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원주의의 철학적 관점

다원주의의 철학적 관점

필립 J. 아이반호, 정미라, 사카키바라 테츠야, 김 수 라스무센,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이승종, 이향준, 미노와 켄료, 조윤호, 고승학, 김현구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원주의의 철학적 관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원주의의 철학적 관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68494789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8-01-30

책 소개

과거 수십 년 동안 동서양 철학자들 사이에서 관심이 고조되었던 다원주의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관점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공약불가능성, 상대주의와 같은 연관된 주제들과 함께 다원주의의 윤리적, 미적, 종교적, 인식론적, 과학적, 그리고 사회정치적 의미들을 더 깊고 폭넓게 다룬다.

목차

머리말 / 노양진 / 5

제1부
제1장 인본주의적 세계주의 / 필립 J. 아이반호 / 10
제2장 문화다원주의와 인정윤리학 / 정미라 / 52
제3장 동서양의 현상학 / 사카키바라 테츠야 / 80
제4장 아킬레스와 거북이 / 김 수 라스무센 / 103

제2부
제5장 다원주의, 동양과 서양 /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 130
제6장 들뢰즈와 양자역학의 도가적 횡단 / 이승종 / 173
제7장 심즉리(心卽理)의 출현 / 이향준 / 211

제3부
제8장 일본의 종교 다원성 고찰 / 미노와 켄료 / 248
제9장 동아시아 불교의 두 얼굴 / 조윤호 / 271
제10장 화엄사상에서 ‘부분’과 ‘전체’의 의미 / 고승학 / 303
제11장 분별(vikalpa)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 김현구 / 331

저자소개

조윤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중국불교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동아시아불교와 화엄사상』과 『원측 해심밀경소의 심의식상품 연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자 인문학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사회・정치철학이며 최근 저서로 『현대성과 자기보존욕망』이 있으며, 대표논문으로 「가족과 상호인정의 원리」, 「욕망의 억압과 규범의 원천으로서 가족」 등이 있다. 사회적 규범과 관련된 가족과 공동체의 역할과 의미변화에 관심이 있으며, 자율적 관계성에 기반한 다양한 커뮤니티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펼치기
이승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철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고, 뉴욕주립대(버펄로)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어바인대 철학과 풀브라이트 방문교수와 카니시우스대 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의 언더우드 국제대 비교문학과 문화 트랙에서도 강의해왔다. 저서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논리철학적 탐구』(문학과지성사, 200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크로스오버 하이데거: 분석적 해석학을 향하여』(생각의나무, 2010; 수정증보판 동연, 2021, 연세학술상 수상작), 『동아시아 사유로부터: 시공을 관통하는 철학자들의 대화』(동녘, 2018),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김영사, 2020,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책나눔위원회 선정 추천도서), 『우리 역사의 철학적 쟁점』(소명출판, 2021),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자연주의적 해석』(아카넷, 2022,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역사적 분석철학』(서강대학교출판부, 2024), 『철학의 길: 대화의 해석학을 향하여』(윤유석과 공저, 세창출판사, 2024), 뉴턴 가버 교수와 같이 쓴 Derrida and Wittgenstein(Temple University Press, 1994)과 이를 우리말로 옮긴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민음사, 1998; 수정증보판 동연, 2010)이 있으며, 연구번역서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아카넷, 2016)가 있다. 페리 논문상, 우수업적 교수상, 우수강의 교수상, 공헌 교수상, 우수연구실적 표창, 최우수논문상(2022 대한국제학술문화제)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고승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광주 출생. 1996년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2011년 UCL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ultures에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능인대학원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2017년부터 금강대학교 로터스칼리지 조교수로 재직 중. * 주요 저역서: Buddhist Thought of Korea (고익진, 『한국의 불교사상』 영역본;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21), 『불교』 (데미언 키온 저,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한글역, 교유서가, 2020) 외 화엄 및 동아시아 불교사상 관련 논문 다수.
펼치기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탠포드대학 졸업 후 UC 버클리대학에서 석사학위, 스탠포드대학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아시아학과의 철학 교수이며, 저명한 대학자이다. 아시아 연구 및 심리학의 부속 임명자일 뿐만 아니라 인류 진화, 인지 및 문화 연구 센터(Centre for the Study of Human Evolution, Cognition and Culture)의 공동 소장이고, 종교사 데이터베이스(Database of Religious History; DRH)의 소장이다. 그는 전국시대의 중국 사상과 종교학뿐 아니라 개념적 혼성 이론과 개념적 은유 이론을 중심으로 한 인지언어학, 윤리학, 진화심리학,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슬링거랜드는 《가디언》과 《브레인 픽킹스》가 2014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한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Trying Not to Try)의 저자이자, 또한 《과학과 인문학》(What Science Offers the Humanities)(2008), 《고대 중국의 마음과 몸》(Mind and Body in Early China)(2018)을 집필했으며, 마크 콜라드 박사와 함께 《통섭 창조》(Creating Consilience)(2012)도 엮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저널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TEDx 마스트리히트(Maastricht)와 두 개의 구글 캠퍼스를 포함한 전 세계의 여러 곳에서 “자발성의 과학과 힘”에 대한 강연을 했으며, NPR, BBC 월드 서비스, CBC를 포함한 TV, 라디오, 블로그, 팟캐스트에서 수많은 인터뷰를 했다.
펼치기
김현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의교수 최근에는 미국 버클리대학교의 G. 레이코프의 정신과 언어 이론을 탐구하고 있다. 특히 인지언어학의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불교의 인식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인간 의식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역서로는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공역, 씨아이알 2017), 『입중론 현전지 연구』(씨아이알 2018)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승조의 상즉관에 대한 인도 중관학파적 리뷰」(『동아시아불교문화』 25집), 「『중론』 「시간에 관한 고찰」의 철학적 확장성에 대한 탐구」(『불교학보』 78호) 등이 있다.
펼치기
필립 J. 아이반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미시간대학교, 보스턴대학교를 거쳐 현재는 홍콩성시대학에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Ethics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Thought of Mengzi and Wang Yangming, 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Laozi 등이 있다.
펼치기
사카키바라 테츠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경대학 대학원에서 현상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동경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フッサ-ル現象學の生成 ― 方法の成立と展開 -』, 『西洋哲學史 ― 理性の運命と可能性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 수 라스무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덴마크 오르후스대학에서 영어 관념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코펜하겐대학에서 조교수로 있었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Foucault's genealogy of racism’와 ‘The Inconclusive Text: On Paul Celans Blume’ 등이 있다.
펼치기
미노와 켄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경대학 대학원에서 일본불교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동경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中世初期南都戒律復興の硏究』, 『佛敎瞑想論』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