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3 : 인간 교화의 길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3 : 인간 교화의 길

(참인간을 향한 유불도 삼교의 진의)

한형조, 김명석, 양일모, 이원석, 정종모, 이해임, 정원재, 홍창성, 이규완(하운), 이길산, 최성호, 이상엽, 고승학, 조윤경, 이수미, 조은수, 허우성 (지은이), 백종현 (엮은이)
21세기북스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800원 -10% 0원
2,100원
35,700원 >
37,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780원
34,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3,600원 -10% 1680원 28,560원 >

책 이미지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3 : 인간 교화의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3 : 인간 교화의 길 (참인간을 향한 유불도 삼교의 진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71176953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깊이 있는 사유, 정통 인문학에 대한 갈증을 느끼는 독자를 위한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시리즈. 3권은 장자의 이성관과 ‘情’과 ‘無情’, 왕충의 무위자연론, 주희의 유학적 세계관, 퇴계의 주리론과 율곡의 주기론 등을 주제로 삼아 노장와 유가의 진실을 좇는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1부 노장(老莊)과 유가(儒家)의 진실

장자의 꿈, 이성의 그늘 - 한형조
장자가 말한 성인의 ‘정 없음[無情]’의 의미에 관하여: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편의 정(情) 개념을 중심으로 - 김명석
선한 행위는 복을 받는가?: 왕충의 무위자연론과 숙명론 - 양일모
주희의 왕안석 비판과 그의 정치적 사유 - 이원석
심학적 도통론의 관점에서 본 퇴계의 출처관 - 정종모
이황의 양명학 비판 까닭과 그 영향 - 이해임
이이의 철학, 이이의 현실 - 정원재

2부 불가(佛家)의 진의(眞義)

