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한국의 PR 연구 20년

[큰글씨책] 한국의 PR 연구 20년

김병희, 차희원, 최명일, 김대욱, 김정남, 문현기, 박노일, 유선욱, 이연재, 정지연, 조정열, 최준혁, 하진홍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한국의 PR 연구 20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한국의 PR 연구 20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92391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16-11-25

책 소개

커뮤니케이션북스 큰글씨책. 연구 20년, 학회 20년, 산업 20년, 미래 20년 등에 초점을 맞춰서 4부로 구성되었다. '한국의 PR 연구 20년', '한국PR학회 20년', '한국 PR산업 20년', '한국의 미래 PR 20년'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목차

‘대한민국 PR 연구 20년’의 가치를 조명하며
한국PR학회 최초의 역사 연구서를 펴내며

1부 한국의 PR 연구 20년
01 한국 PR 연구의 자화상: 첫 10년의 특징 10가지
02 연구주제와 연구 방법으로 살펴본 PR 연구 20년(2009∼2016년)
03 PR학 생각의 지도: ≪홍보학연구≫ 20년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PR학의 성장사

2부 한국PR학회 20년
04 한국홍보학회 시대(1997∼2008년)의 학회 활동
05 한국PR학회 시대(2009∼2016년)의 학회 활동
06 한국PR학회장들이 기억하는 PR학이 가 버린 길과 가야 할 길

3부 한국 PR 산업 연구 20년
07 다양성의 암중모색: 한국 PR 산업 연구 20년
08 한국 PR 실무자 연구 20년: PR의 가치 탐색
09 한국 PR 산업의 가치 변천 20년: 다양성의 가치 확산

4부 한국의 미래 PR 20년
10 21세기 환경변화와 한국 PR의 미래

저자소개

김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으며, 현재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디지털 시대의 카피라이팅 신론: 챗GPT를 활용한 광고 카피 쓰기』(2024), 『디지털 시대의 광고 마케팅 기상도』(2021)를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디지털 시대의 광고 산업 생태계를 고려한 광고의 새로운 정의”(2024)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2019)을 받았다.
펼치기
조정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앨라배마대학교 매스커뮤니케이션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브랜드와 PR 이론이 주된 연구주제다. 국가브랜드연구원장, 청와대 정책위원 등을 거쳤다. 저서로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11) 등이 있다. 논문은 “PR 이론의 메타연구”(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최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와 서울대학교에서 PR(public relations)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PR컨설팅을 제공했다. 저서로 <한국의 PR 연구 20년>(공저, 2016), <반기업 정서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5), <정책 PR론>(공저, 2015), (공저, 2014, 한국PR학회 제2회 저술상 수상작), <실행이 탄탄해지는 PR기획>(2008) 등이 있으며, 정책 홍보혁신포럼과 <이젠 정책e 홍보다>(2005, 2005년 한국PR대상 PR 연구개발 부문 우수상)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역서로는 <스테이크홀더>(공역, 2008), <여론의 법정에서>(공역, 2006), <미디어 트레이닝>(공역, 2005), (공역, 200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기업정서, 브랜드관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PR에 관심 있으며, PR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PR에 관한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 보노(pro bon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10월에 국내 최초의 PR 팟캐스트 “최준혁의 PR토크”를 개설해 현재도 진행 중이다. 또, 여러 공공기관의 자문위원을 맡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3년부터는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한국OOH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등의 총무이사, 편집이사, 연구이사, 기획이사, 홍보이사 등을 맡아 PR 및 광고 관련 학문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창출에 조그맣게나마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차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코콤포터노벨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소장, 닐슨마케팅리서치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초빙 학자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명성과 커뮤니케이션』(2018),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공저, 2022),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공저, 2021), 『공중 관계 핸드북』(공저, 2017), 『한국형 공공외교 평가 모델』(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박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차의과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 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PR)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친 후 서울디지털대학교에서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로 근무했다(2009∼2013). 한국PR학회 부회장, 한국PR학회 테크놀로지연구회장,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등 학술단체 이사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비전공자의 인공지능(AI) 입문』(2022), 『인공지능 이해와 뉴스 미디어 영상분석』(2022), 『AI·메타버스 시대의 기술적·인문사회적 광고PR 전략』(2022), 『호모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2022) 등이 있다. “인간-AI 커뮤니케이션 연구주제 탐색: 챗GPT와 SMCRE 모형을 중심으로”(2023)와 “부정적 ESG 뉴스 보도와 기업 가치 변동: 생성형 AI 활용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2024)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을 KCI, SSCI급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유선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 석사, PR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PR학회의 총무이사와 ≪홍보학연구≫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광고홍보학회 신진학자상 등을 수상했다. 논문으로 “PR회사 보상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5, 한국PR학회 우수논문상), “PR학에서의 우수 이론의 전개와 우리나라에서의 연구경향”(2014), “진정성 효과”(2013,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Mapping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 Breadth, depth, and agenda of published research in health communication(2010)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대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텍사스테크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서 PR 관련 전공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공중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CSR), PR 활동의 효과성 측정 등이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and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Public relations vs. marketing educators’ perspectives에 관한 석사 논문으로 ICA(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에서 그루닉 석사논문상을, Exploring the impact of internal public relations practices on employee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Social identity perspectives in organizational contexts에 관한 박사 논문으로 ICA에서 그루닉 박사논문상을 받았다. 2013년에는 “한국과 미국의 PR 연구 경향 분석: ≪홍보학연구≫와 JPRR 게재 논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한국PR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2014)이 있다.
펼치기
하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이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오리콤, 금강기획, MBC애드컴 등에서 AE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PR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PR 및 광고와 관련한 위기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홍보학연구≫, ≪광고연구≫, Public Relations Review,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등 국내외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PR연구 20년』(공저, 2016),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최명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양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전공분야는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및 컨텐츠 효과 평가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 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를 중심으로”(2007, 한국광고학회 신진우수논문상), Tracking public relations scholarship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PR journals from 1975 to 2011(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게이로드 전략커뮤니케이션학과 석좌교수다. 메릴랜드대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퍼듀대 정년보장 교수직을 거쳐, 달리 연구소(The Debiasing and Lay Informatics: DaLi Lab)를 설립하고 공중행위의 특성과 사회 및 조직 간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 미국의 커뮤니케이션학회(NCA)·PR협회(PRSA) 등 유수 학회에서 20여 차례 우수 논문상을 받았고, 2012년 이후에만 SSCI 등재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실었다. PR학의 핵심이론인 그루닉(J.E. Grunig)의 공중상황 이론(Situational Theory of Publics)을 시조로 삼은 ‘문제해결 상황 이론(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STOPS)’은 그루닉과 공동 창시하고 발전시킨 대표 이론이다.
펼치기
김정남의 다른 책 >
문현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석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사,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 광고학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PR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웰콤퍼블리시스월드와이드 부사장과 다국적 PR회사 플레시먼힐러드코리아의 대표를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텔레비전 정치광고에 나타난 시각적 표현에 관한 한미 간 차이 연구: 2012년 대통령 선거 정치광고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2015), “나는 전문가인가?: 광고실무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업적 웰빙, 직무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5),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행동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소셜미디어 환경을 중심으로”(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연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사무학과를 졸업하고 퍼듀대학교에서 PR 및 전략 커뮤니케이션(Public Relations and Strategic Communication) 박사학위를 받았다. 내부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소셜 미디어 관리, 위기 커뮤니케이션 등을 주제로 국제 저명 학술 저널에 7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다.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AEJMC),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NCA) 등 국제 저명 컨퍼런스에서 우수논문상을 다수 수상했으며, Arthur W. Page Center를 비롯한 연구 지원 기관에서 지난 5년간 총 약 1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따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 PR 연구가 극복해야 할 첫 번째 문제는 이론의 빈곤이다. 연구 진행의 중심축이 되는 이론의 활용은 사회과학 연구의 필수요건이다. 연구를 신뢰하고 그 결과와 논의를 이어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PR뿐 아니라 어떤 분야라도 독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성장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 PR 연구의 자화상: 첫 10년의 특징 10가지’에서

