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690516
· 쪽수 : 756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서문
역자 서문
이 책의 개요
● 서장(序章) 본서의 문제의식
제1장 화엄일승사상의 배경
제1절 지론종 교판사에서 본 지엄의 교학
제2절 지엄에 있어서의 일승의 과제
제2장 화엄일승사상의 성립
제1절 지엄에 있어서의 화엄 동·별 2교판의 형성
제2절 화엄 동·별 2교판의 본질적 의미 ― 『수현기』에 화엄 동·별 2교판은 존재하는가
제3장 화엄법계연기의 배경
제1절 중국불교의 ‘연기’사상 이해 ― ‘연기(緣起)’와 ‘연집(緣集)’을 둘러싸고
제2절 알라야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의 기본적 상위
제3절 여래장사상에서의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역과 보리류지(菩提流支) 역의 상위
제4장 『대승기신론』을 둘러싼 문제
제1절 연기사상의 전개로부터 본 『기신론』의 연기설
제2절 『기신론』의 중국 찬술설 부정론
제3절 지엄·원효의 『기신론』 수용
제5장 지론학파의 ‘연기’사상
제1절 정영사 혜원의 ‘의지’와 ‘연기’의 문제
제2절 지론학파의 법계연기사상
제6장 지엄의 법계연기사상
제1절 『십지경론』의 육상설과 지엄의 연기사상 ― 지론으로부터 화엄으로
제2절 『수현기』의 법계연기사상
제3절 지엄의 아리야식관
제7장 법장의 법계연기사상 형성 과정
제1절 법장의 『밀엄경소(密嚴經疏)』에 관하여
제2절 복례(復禮)의 『진망송(眞妄頌)』에서 투시되는 것
제3절 여래장수연사상의 심화
● 결장(結章) 법계연기사상의 확립 ― 두순·지엄으로부터 법장으로
제1절 ‘이(理)’와 ‘사(事)’의 법계연기
제2절 화엄교학의 ‘사(事)’ 개념
제3절 화엄교학의 ‘이(理)’ 개념
제4절 법장의 ‘이사무애’의 법계연기에 관하여
■ 참고문헌
■ 초출(初出) 일람
■ 저자 후기
■ 이 책의 개요
■ 찾아보기
■ 한국불교를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