깨달음과 자비 - 홍창성
원자와 허공: 인도 불교의 맥락에서 - 이규완
굽타 제국 황태자의 교사, 바수반두 - 이길산
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유가행파 관념론의 특징 - 최성호
여산 혜원(廬山慧遠)의 군주관과 인간론 - 이상엽
화엄 사상은 ‘하나 됨’을 지향하는가 - 고승학
초월과 현실은 언제나 짝을 이룬다: 고구려 승랑의 상관적 사유 - 조윤경
깨달음의 경계를 넘어서: 원효의 중도적 사상과 삶에 대한 일고(一考) - 이수미
원효의 일심으로 본 마음의 문제 - 조은수
달라이 라마: 자비와 관용으로 인류 평화를 심다 - 허우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한형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띠풀로 덮인 동아시아 고전의 옛길을 헤쳐왔다. 쓴 책으로 『성학십도, 자기 구원의 가이드맵』(2018), 『붓다의 치명적 농담』(2011), 『허접한 꽃들의 축제』(2011), 『조선 유학의 거장들』(2008), 『왜 조선 유학인가』(2008), 『왜 동양철학인가』(2000) 등이 있다. 콘즈(Conze)의 『불교(Buddhism)』와, 카마타 시게오(鎌田茂雄)의 『화엄의 사상』을 번역했다. 2024년 7월 향년 6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허우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및 비폭력연구소 소장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 객원교수(1998), 일본 교토대학교 종교학 세미나 연구원, 도쿄대학교 외국인연구원, 미국 UC 버클리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일본사상사학회 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근대 일본의 두 얼굴: 니시다 철학》, 《간디의 진리 실험 이야기》, 《西田哲学研究: 近代日本の二つの顔》(일본 岩波, 2022) 등이 있고, 역서로 《마하트마 간디의 도덕·정치사상》(3권), 《인도사상사》, 《초기불교의 역동적 심리학》, 《표정의 심리학》(공역), 《달라이 라마의 정치철학》(공역), 《화》(공역), 《틱낫한 인터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고승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광주 출생. 1996년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2011년 UCL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ultures에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능인대학원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2017년부터 금강대학교 로터스칼리지 조교수로 재직 중. * 주요 저역서: Buddhist Thought of Korea (고익진, 『한국의 불교사상』 영역본;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21), 『불교』 (데미언 키온 저,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한글역, 교유서가, 2020) 외 화엄 및 동아시아 불교사상 관련 논문 다수.
펼치기
이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공저로 『동서사상의 회통』, 『서학의 충격과 접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도전의 이해」, 「이고(李翶)의 성선정악설(性善情惡說)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주희의 역사세계』, 『위잉스 회고록』 등이 있다.
펼치기
이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원에서 구약학, 보스턴대학교에서 지혜문학과 고대근동학, 동국대학교에서 불교학을 공부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인도불교철학의 극미론(원자론) 연구로 학위를 받은 후,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형이상학적 원자론 연구 - 희랍, 인도, 불교철학에서 현재까지”라는 주제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유식이십론술기 한글역』, 『세친의 극미론』, 『새빨간 논리』(이하운),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공저), 『원자론의 가능성』(역서)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아비다르마철학에서 기세간과 유정의 타락」, 「구사론주 세친과 유가사 세친의 (불)연속성 문제에 관하여」, 「5위75법체계의 성립과 경량부 해석에 관하여」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성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를 받았다. 독일 뮌헨대학교(LMU)에서 불교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로 근무 중이다. 인도불교철학 및 언어를 전공하고 있다. 마쓰나미 고도의 『백팔번뇌 이야기』를 번역하고,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공저), 『고전티벳어문법』 (공역)를 비롯한 다수의 저작이 있다.
펼치기
홍창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저자는 이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지금까지 미네소타주립대학교(Minnesota State University Moorhead) 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는 형이상학과 심리철학, 불교철학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오며, 해당 분야 논문을 영어와 한글로 발표하고 있다. 한편 첫 저서인 『미네소타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는 출간 직후 인문 분야 독자들의 큰 관심을 얻었으며,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2019)에 선정된 바 있다. 다른 저서로는 『연기와 공 그리고 무상과 무아』(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 선정), 『통도사승가대학의 불교철학 강의』, 『무아, 그런 나는 없다』가, 공저로는 부인이자 동료 교수인 유선경 교수와 공저한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 선정), 영어로 공동 번역한 『Enlightenment and History』가 있다.
펼치기
조은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약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전공을 바꾸어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한 후 박사과정 중 도미하여 미국 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했다. 인도 아비달마 불교와 중국 불교를 비교하는 박사논문을 썼다. 미국 미시간대학교 아시아언어문화학과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2004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23년에 은퇴하였다. 현재 미국 예일대학교 초빙교수로 새로운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재직 시절에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센터 초대 소장,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지역 세계기록문화유산 출판소위원회 의장, 불교학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22년에 제19차 세계불교학대회를 학내에서 주최하였다. 저술로 Language and Meaning: Buddhist 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word” in Indian and Chinese Perspectives, 편저 Korean Buddhist Nuns and Laywomen, 『직지심경』(영문 공역), 『불교과문집』(공저), 『마음과철학』(공저),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5 ― 문화 사상』(공저), 『21세기의 동양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조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를, 중국 베이징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오랫동안 길장의 저술로 여겨졌던 『대승현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길장 사상을 새롭게 읽어내고, 한국 철학의 원형을 구성하는 고구려 승랑과 백제 혜균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불교학연구』(공저, 2022), 『깨달음 논쟁』(공저, 2018), 「중층과 호환 ― 3중이제설과 4중이제설의 구조적 이해」(2023), 「고구려 승랑의 융합적 사유 ―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2022),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 ― 원효의 화쟁·회통에 보이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를 중심으로」(2019), 「『大乘玄論』 길장 찬술설에 대한 재고찰 ― 「二諦義」를 중심으로」(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정종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쳤고, 대만의 국립중앙대학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서강대 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 전임연구원, 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수를 거쳤다. 석사 논문에서는 주자(朱子)의 인설(仁說)을 다루었고, 박사 논문에서는 정명도(程明道)의 철학을 논의했다. 주로 송명 유학의 발전과 전개 및 현대 신유학의 지적 전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현대유학에서 극기복례 해석 논쟁과 그 의미」, 「주자의 사상채 비판은 정당한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 상산고 철학 교사.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한국철학 전공으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조선조 성리학이 탄생하고 분화하고 심화 변화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공저),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공저),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심화와 대안』(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최명길의 사문록 역해와 심층 연구』(공역), 『명유학안 역주 2』(공역)가 있다.
