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861491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8-08
책 소개
목차
제1부 중국 문화산업의 현황과 문화정책
1. 문화산업, 스토리텔링, 문화원형
1) 문화산업의 정의와 특징
2)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개념과 종류
3)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 개발
2. 중국 문화산업의 변천과 분류
1) 중국 문화산업의 변천
2) 중국 문화산업 원칙과 분류
3) 중국 문화산업 향유 세대
3. 시진핑 시기 문화정책
1) 문예강화
2) 문화정풍운동
3) 시진핑 문화사상
제2부 중국 영상산업
1. 중국 드라마
1) 중국 드라마 역사와 발전
2) 중국 드라마 제작 방식과 환경 변화
3) 한국 드라마 중국 진출과 한중합작 드라마
4) 중국 드라마 산업 관련 정책
2. 중국 영화
1) 중국 영화의 역사와 발전
2) 주요 영화감독, 영화촬영소, 영화제
3) 한중 합작영화
4) 중국 영화산업 관련 정책
3. 중국 애니메이션
1)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발전
2) 한국 애니메이션의 중국 진출과 한중 합작 애니메이션
3) 중국 애니메이션산업 관련 정책
제3부 중국 공연・게임・인터넷 산업
1. 중국 공연
1) 중국 공연산업의 역사
2) 주요 지역 공연문화
3) 한중 합작 공연
4) 중국 공연산업 관련 정책
2. 중국 게임산업
1) 중국 게임산업의 역사와 현황
2) 중국 e스포츠
3) 중국 게임산업 관련 정책
3. 중국 인터넷 산업
1) 중국 숏클립과 라이브방송
2) 중국 인터넷 기업과 문화엔터테인먼트 산업
3) 중국 인터넷방송 산업 관련 정책
제4부 중국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
1. 중국 특색 문화원형의 사회문화적 배경
1) 중단 없는 오랜 역사
2) 한자 문화
3) 유·불·도의 전통사상
2. 신화전설
1) 산해경
2) 삼황오제
3) 양산백과 축영대
4) 백사전, 우랑직녀, 맹강녀
3. 역사 인물
1) 진시황
2) 양귀비
3) 포청천
4) 황비홍
4. 문학
1) 삼국지
2) 서유기
3) 수호전
4) 현대 무협소설
5. 중국 문화원형의 현대적 의미
1) 전통 신화와 전설의 현대적 재해석
2) 문화원형으로서 역사 인물의 역할과 현대적 의미
3) 창작의 원천으로서 문학 작품의 문화적 가치
제5부 문화생활의 새로운 공간
1. 도시재생과 관광의 결합
1) 세계의 도시재생 현황
2) 중국 도시재생의 역사
3) 중국 공업단지의 재생과 관광
2. 중국 문화창의산업단지와 주요 사례
1) 문화창의산업단지
2) 베이징, 상하이 등의 공업단지 도시재생
3) 후퉁, 시주룽의 문화공간 재생
3. 문화유산의 고품격 관광산업
1) 중국 문화유산의 관광자원화
2) 중국 고성의 주요 사례
4.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부록: 문화산업 관련 주요 5개년 규획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과 법률 및 규정은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2000년에 제정된 문화산업발전정책의 주요 목적은 중국문화의 선진성과 독특성, 응집력과 감화력을 나타내는 데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문화산업발전을 가속화하고, 문화건설의 새로운 국면을 창조하는 것이다.」
「별에서 온 그대」는 중국에서 수차례 재심의 끝에 2년 만에 현지에서 방송되었다. 중국 내에서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규율이 상당히 까다롭다. 중국 공중파 TV에서는 「별에서 온 그대」를 방영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외계인이나 귀신 등 ‘미신을 선전하는 내용’은 방송 불가”라는 ‘검열 만리장성’과 관계가 있다. 중국 매체는 “「별에서 온 그대」 마지막 부분에서 도민준(김수현)을 외계인이 아니라 소설가 신분으로 바뀌는 것으로 줄거리를 변경하였다”라고 당시에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