이론과 관련된 한국 PR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이론 활용의 편향성이다.
우리나라의 PR 연구에 이론 개발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데다가, 한국에 소개되고 있는 대부분의 PR 이론들은 서구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충분히 이론적으로 검토된 것이어서 한국 문화에 적합한 이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물론 세계적 보편성을 갖는 이론 개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PR학회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PR학의 이론적 확장을 위한 연구 지원’은 고무적이다.
‘한국 PR 연구의 자화상: 첫 10년의 특징 10가지’에서

한국 PR 연구는 한국경제와 닮은꼴이다. 단시간에 발전했다. 미국 의존이 심각한 수준이다. 장래가 불확실한 분기점에 놓여 있다는 점 역시 유사하다. 가장 확실한 것은 단시간 놀라운 발전을 이뤄 냈다는 사실이다. 세계적으로도 미국을 제외하고 가장 활발한 PR 연구가 진행되고 발표되는 곳이 한국이라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지나친 미국 중심의 논의 구조는 발전의 원동력이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적지 않은 한국 학자들이 미국의 주요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의 독자적인 학문적 성과라 할 만한 것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물론 본격적인 출발이 오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창의적이고 독자적인 방향의 모색이 필요한 것도 명백하다. 인접 분야와의 교류를 확대하고 독창적인 논의구조를 만들기 위해 정체성 확립과 이론 개발이 시급하다
‘연구주제와 연구 방법으로 살펴본 PR 연구 20년(2009∼2016년)’에서

PR학은 이해관계자들과 관련된 이해관계 관리와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 적용성이 높은 학문이라는 차원에서 저출산문제, 통일문제, 사회적 소외는 물론 국가적 전염성 질병에 대한 대처, 국가적 재단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매우 크다. 따라서 2009년 이후 진행된 PR학 연구의 흐름에서 살폈듯이 PR학이 학자들의 적극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학문적 성장을 이루어 왔지만, 앞으로 PR학의 연구주제와 영역, 그리고 방법론의 다양화, 전문화, 융합화 차원에서 PR학의 좌표를 주시하고 PR학의 미래를 진중하게 맞이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연구주제와 연구 방법으로 살펴본 PR 연구 20년(2009∼2016년)“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