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423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노인 혐오
제1장╷노인과 LGBT로 보는 일본 소설의 소수자성과 혐오 _이지형
제2장╷시간성 붕괴와 노화 혐오 _박승억
제3장╷웹툰에 나타난 노년 재현과 나이 듦에 대한 사유: 일상툰 <웰캄 투 실버라이프>를 중심으로 _이행미
제4장╷치매, 혐오의 대상에서 상처 입은 스토리텔링으로: 아르노 가이거의 『유배중인 늙은 왕』을 중심으로 _정현규
제5장╷배제된 죽음, 가치 상실, 노인 혐오 _하홍규
제2부 질병 혐오
제6장╷혐오와 분노 그리고 연민의 윤리: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에서 _공병혜
제7장╷전염병 서사에서 나타나는 혐오의 변증법: 그레그 베어의 다윈 시리즈를 중심으로 _강미영
제8장╷격리와 절멸의 ‘기묘한 나라’, 한센병 요양소 _유수정
제9장╷일제 시기 부랑자(浮浪者)의 출현과 빈자 혐오 _예지숙
제3부 장애 혐오
제10장╷아픈 몸들의 연결과 방언 발화의 의미: 강경애 소설 속 질병과 장애의 재현을 중심으로 _구자연
제11장╷정신질환자의 범죄에 대한 혐오 _박지선
제12장╷포스트휴먼의 장애 _이재준
저자소개
책속에서
‘소수자성’은 소수자로서 감당할 수밖에 없는 차별, 혐오 등의 고충과 소수자로서의 실존을 받아들여 자임하는 자긍심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소수자의 정체성, 위치성, 실존성을 포괄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혐오’의 정의는 조금 더 난감하다. 혐오는 싫음, 미움, 증오, 불쾌 등의 감정이 복합된 정서인 동시에 역겨움, 불결함, 넌더리 등의 생리적 감각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매우 다양하고 중층적인 의미의 스펙트럼을 지니기 때문이다. 혐오 범죄, 여혐, 헤이트 스피치, 난민 혐오, 혐한, 헬조선 등 혐오 관련 문제들이 분출하고 있는 최근 사례를 보더라도 혐오가 작동하는 자기장은 전방위적이다. 분명한 것은 여성, 노인, 성 소수자, 장애인, 난민, 재일 코리안 등 사회적 약자, 즉 소수자가 혐오 문제에 훨씬 더 취약한 입장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_ 제1장 노인과 LGBT로 보는 일본 소설의 소수자성과 혐오
가장 벗어나기 어려운 편견은 자기 자신에 대한 편견, 나이 든 자신이 젊은 시절의 자신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편견이라고 말한다. 이 ‘편견’이 말하자면 ‘나이 부정’의 핵심이다. 자신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집착하거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스스로 위축되는 경우가 그렇다. 애플화이트의 문제 제기는 노년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중에서 가장 큰 문제가 일종의 자기 부정, 그리고 노화 자체에 대한 혐오라는 것을 보여준다. 나이 많은 자신에 대해 혐오하는 감정이 있는데, 타인으로부터 존중받기를 원하는 것은 모순이다. _ 제2장 시간성 붕괴와 노화 혐오
노인 집단에 대한 차별과 혐오는 이들을 부정적 이미지로만 전달하는 언론에 의해 주도적으로 재생산되었다고 지적되었다. 대체로 육체적 쇠약과 노화의 상징, 돌봄과 시혜의 무기력한 대상, 아집과 독선으로 똘똘 뭉친 존재 등과 같이 그려진다. 최근에야 노년의 삶을 제재로 삼으면서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담아내는 텍스트가 생산되고 있다. … 노년의 삶을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다양한 서사가 출현하려면 더 많은 노년의 모습이 화면에 포착되어야 한다. 미디어를 통해 쉽게 접하게 되는 노년 재현 사례가 풍부해질수록 고착화된 노년 담론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_ 제3장 웹툰에 나타난 노년 재현과 나이 듦에 대한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