펼치기
김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 및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철학석사 및 박사학위(중국 철학)를 취득하였다. 한국동양철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동양 철학 분야 국제 학술지 Dao: A Journal of Comparative Philosophy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인간의 바람직한 삶과 관련하여 감정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고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 “Moral Extension and Emotional Cultivation in Mengzi”, Dao 21, no. 3 (September 2022); 「不動心 획득을 위한 孟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고찰: 『孟子』 「浩然之氣章」의 용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제55집(한국동양철학회, 2021. 7)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길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조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남대 무크지 《아레테》 편집위원장, 한국불교학회 편집위원, 한국포스트휴먼학회 사무총장, 한국철학회 발전위원회 간사로도 활동 중이다. 유가행 유식학파의 철학을 중심으로 남아시아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유식이십론』과 유식성 개념의 변화」, 「지눌에게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불교철학을 전공으로 학부(2010)와 석사(2013)를 마치고 스탠퍼드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초기 중국 불교 사상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2021)를 받았다.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초문화학센터(HCTS)의 포스트닥터 연구원 경력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논문으로 “Jizang’s Anti-realist Theory of Truth: A Modal Logical Understanding of Universal Affirmation through Universal Negation”, Philosophy East and West 73.2 (2023), “Empty Reality, Luminous Mind: The Metaphysics of ‘One Reality’ and ‘One Mind’ in Shi Sengwei’s ‘Shizhu jing hanzhu xu’”, T’oung Pao 109 (2023), 「僧衛「十住経含注序」の「一心」概念について—『大乗起信論』の「一心」概念との関連を中心に—」, 『印度学仏教学研究』 70.2(2022)가 있으며, 현재 중관학파에 대한 비교철학적 연구와 더불어 인도와 중국을 아우르는 불교문화권 사상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철학 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철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IUC)와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에서 불교학으로 각각 석사와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불교 사상을 전공했으며, 유식(唯識) 및 여래장(如來藏) 사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Buddhist Hermeneutics and East Asian Buddhist Interpreters: Delivering Dharma of No Dharma(2022)가 있고,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2023), “On the Ālayavijn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nāna”(2019)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철학』 편집인·철학용어정비위원장·회장 겸 이사장,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Universality and Relativity of Culture”(Humanitas Asiatica, 1, Seoul 2000),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Truth as Ontology”(Kant-Studien, 96, Berlin & New York 2005), “Reality and Knowledge”(Philosophy and Culture, 3, Seoul 2008)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Phanomenologische Untersuchung zum Gegenstandsbegriff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Frankfurt/M. & New York 1985),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1998/증보판2000), 『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2000/2003/전정판2008), 『서양근대철학』(2001/증보판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윤리 개념의 형성』(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사회 운영 원리』(2004), 『철학의 개념과 주요 문제』(2007),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2010/개정판2017), 『칸트 이성철학 9서5제』(2012), 『동아시아의 칸트 철학』(편저, 2014), 『한국 칸트 철학 소사전』(2015), 『이성의 역사』(2017), 『인간이란 무엇인가–칸트 3대 비판서 특강』(2018), 『한국 칸트사전』 (2019),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21), 『인간의 조건』(202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생애와 철학 체계』(F. 카울바흐, 2019), 『실천이성비판』(칸트, 2002/ 개정2판2019), 『윤리형이상학 정초』(칸트, 2005/개정2판2018), 『순수이성 비판 1·2』(칸트, 2006), 『판단력비판』(칸트, 2009),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칸트, 2011/개정판2015), 『윤리형이상학』(칸트, 2012), 『형이상학 서설』(칸트, 2012), 『영원한 평화』(칸트, 2013),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칸트, 2014), 『교육학』(칸트, 2018), 『유작 I.1·I.2』(칸트, 2020), 『학부들의 다툼』(칸트, 2021), 『유작 II』(칸트,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모쪼록 기(氣)의 ‘혼돈(混沌)’을 되찾아라. 거기 삶과 마찬가지로 죽음 또한 자연의 축복이다. 그 운명의 신성한 긍정 속에서 비로소 관조와 웃음이 피어난다. 이때 삶은 더이상 노역이 아니라 놀이가 될 것이다. 이 아득한 교설 앞에서 다들 놀라 입을 다물지 못할 듯하다. 더이상 말(言)이 설 자리가 없고, 지식은 무의미해진다. 장자는 익숙한 집을 뒤흔들고 막막한 불안을 몰고 온다. 이 혼돈에 박수를 치는 사람이 있을까? 더이상 아무 이름도, 어떤 의미 있는 논의도, 어떤 가치도 발붙일 수 없는 막막한 땅, 사람이 살지 않는 무하유(無何有)의 땅으로 들어서는 흥분과 두려움이 밀려올 것이다. 그 끝에, 삶도 죽음도 결국 나의 정신의 심층을 뒤흔들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 이 세상에 우리가 얻는 것도 없고, 잃는 것도 없다. 삶과 죽음은 물화(物化), 그저 오고 가는 것일 뿐, 호들갑 떨지 말라.
【1부 노장(老莊)과 유가(儒家)의 진실】


왕안석의 정치적 행태는 인정할 만한 것이지만 다만 그의 학문적 견해가 올바르지 못하다는 것이 주희의 입장이었을 것이다. 이는 “왕형공이 신종을 만났던 일을 얘기해보면 천재일우라 할 수 있지만, 애석하게도 그의 학문이 옳지 않아서 나중에는 곧바로 그렇게 무너져 버렸다”라는 주희의 발언과 일치한다. 그리고 이것은 다름 아닌 왕안석에 대한 주희 비판의 핵심 기조이다. 왕안석의 최초 지향 및 군주와의 관계 설정은 바람직했으나, 결국 개혁에 실패하고 말았던 까닭은 이념 실현 추구의 급진성 탓이었고, 이런 급진성이 생겨난 까닭은 그가 삶 속에서 ‘격물치지’를 통해 이념을 길어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주희의 최종 결론이다.
【1부 감노장(老莊)과 유가(儒家)의 진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178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