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9116812556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2-12-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범죄심리학자가 영화를 분석한다는 것
1장 그는 살인 전에 왜 거울을 보았을까? <추격자>
2장 진정한 위로와 용서란 무엇인가 <밀양>
3장 영화로 보는 프로파일링의 진수 <양들의 침묵>
4장 현실을 반영한 진짜 공포를 경험하고 싶다면 <화차>
5장 이건 음악 영화가 아니라 스릴러 영화다! <위플래쉬>
6장 화투판에 펼쳐진 예측불허의 심리전 <타짜>
7장 내가 받은 최고의 고통을 너에게 <올드보이>
8장 로맨스를 가장한 마음 치료 노트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9장 서로 다른 꿈을 꾼, 세 남자의 마지막 선택 <신세계>
10장 엇갈리는 시선들, 뒤얽힌 욕망들 <버닝>
11장 범죄심리학에 관심 있다면 꼭 봐야 할 영화 <세븐 데이즈>
12장 살인범은 살인범을 정말 알아볼 수 있을까? <살인자의 기억법>
13장 천재가 인생의 난제를 푸는 방법 <굿 윌 헌팅>
14장 진심과 거짓이 오가는 미치도록 섬세한 영화 <무뢰한>
리뷰
책속에서
영화 속 장면에서 사람들의 대화와 표정, 행동은 실제 우리 삶의 인간관계를 비추는 거울이다. 또한 영화 속 배경과 사건이 펼쳐지는 상황적 맥락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다. 영화 속에서 범죄와 사람들을 둘러싼 시선에 대한 묘사와 그 안에 숨어 있는 분노, 증오, 편견은 실제 우리 사회에서 범죄를 바라보는 편향된 시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준다.
지영민에게도 살인은 자랑하고 싶은 ‘업적’이었습니다. 묻지도 않았는데 살인 행위를 고백한 이유죠. 위험한 말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을 거예요. 다만 사람을 죽였다고 말하는 순간 자신에게 쏟아질 관심이 더 중요했을 뿐입니다. 앞서 지영민은 존재감에 대한 열등의식을 느낀다고 했었죠. 살인을 자랑하면서 자신에 대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싶은 과시욕의 표출인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