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68126480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3-06-2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_미래 세대를 사로잡는 조직의 비밀
1부 DAO란 무엇인가
1장 새로운 조직의 등장, DAO
DAO가 돌아가는 방식|스타트업에 투자하는 DAO를 만든다면|DAO의 네 가지 특징
2장 더 다오부터 콘스티튜션 다오까지
해킹으로 얼룩진 더 다오|DAO 모습을 가장 잘 만들어가고 있는 메이커 다오|콘스티튜션 다오, DAO를 대중에게 알리다
3장 디파이, NFT 그리고 DAO
DAO가 디파이에 힘을 실어준다|NFT의 핵심은 커뮤니티
4장 탈중앙화는 실현 가능할까?
탈중앙화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다수의 의견이 정답은 아니다|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 │ 적극적인 참여가 탈중앙화의 의미를 이어간다
5장 아직은 부족한 DAO
여전히 중앙집중적인 DAO|법의 사각지대인 DAO|DAO를 포함한 웹3.0은 VC의 돈벌이 수단인가|코드가 법이다?
2부 DAO와 닮은 지금의 트렌드
6장 커뮤니티 시대
커뮤니티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옆집에 누가 사는지 몰라도 당근마켓은 좋아하는 이유|커뮤니티에서 시작된 커머스|BTS와 아미, 스스로 참여하고 내 정체성이 된다|브랜드도 커뮤니티다
7장 분권화를 원하는 시대
이제는 독과점에서 벗어나고 싶은 움직임|주류로 도약하는 비주류 문화|소액주주가 뭉친다|비트코인과 이더리움
8장 투명성이 강조되는 시대
과거와는 다른 공정함|'나'뿐 아니라 다른 이를 위한 공정함|신뢰를 추락시키는 계속되는 기업 사고|결국엔 투명성 강화가 필요
9장 다양한 방식으로 일을 하는 시대
내가 원하는 곳에서 일하는 디지털 노마드|사이드 프로젝트, 회사가 아니어도 내가 원하는 일을 한다|크리에이터의 삶, 그리고 퍼스널 브랜딩|변화하는 사회와 DAO
DAO 이해를 위해 알아야 할 용어들
3부 DAO가 바꾸는 미래
10장 프로토콜·프로덕트 다오
탈중앙화 거래소 운영 조직, 유니스왑 다오|메타버스 플랫폼의 주인인 디센트럴랜드 다오|NFT 소유자들의 모임, 나운스 다오
11장 투자·수집 다오
디파이 생태계 확대를 위한 VC, 비트 다오|탈중앙화 철학을 지키며 수집품을 모으는 플리저 다오
12장 소셜 다오
웹3.0의 르네상스 운동 FWB|웹3.0의 디즈니를 꿈꾸는 두들스|BAYC 유니버스의 중앙은행, 에이프코인 다오
13장 서비스 다오
웹3.0 프리랜서 조직, 레이드 길드 │ 법률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렉스 다오
14장 보조금 다오
블록체인 공공재에 투자하는 몰록 다오| '디지털 공공재'를 위한 깃코인
15장 새로운 형태의 다오
웹3.0 문화를 알리는 뱅크리스 다오|실물 부동산을 소유한 시티 다오
DAO에 참여하는 법
마치며_DAO는 미래 일자리가 될 수 있을까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웹3.0 시장에서는 DAO가 미래의 조직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한다. 조직이라면 작게는 커뮤니티부터 기업, 정부, 플랫폼 서비스도 가능하다. 하지만 DAO는 여전히 어렵고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탈중앙화가 모두가 공평하게 참여하고 보상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좋아 보이지만 이론과 현실은 다르다.
유가랩스는 사용자들이 지불해야 하는 가스비를 줄이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더리움에서 유가랩스가 자체 개발하는 블록체인으로 변경하고자 했다. 하지만 에이프코인 다오(ApeCoin DAO) 구성원의 절반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새로운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것보다 이더리움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새로운 사용자가 유입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DAO의 투표 권한이 1토큰 1투표권일 경우에는 자금이 많은 사람이 권한을 더 많이 가져갈 수 있다는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한다. 결국 주주 자본주의와 다를 것이 없다. 그래서 1토큰 1투표권 외에 다른 방식을 실험 중인 DAO들도 많다. 보유한 토큰 수에 비례해 투표 권한이 높아지는 방식이 아닌 '쿼드러틱 보팅(Quadratic voting)' 방식도 등장했다. 1개의 투표권을 갖기 위해서는 1개의 토큰이 필요한 건 1토큰 1투표권과 같지만, 2개의 투표권을 갖기 위해서는 4개의 토큰이, 3개의 투표권을 갖기 위해서는 8개의 토큰이 필요한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