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8610972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2-10-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 문제의식
2. 분석의 시각
3. 노동계급 형성의 이론
4. 분석의 전략과 주요 내용
5. 자료 소개
2장 ‘현대시’ 울산의 탄생과 노동자 생활
1. 공업도시 울산의 탄생
2. ‘현대에 의해 현대화된 현대시’
3. 1987년 이전의 현대그룹 노동자
3장 노동자대투쟁과 지역노동운동
1. 노동자대투쟁 이전의 미시동원의 네트워크
2. 울산 노동자대투쟁의 양상
3. 계급전쟁
4. 지역노동운동의 결정적 국면과 조직적 경계
4장 내부노동시장의 구축과 임금인상의 정치
1. 내부노동시장의 구축
2. 노동조합의 임금정책과 임금인상의 정치
5장 노동자 주택문제의 해결과 기업복지
1. ‘가족의 시간’과 ‘산업의 시간’
2. 노동자 주택문제의 해결
3. 기업복지의 확대와 ‘사적 복지국가’
4. 계급상황의 이질화: 연대적 집단주의의 기반 약화
6장 대공장 노동자의 가족생활과 지역사회의 변화
1. 육체노동자로서의 신분의식과 집단 정체성
2. 노동자 가족생활의 변형: 소비와 성별 분업
3. 지역사회의 공간성 변화와 계급형성
7장 풍요로운 노동자의 생활세계와 공장의 세계
1. 2000년대 이후 기업의 고도성장과 풍요로운 노동자
2. 외환위기 이후 노동조합 임금정책
3. 풍요로운 노동자가 일하는 공장의 세계
4. 풍요로운 노동자의 생활세계
8장 내부의 타자, 사내하청 노동자
1. 연대에서 사회적 폐쇄로
2. 계급 연대의 좌초: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노동자 투쟁의 역사
3. 계급 연대는 왜 실패했는가?
9장 노동자 집합행동과 저항 레퍼토리: 30년의 궤적
1. 자료와 방법
2. 민주화 이후 울산 노동자 집합행동의 궤적
3. 노동운동의 분기와 새로운 집합행동 주체의 출현
4. 노동자 저항 레퍼토리의 분기
5. 주요 노동조합들의 집합행동의 레퍼토리 비교
6. 소결
10장 결론
1. 요약
2. 도구적 집단주의에 대하여
3. 비교와 전망: 노동계급의 재형성?
부록: 울산 지역 노동자 저항사건 코딩의 원칙과 도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개별적 행위 지향은 민주화와 함께 일어난 노동자대투쟁을 계기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조국 근대화의 상징’으로서 탄생한 최초의 계획적 공업도시 울산은 1987년의 뜨거운 여름을 기점으로 ‘노동계급 형성의 대표적 장소’로 재탄생한 것이다. 노동자대투쟁은 울산 지역 노동계급 형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계기가 되었다.
_2장 ‘현대시’ 울산의 탄생과 노동자 생활 중에서
1987년 이후 대공장 노조가 전투적 경제주의에 따라 추진한 ‘임금인상의 정치’는 그 자체로 성공적이었지만, 그 성공의 대가가 초(超)기업적 수준에서 임금연대 가능성의 약화였다는 점에서, 계급 연대의 사회적 기반은 훨씬 더 취약해진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_4장 내부노동시장의 구축과 임금인상의 정치 중에서
1990년대 중후반에 오면 이미 동일 산업의 노동자들 내부에서 ‘사회적 경계’가 뚜렷한 형태로 모습을 드러내었다. 노동계급 연대가 일차적으로 공통의 계급상황에서 연원하는 이해관계의 동질성에 기반한다고 할 때, 계급상황의 분절화는 그 자체로 계급 연대에 부정적 효과를 미친다. 계급상황의 이질화를 제어할 거의 유일한 조직적 수단은 노동조합의 정책이지만, 앞에서 보았듯이 울산의 경우 소수의 대공장 노조를 중심으로 지역노동운동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계급상황의 분화를 제어하거나 완화시킬 조직적 수단이 거의 없었다.
_5장 노동자 주택문제의 해결과 기업복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