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7043456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3-10-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ETF 투자가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되길 바라며
Chapter 1. 왜 ETF인가?
ETF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
그래서 ETF가 뭔가요?
해외상장 ETF vs. 국내상장 ETF
직접투자 vs. ETF 투자
ETF는 공모펀드와 무엇이 다를까?
ETN과 ETF의 차이
Chapter 2. ETF 투자, 기초부터 탄탄히
대세로 떠오른 ETF 투자
ETF 이름에 담긴 비밀
국내 산업에도 가능성은 있다
개별 종목 리스크란 무엇인가?
산업별 사이클에 민감해야 하는 이유
국내외 ETF 정보, 쉽게 찾는 방법
Chapter 3. 어떤 ETF를 사야 할까? ①
워런 버핏이 추천하는 지수추종 ETF
현금흐름을 만드는 배당형 ETF
시클리컬 산업의 대표 주자, 반도체
지수가 하락하면 오르는 인버스 ETF
커버드콜 ETF란 무엇인가?
Chapter 4. 어떤 ETF를 사야 할까? ②
위기에 강한 헬스케어 ETF
인플레이션에 강한 MOAT ETF
금리 정점기에 유효한 ETF
서로 간 차이가 큰 액티브 ETF
성과 좋은 ETF를 찾는 방법
환헤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수익률
Chapter 5. 수익을 높이는 ETF 매매 전략 ①
투자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포트폴리오
모의투자로 수익률 계산하기
레버리지 ETF의 숨겨진 가면
수익률을 높이는 보조지표: 볼린저밴드
수익률을 높이는 보조지표: RSI
수익률을 높이는 보조지표: MACD
Chapter 6. 수익을 높이는 ETF 매매 전략 ②
매수와 매도,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
구성 종목의 관련 사업 매출 비중 확인하기
ETF 분배금과 분배락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노하우
자동매수기능을 활용한 장기 적립식 투자
ISA계좌를 통해 세제 혜택을 누려보자
에필로그. 당신이 끊임없이 사고하고 고민하기를
섹터별 대표 ETF 종목
주요 시장지수 ETF 종목
저자와의 인터뷰
자료 및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ETF의 정식 명칭은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다. 말 그대로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를 의미한다.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ETF에 거의 투자하지 않았다. 2019년 국내 개인투자자가 순매수한 ETF 규모는 3,800억 원 수준에 불과했는데, 최근 급격히 성장하면서 2021년에는 9조 8천억 원 수준까지 증가했다. 순매수 규모만 놓고 보면 2년 사이 25배나 늘어난 것이다.
ETF의 수익률을 평가하는 기준은 BM 대비 얼마나 성과를 잘 냈는지 여부다. BM만 잘 쫓는다고 다가 아니다. ETF도 결국 펀드의 일환이다. 개인투자자가 운용사에 수수료를 내고 투자하는 개념이므로 만일 시장(예를 들어 코스피지수)보다 못한 성적을 올렸다면 투자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과거 1년간(시장 변동성이 높았다면 그 이상인 3년 혹은 5년) 해당 ETF가 BM보다 좋은 성과를 올렸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덱스형 ETF는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서로 간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P500지수를 따라가는 ETF라면 운용사는 달라도 수익률은 고만고만하다. 하지만 액티브 ETF라면 사정이 다르다. 콘셉트는 같아도 포트폴리오에 담는 종목이 다를 수 있고 비중도 제각각이다. 그래서 운용하는 회사의 역량에 따라서, 섹터 내에 수익률 높은 종목을 얼마나 담았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