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70098348
· 쪽수 : 178쪽
· 출판일 : 2016-09-02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사업의 내용과 추진체계
1. 연구사업의 내용
2. 연구사업의 추진체계
제 2 장 초연결사회의 복잡계적 특성
제 1 절 초연결사회의 정의와 전망
1. 초연결사회의 정의와 속성
2. 초연결사회의 기술・산업 전망
3.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의 사회적 배태
제 2 절 스마트-모바일의 전면화 경향과 초연결사회로의 길
1. 초연결사회의 네트워크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
2. 혼종네트워크로서의 초연결사회
3. 빅데이터 분석과 초연결사회
4. 스마트-모바일 기반 초연결사회의 기회와 위험
5. 초연결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
제 3 장 커넥티드 사회의 구조변동
제 1 절 커넥티드 사회 속의 사물인터넷
제 2 절 초연결사회의 사물과 인간
제 3 절 커넥티드 사회의 사회경제적 구조변동
1. 플랫폼 경제와 초연결성
2. 인터넷 업계의 승자독식 시장 사례
3.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승자독식의 미래
제 4 절 사물인터넷과 미디어 산업
1. 사물인터넷과 미디어 기업의 혁신
2. 초연결사회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
제 5 절 사물인터넷과 개인 데이터 소유권
제 4 장 지속가능한 초연결사회를 위한 준비
제 1 절 초연결사회를 준비하는 해외 사례
1. 유럽의 초연결사회 준비
2. 미국의 초연결사회 준비
3. 중국의 초연결사회 준비
4. 일본의 초연결사회 준비
제 2 절 초연결사회의 미래 사회 이슈
1. 인간과 기계는 어떻게 협력하고 또 경쟁하는가: 사라지는 일자리
2. 예측가능한 인간: 기술사회적 엔지니어링
3. 양극화로 인한 시민 공간의 상실
4. 디지털 디바이드의 중층화
5. 인간능력의 쇠퇴와 인공지능의 인간화
6. 프라이버시의 소멸
제 5 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 1 절 결 론
제 2 절 정책 방향
1. 네트워크의 구조와 시스템 개선을 통한 연결의 질 개선
2. 승자독식 시장을 평평한 운동장으로 만들기
3. 초연결사회의 공공성 증진
4.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물인터넷 정책
제 3 절 지속가능한 초연결사회를 위한 정책
1. 데이터 뉴딜
2. 개방형 개인정보저장소
3. 지능화한 협력
4. 사물인터넷 시대의 미디어 산업 혁신
5. 초연결사회의 불평등 해소 정책
6. 편재하는 빅브라더에 대한 사회적 감시
참 고 문 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