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9560962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1부 정전론과 재정 · 군제개혁안
엄기석 | 정전제론과 병농일치적 군제개혁안
1. 머리말
2. 정전제론과 ‘병농일치’ 실현 계획
3. 군사제도 개혁과 운영 방식
4. 맺음말
최주희 | 국가재정 인식과 개혁구상
1. 머리말
2. 19세기 전반 중앙재정의 실태
3. 다산 정약용의 전정(田政) 인식
4. 전정 개혁을 위한 토지구획 정비
5. 세입 확충을 위한 개선방안
6. 맺음말
송양섭 | 핵법과 관법, 그리고 호구운영
1. 머리말
2. 핵법의 원칙과 관법의 순속
3. 호적개수와 호구파악의 현실
4. 가좌의 작성과 입호(立戶)방식
5. 맺음말
송기중 | 지방군비의 실태와 군정운영론
1. 머리말
2. 정약용의 군역 문제 인식
3. 군역의 공정한 면리 분배와 대정의 개선
4. 군현의 무풍 진작과 이노대 강화
5. 맺음말
전상욱 | 지방재정과 민고운영론
1. 머리말
2. 18세기 지방재정의 재편과 민고 운영
3. 민고 운영상의 문제와 정약용의 인식
4. 《금산현민고절목》에 반영된 정약용의 민고 운영개선 구상
5. 맺음말
2부 향촌사회의 현실과 지방통치론
도주경 | 향촌통치구상과 사족위상강화론 ?백성 구별짓기와 노비세습제 복구론
1. 머리말
2. 19세기 향촌통치 양상과 정약용의 현실 인식
3. 변등적 사회질서 재편과 사족 위상 강화론
4. 맺음말
임성수 | 지방관의 위상과 감사론
1. 머리말
2. 18세기 감사의 위상과 제도적 변화
3. 다산의 현실인식과 감사제 문제
4. 고제복구와 상호견제를 통한 감사 역할론
5. 맺음말
이주영 | 지방행정과 향리관리
1. 머리말
2. 향리 문제의 소재와 정약용의 향리 인식
3. 정약용의 향리 처우와 인사 관리
4. 맺음말
신진혜 | 군현의례의 실상과 체계정비의 필요성
1. 머리말
2. 조선 군현의례의 실상과 인식
3. 지방통치와 군현의례의 정비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