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의 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9117040160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1-3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9117040160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1968년 등단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소설을 써오며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김동리문학상 등 굵직한 문학상들을 수상하고, 수많은 대표작을 남긴 소설가 한승원. 그가 평생에 걸쳐 좇아온 ‘조선 천재’ 3인의 평전소설 <추사> <초의> <다산>이 열림원에서 새롭게 출간된다.
목차
一.
조선조 후기 세상에 드리워진 초의의 그림자
二.
태몽 / 연못, 그 우주적인 늪(자궁) / 어머니가 놓아준 명다리 / 법락의 향기 / 허적 세상에서 온 손님 / 낙락장송의 그늘 / 밥 구걸하는 거지와 글 구걸하는 거지 / 천주학의 냄새 / 그림자와 실체 / 토포사 / 역질 / 죽음, 또 죽음 / 불타는 죽음의 집
三.
동전 두 닢, 그 영원한 빚 / 운흥사 가는 길, 인연의 고리 / 차 따는 행자 / 슬프고 아픈 차의 맛과 향기 / 금어 / 현감 숙부인의 가마꾼이 되어 / 탱화
四.
은밀한 연모 / 바라춤 / 백여우와 범패 / 다신, 혹은 배냇향 터득하기 / 주막에 못 가는 슬픈 결핍 / 완호 은사와의 만남 / 벽봉 대신 범패 하고 바라춤을 추다 / 내 빛을 내가 부드럽게 하지 못한 죄 / 은사에게 든 초의의 반기
五.
천 강을 비치는 달 / 달의 그림자
六.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나뭇가지 꺾이는 소리 / 그림자 속의 달 / 달의 세 가지 모습 / 사람의 껍질을 쓴 생쥐 한 마리
七.
꽃보라 보얗게 날리는 길 / 겨자씨 속의 수미산 혹은 수미산 속의 겨자씨 / 대둔사에서의 바라춤 / 다산과의 만남 / 시 서 화, 삼절 / 불타는 전각, 미쳐버린 혜장 / 혜장의 유언, ‘무단히 무단히’ / 젊은 초의에게 맡겨진 재건 천불전의 상량문 / 나귀를 모시고 가는 스님
조선조 후기 세상에 드리워진 초의의 그림자
二.
태몽 / 연못, 그 우주적인 늪(자궁) / 어머니가 놓아준 명다리 / 법락의 향기 / 허적 세상에서 온 손님 / 낙락장송의 그늘 / 밥 구걸하는 거지와 글 구걸하는 거지 / 천주학의 냄새 / 그림자와 실체 / 토포사 / 역질 / 죽음, 또 죽음 / 불타는 죽음의 집
三.
동전 두 닢, 그 영원한 빚 / 운흥사 가는 길, 인연의 고리 / 차 따는 행자 / 슬프고 아픈 차의 맛과 향기 / 금어 / 현감 숙부인의 가마꾼이 되어 / 탱화
四.
은밀한 연모 / 바라춤 / 백여우와 범패 / 다신, 혹은 배냇향 터득하기 / 주막에 못 가는 슬픈 결핍 / 완호 은사와의 만남 / 벽봉 대신 범패 하고 바라춤을 추다 / 내 빛을 내가 부드럽게 하지 못한 죄 / 은사에게 든 초의의 반기
五.
천 강을 비치는 달 / 달의 그림자
六.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나뭇가지 꺾이는 소리 / 그림자 속의 달 / 달의 세 가지 모습 / 사람의 껍질을 쓴 생쥐 한 마리
七.
꽃보라 보얗게 날리는 길 / 겨자씨 속의 수미산 혹은 수미산 속의 겨자씨 / 대둔사에서의 바라춤 / 다산과의 만남 / 시 서 화, 삼절 / 불타는 전각, 미쳐버린 혜장 / 혜장의 유언, ‘무단히 무단히’ / 젊은 초의에게 맡겨진 재건 천불전의 상량문 / 나귀를 모시고 가는 스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은 탱화 그려 장엄하고 범패하고 바라춤 추고 향기로운 차를 내어 부처님과 중생들을 즐겁게 하는, 실질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참선을 핑계로 벙어리 중이 되어서는 안 된다. 가난한 신도들의 시주만 얻으려 하고 절밥만 축내는 중이 되어서는 안 된다. 시 쓰고 글씨 쓰는 것은 여기로 할 일이지 그것만 앞세우고 빈둥거리는 풍류객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일천 강을 비추는 달 같은 중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초의 스님, 자칫하면 스님의 발랄한 재주와 총명함과 세상을 뚫어보는 눈이 오만에 떨어질 수도 있음을 아십니까?”
“빈도는 가끔 한 마리의 기러기와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사옵니다. 지금 내가 날아가고 있는 이 길은 옳은 길인가 의심하고 선지식에게서 확인받고 싶어지곤 하옵니다. 빈도가 정 대감을 찾아온 것도 그 까닭이옵니다.”
절 아랫마을의 주막 앞을 지나면서 몇 번이든지 들어가서 처녀를 만나고 싶었다. 그녀에게만은 작별 인사를 하고 가고 싶었다. 가슴이 아렸다. 소중한 어떤 것인가를 잃어버리고 가는 것 같았다. 이제 헤어지면 다시는 만날 수 없을 듯싶었다. 일단 주막을 지나쳤는데 걸음이 자꾸 주춤거렸다. 몸을 돌리고 싶었다. 그렇지만 발을 돌리지 않았다. 이제 그는 철부지 행자가 아니었다. 계를 받은 사미승이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