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청신감

태청신감

(고전 관상서)

왕박 (지은이), 윤영채 (옮긴이), 추육영 (감수)
학고방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2,000원
3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청신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청신감 (고전 관상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관상/수상
· ISBN : 9791169954853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4-05-10

책 소개

고전 관상서. 후주(後周)시대 왕박(王朴)이 찬술한 것으로서 제목에서의 ‘청(淸: 맑을 청)’은 뜻을 나타내는 수(水: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청(靑: 푸를 청)이 합성된 형성 문자이다. 물 수 변에 푸를 청(水+靑)인 계묘(癸卯)의 물상으로 풀이된다.

목차

提要(제요)
原序(원서)

太淸神鑑 卷一(태청신감 권일)
說歌(설가)
又歌(우가)
相法妙決(상법묘결)
神秘論(신비론)
成和子統論(성화자통론)

太淸神鑑 卷二(태청신감 권이)
雜說上篇(잡설상편)
雜說中篇(잡설중편)
雜說下篇(잡설하편)
金書寶印上篇(금서보인상편)
金書寶印下篇(금서보인하편)
面部一百二十位(면부일백이십위)
中央直下一十三位(중앙직하일십삼위)
天中橫列八位(천중횡렬팔위)
天庭橫列八位(천정횡렬팔위)
司空橫列八位(사공횡렬팔위)
中正橫列九位(중정횡렬구위)
印堂橫列八位(인당횡렬팔위)
山根橫列十位(산근횡렬십위)
年上橫列十位(연상횡렬십위)
壽上橫列十位(수상횡렬십위)
準頭橫列八位(준두횡렬팔위)
人中橫列八位(인중횡렬팔위)
正口橫列八位(정구횡렬팔위)
承漿橫列六位(승장횡렬육위)
地閣橫列七位(지각횡렬칠위)
二儀相應(이의상응)
五嶽(오악)
四瀆(사독)
五官(오관)
六府(육부)
五行所生(오행소생)
五臟所出(오장소출)
五表所屬之方(오표소속지방)
五行相生歌(오행상생가)
五行相克歌(오행상극가)
五行比和相應(오행비화상응)
三輔學堂(삼보학당)

太淸神鑑 卷三(태청신감 권삼)
心術論(심술론)
論德(논덕)
死生論(생사론)
論神(논신)
論神有餘(논신유여)
論神不足(논신부족)
論氣(논기)
大畜秘神氣歌(대축비신기가)
紫堂靈應補氣歌(자당영응보기가)
氣色發訣(기색발결)
氣色形狀(기색형상)
六神氣色(육신기색)
玄靈寶文(현령보문)
色論(색론)
四季氣色形狀(사계기색형상)
青色出沒(청색출몰)
青色吉凶歌(청색길흉가)
黃色出沒(황색출몰)
黃色吉凶歌(황색길흉가)
赤色出沒(적색출몰)
赤色吉凶歌(적색길흉가)
白色出沒(백색출몰)
白色吉凶歌(백색길흉가)
黑色出沒(흑색출몰)
黑色吉凶歌(흑색길흉가)
紫色出沒(자색출몰)
紫色吉凶歌(자색길흉가)
十天羅(십천라)
論氣色定生死訣(논기색정생사결)
定病氣生死之訣(정병기생사지결)

太淸神鑑 卷四(태청신감 권사)
形類(형류)
論形(논형)
五形(오형)
論形不足(논형부족)
論形有餘(논형유여)
鶴形(학형)
正鶴形(정학형)
鳳形(봉형)
龜形(구형)
犀形(서형)
虎形(호형)
龍形(용형)
五短之形(오단지형)
五長之形(오장지형)
論聲(논성)
五音(오음)
行部(행부)

太淸神鑑 卷五(태청신감 권오)
論骨肉(논골육)
論額部(논액부)
論頭部(논두부)
枕頭部(침두부)
論面部(논면부)
論眉部(논미부)
論眼部(논안부)
腰背法論(요배법론)
論腰(논요)
論背(논배)
論腹(논복)
論臍(논제)
論四肢(논사지)
論手(논수)
相掌紋(상장문)
手背紋(수배문)
爪部(조부)
論足(논족)

太淸神鑑 卷六(태청신감 권육)
黑痣部(흑지부)
頭面黑痣(두면흑지)
手足黑痣(수족흑지)
身體上下黑痣(신체상하흑지)
男兒貴格(남아귀격)
兩府格(양부격)
兩制格(양제격)
正郎格(정랑격)
員郎格(원랑격)
男豪富(남호부)
長壽祿(장수록)
夭壽(요수)
先賤後貴(선천후귀)
先富後貧(선부후빈)
四相不露(사상불로)
三停(삼정)
五大(오대)
八大(팔대)
五小(오소)
八小(팔소)
六賤(육천)
六極(육극)
六惡(육악)
男剋子孫(남극자손)
相無兄弟(상무형제)
孤獨無妻(고독무처)
帶殺格(대살격)
辨美惡有二十(변미악유이십)
女人相(여인상)
女人九善(여인구선)
女人九惡(여인구악)
女人賢貴部(여인현귀부)
女人賤惡部(여인천악부)
女富貴(여부귀)
女貧賤(여빈천)
婦人孤獨(부인고독)

저자소개

왕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대시대(五代時代 907~960) 후주(後周)의 학자이자 정치인이다. 동평(東平)사람으로 자(字)는 문백(文伯)이다. 주나라 세종(周世宗)때 추밀사(樞密使)로 직위 하였을 당시, 세종이 병사를 부려 승리를 구할 때 마다 왕박의 계책에 의지한 바가 많았다. 왕박은 술수에 정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상서『태청신감』을 찬술하였다.
펼치기
윤영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대학원 한국문화학과에서 동양문화 전공, 「조선시대 어진과 상학적 연구」로 문학박사 취득, 현(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외래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학술논문으로는 「古典 相學의 현대적 의미 적용」이 있으며, 저서로는 『조선왕들의 관상분석』과 역서로는 『태청신감』이 있다.
펼치기
추육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산동대학교(山东大学) 한국어과 졸업, 한국 건국대학교 문학박사 취득, 한국 서울대학교 방문학자. 현(现) 중국청도농업대학교(中国青岛农业大学) 외국어대학에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유의어 연구』,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모색』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