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73076862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25-02-03
책 소개
목차
왜 스타트업 전략 커뮤니케이션인가
01 스타트업의 전략적 이해관계자
02 스타트업 PR과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03 스타트업 공중 관계 경영
04 스타트업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05 스타트업 브랜딩
06 스타트업과 기업가 정신
07 스타트업 내부 커뮤니케이션
08 스타트업과 소셜 미디어
09 스타트업 위기 커뮤니케이션
10 스타트업과 사회적 책임
저자소개
책속에서
둘째, 다른 일반 기업이나 대기업 등과 비교했을 때, 스타트업은 그 고유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에 걸맞은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홍보·PR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학문으로서 그 입지를 공고히 해 왔지만, 현재까지 축적된 이론과 지식의 대부분은 대기업에서 수행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비즈니스 초기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회사 규모, 구조, 정체성, 자원 측면에서 기존 기업들과 많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다국적 기업에 효과적인 브랜딩, 평판 관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등과 같은 전략은 이제 막 성장을 해 나가는 스타트업 기업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 머리말_“왜 스타트업 전략 커뮤니케이션인가 ” 중에서
스타트업 기업은 광고나 이벤트 진행에 투자할 예산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 창의적인 메시지를 개발하고 전달하거나, 소비자들의 구전(WOM)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거나, 유명 기업이나 브랜드와 협력하여 이미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으려는 활동이 주가 된다. 반면 대기업의 PR은 전통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이 혼합된 형태의 활동이 주를 이룬다.
- 02_“스타트업 PR과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중에서
조직이 이해관계자들에게 끊임없이 기업과 산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proactive reporting)하는 것은 관계를 유지하는 바람직한 전략 중 하나다. 스타트업 기업에게는 특히 투자자와의 관계에서 이 전략이 중요한데,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최신 정보를 제공하여 기업의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신뢰도를 제고하고 향후 투자 유치 또한 이끌어 낼 수 있다. 소비자들에게도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업의 행보, 미래 비전과 전략, 산업 트렌드 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 03_“스타트업 공중 관계 경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