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연극적 재현 공간의 진화, 극장에서 온라인 플랫폼까지)

박정만 (지은이)
휴북스(HueBooks)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450원 -5% 0원
1,550원
27,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연극적 재현 공간의 진화, 극장에서 온라인 플랫폼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71992720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24-11-22

책 소개

예술은 시대에 따라 권력을 지탱하는 도구가 되기도, 부조리한 현실을 폭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는 시대와 함께 쓰임이 달라지는 예술의 이런 특징을 중심으로 연극, 영화, 뮤지컬, 거리극 등 다양한 공연 예술이 당시 사회와 현실의 맥락에서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탐구한 결과물이다.

목차

서문 5

제1부 극장
1장 고대 그리스 디오니소스 극장 - 파로도스, 시민 참여와 소통의 진입로 14
2장 영국 르네상스 글로브 극장 - 천국 12궁도, 엘리자베스 시대 세계관의 가시적 축도 48
3장 독일 현대 극장 페스트슈필하우스 - 대륙적 좌석, 노동자 관객과 평등한 관극 거리의 수용 84

제2부 무대
4장 반反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알프레드 자리 『위뷔 대왕』 - 무대에 구현된 세기말 감성과 삐딱한 세상 독법 124
5장 인간 마네킹의 대화, 알프레드 크레임보그 『리마콩』- 미국 중산층 삶의 상투성과 매너리즘에 대한 비사실적 무대 실험 162
6장 미국 원주민 주체 의식의 탈주, 해네이 가이오가마 『포그혼』- 백인 서사에 대한 유쾌한 도발과 메타적 무대 전략 194

제3부 스크린, 거리, 온라인 플랫폼
7장 SF 영화의 이정표, 조르주 멜리에스의 무성 영화 《달세계 여행》 - 문학적 상상, 영상적 재현, 실재적 현전으로의 여정 246
8장 몰락한 제국의 지도, 피터 브룩의 영화 《리어왕》- 성난 청년의 시대와 은막에 투사된 영국의 현실 276
9장 거리로 나선 인형들, 빵과 인형 극단의 〈콜럼버스: 신세계 질서〉- 냉전 시대가 낳은 패권주의의 불편한 진실을 고하다 324
10장 온라인 플랫폼 공연, 자가 격리 웹뮤지컬 〈킬러파티〉- 팬데믹 시대 연극적 소통의 뉴 노멀 364

저자소개

박정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통번역학부 교수다. 영미 드라마와 연극사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문학, 연극사, 문화 연구의 통섭을 지향하며 ‘문학 텍스트와 문화사적 컨텍스트의 간극 읽기’ 연구 방법론을 국내 영미 드라마 학계에 도입해 온 중견 학자다. 최근에는 한국의 전통 연희 및 한국 연극사를 세계 인문학계에 알리고 보급하는 일에 매진 중이다. 국내외 저널을 통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드라마에 비친 미국》, 《무대 위의 국가》,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연극적 재현 공간의 진화》, 《퓰리처상을 통해 본 현대 미국 연극》(공저), 《문학과 예술에서 재난을 말하다》(공저), 《질병은 문학을 만든다》(공저), 《캐나다 아동문학》(공저), 《얀 마텔》(공저) 등을 출간했다. 번역서로 《레즈 시스터스》 등이 있다. 한국영어영문학회, 한국아메리카학회, 현대영미드라마학회, 세계문학비교학회 등에서 총무이사 및 편집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현대영미드라마학회 회장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9장 거리로 나선 인형들, 빵과 인형 극단의 〈콜럼버스: 신세계 질서〉

그렇다면 빵과 인형 극단이 대중에게 일깨우려 하는 현실의 진실은 무엇일까? 슈만은 자신의 인형극이 “근본적으로 새롭고 대담한 예술 형식(radically new and daring art form)”이며, 여기서 ‘새로움’은 전대미문의 새로움이 아니라, 늘 우리 곁에 있었으나 너무 흔하고 익숙해서 존재를 알 수 없었던 “발견된 진실(uncovered truth)”로서 새로움이라 말한다(Schumann 1990: 3). 즉 극단의 예술은 일상의 공기처럼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온 ‘패권주의적 진실’과 비판적으로 마주하기 위한 시도이다. 비현실적인 형태와 크기의 거인 인형, 잉여적 사치가 아닌 기본적 욕구로서 예술, 일상의 빵처럼 누구나 나누어 가질 수 있는 값싼 예술을 통해 이들은 지금껏 암묵적으로 동의해 왔던 패권주의적 진실의 실체를 드러내고 그 이면에 감추어져 온 기득권과 정치 권력의 위선과 횡포, 자본주의와 패권주의의 포악함을 폭로하고자 한다. 빵과 인형 극단은 1960년대 베트남 전쟁에서 2001년 9·11 테러에 이르기까지 상기한 의심스럽고 ‘불편한’ 진실을 양산해 온 미국의 사회 구조와 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슈만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2013년도 〈데모크라시 나우〉와의 인터뷰에서 9·11 사건을 언급하면서, 이 끔찍한 사건이 ‘신세계 질서’라는 이름으로 미국이 자행해 온 자본주의와 패권주의의 오만함이 초래한 예견된 결과였다고 지적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