는 법
가치주 전성시대
큰 그림을 보는 투자가가 되고 싶다
손톱 밑의 가시가 더 아프다
투자도 벤처다
공부해도 안 되는 것이 있다
1등 고과를 받은 직원, 회사에서 잘리다
그럼 내 딸 못 주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어떤 시장에서도 돈을 잃지 않겠습니다
배움은 끝이 없다
우리를 위한 투자의 시작
3부 12년 만에 963퍼센트의 수익을 올린 비결
깐마늘닷컴
사업을 한다는 것
최저 시급을 받으며 일하는 사장
나는 전과자입니다
우여곡절은 끝나지 않는다
가장 뼈아픈 실패
매매 회전율이 400퍼센트라고요?
장기 성장주에는 국경이 없다
연반인이 되다
부자는 위기 때 탄생한다는 게 맞더라
자네, 주식으로 돈을 벌고 싶은가?
하나만 제대로 찾아도 부자가 되기 충분하다
에필로그 다시 출발선에 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더 정확히 말하면, 투자하기 위해서는 기업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 아이디어를 검증해야 한다. 투자 아이디어를 검증하려면 당연히 투자 아이디어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파이넥스 공법 덕에 포스코의 원가가 낮다고 생각했다면 그것이 왜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지 논리를 세워야 한다. 파이넥스 공법을 모든 고로에 차례차례 적용해 이익률을 점차 높인다든지, 원가 우위를 이용해 철강 판매처를 늘린다든지 하면 이익이 늘어날 것이다. 이익이 늘어나는 기업은 대체로 주가가 오른다. 주가는 이익과 PER의 곱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PER은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치다. 한 길 사람 속도 알기 어렵다는데 수많은 시장 참여자의 마음을 어떻게 알겠는가. 지금의 메타버스 관련주나 NFT와 같이 모두가 열광하는 자산군이 아니라면 기대치는 일정하다고 가정하자(이와 관련해서는 나의 책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위즈덤하우스, 2020)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것이 투자 아이디어의 일종이다. 그냥 ‘경제적 해자 중 하나인 원가 우위가 있다’, ‘파이넥스 공법은 훌륭한 기술이다’ 정도로는 투자 아이디어라고 할 수 없다.
지금이라면 워런 버핏이 직접 쓴 책이 아니라고 해도 버크셔해서웨이 주주서한을 보고 간접적으로나마 그의 뜻을 유추하려고 노력했을 것이다. 재테크 유튜버들이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해 만드는 자극적인 섬네일만 봐도 그렇지 않은가. “올해 종합주가지수 몇 포인트를 예상하십니까?”, “삼성전자 지금 사도 되나요?”와 함께 단골로 등장하는 질문이 “투자 지표 하나만 봐야 한다면?”이다. 출연자들은 “영업이익률이 20퍼센트 이상이면 좋은 기업입니다”, “PER이 7배 이하일 때 사야 합니다” 등 단칼에 모범 답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시청자들은 그 말에 낚여서 몇 개월, 길게는 몇 년을 헤맨다. ‘영업이익률이 20퍼센트 이상인데 왜 주가가 내려가지?’, ‘이 기업은 PER이 30배도 넘는데 계속 올라가네?’라고 고개를 갸웃거리면서 말이다. 쉬운 길은 없다. 투자의 세계가 얼마나 오묘하고 복잡한
데 그렇게 쉽게 답이 찾아지겠는가.
금융위기 전과 후를 꼼꼼히 들여다보니 문제는 이랬다. 크게 보면 워런 버핏이 설파하는 진정한 가치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타격을 입은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훌륭하고 경제적 해자가 충분한 기업에 투자했다면 주가가 그렇게 하락할 일도 없고, 만약 주가가 하락했다고 하더라도 매우 편하게 그리고 기쁜 마음으로 주식을 더 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PER, PBR 같은 표면적인 밸류에이션 지표에 집중해 투자하다 보니 경기가 냉각됐을 때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락했을 뿐만 아니라 회생 가능성에 의문이 생기면서 공포가 극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